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12-05(화)
 

다운로드 받으세요..




우리 민요는 전통 시대의 소산이므로 전통적인 문화의 이해 방식에 따라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 과거에 우리 문화는 상층과 하층의 갈등에 의해서 점진적 발전을 획득하였다. 하층 문화는 민속적 삶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에 좀체로 그 전승적 기반이 사라지지 않는 특징이 있다.


반면에 상층 문화는 문명권을 중심으로 해서 외래적인 문화가 유입되고, 문명권의 주역이 누군가에 따라서 또는 외래문화의 공급원이 어딘가에 따라서 하층 문화를 억누르기도 하고 돕기도 하면서 한민족 문화의 중요 부분을 빚어냈다 하겠다.1) 그러나 우리 민족의 주체성은 민속문화의 근저에서 찾아야 마땅하다.


특히 민요는 우리 민속문화의 종요로움을 보여주는 적절한 사례이다. 노동의 현장에서 사라지지 않으면서 일과 인간이 조화롭게 연결되기 위해서 반드시 소리를 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므로 민요는 노동이나 민속문화의 핵심 부위에 해당한다.


김헌선 - 경기대학교 교수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PDF] 논농사 민요의 지역적 분포와 상관관계 - 김헌선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