• 최종편집 2024-03-28(목)
 

 

한 명의 소리꾼과 한 명의 고수로부터 재연되는 판소리는 가장 잘 알려진 한국 전통 무대예술 하나다. 1993년 개봉한 임권택 감독 영화 <서편제>는 한국영화 최초로 서울 관객 100만 명을 넘기며 전통문화는 고루하다는 인식을 바꿨다. 잘 만든 영화 하나가 판소리를 대중에 각인한 셈이다.

 

대중의 관심 아래 판소리는 다른 공연 분야와 협력하면서 외연 확장을 시도했다.

 

요즘 판소리는 전통 아래 형식을 다양화한다. 영화 <서편제>를 모르는 세대에도 접근할 방안을 모색하면서 약동하고 있는 셈이다.

 

현재 판소리는 춘향가·심청가 중심으로 전승되는데,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수궁가·적벽가 전승은 적고, 흥보가 끄트머리에 나오는 놀보가 박 타는 부분은 유실 우려도 있는 상황이어서다. 그런 점에서 판소리 다섯 마당을 완전한 형태로 기록한 사설집 <오가전집>과 경남의 소리꾼 이선유의 의미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영화 <서편제> 덕분에 대중은 동편제·서편제로 판소리를 구분한다. 동편제·서편제·중고제는 지역으로 판소리를 구분하는 방식이다. 동편제와 서편제를 나누는 지형적 기준은 전라도 지리산 기슭을 지나 남해 광양만으로 흐르는 섬진강이다.


동편제 고장인 남원과 구례는 지형적으로 지리산과 맞닿아 평야가 발달한 서편제와 소리가 다르다. 박자는 빠르고 기교는 적다. 대신 힘이 있다. 소리의 끝을 짧게 끊고, 시김새는 굵다. 기교와 수식이 돋보이는 서편제와 다른 점이다. 나머지 중고제는 경기도·충청도 지역 소리다.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교통수단이 발달했고, 이동에 드는 수고가 줄었다. 그 까닭에 지역으로 판소리를 구분하지 않고, 전승 계보에 따라 분류하기 시작했다. 19세기 전반 활동한 송흥록과 19세기 활동한 박유전이라는 인물은 전승 계보 분류의 시작점이다.

 

동편제는 송흥록으로부터 시작한다. 김세종, 정춘풍이 다음 세대로 계보를 이루면서 송흥록, 김세종, 정춘풍 계열이 자리를 잡았다. 송흥록 계열 소리는 남원·구례, 김세종 계열은 고창·순창이 중심이다.


하동에서 태어나 진주에서 사망한 소리꾼 이선유(1873~1949)는 동편제 송흥록, 김세종 두 계열을 모두 잇는 독특한 인물이다.

 

해당기사 더보기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소리꾼 이선유, 판소리 다섯 마당 오롯이 남긴 '독보적 목소리'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