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멀리 동해바다 외로운 섬 오늘도 거센 바람 불어 오겠지/ 조그만 얼굴로 바람 맞으니 독도야 간밤에 잘 잤느냐/ 아리랑 아리랑 홀로아리랑 아리랑 고개를 넘어가 보자/ 가다가 힘들면 쉬어가더라도 손잡고 가보자 같이 가보자.’
한돌이 작사·작곡한 ‘홀로아리랑’은 통일의 기운이 충만한 이 땅의 3월에 가장 잘 어울리는 노래다. 지난해 북한예술단 공연에서 선보일 정도로 북한 주민들도 즐겨 부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2002년 김연자가 평양공연 때 처음 불렀고, 2005년 조용필이 북측의 요청을 받고 앙코르송으로 불렀다. 조용필은 노래를 들으면서 직접 악보를 필사해서 불렀다고 회고한다. KBS PD였던 박문영이 만들고, 정광태가 부른 ‘독도는 우리땅’과 더불어 독도를 노래한 대표적인 곡이다.
한돌은 이 노래를 독도에 갔다가 태풍을 만나 고립된 덕분에 만들 수 있었다. 일주일 동안 식량도 떨어져 고초를 겪다가 외로운 섬 독도와 아리랑을 접목해 명곡을 탄생시킨 것이다. 이 노래를 서유석이 불러서 크게 히트했다.
한돌처럼 통일에 대한 염원이나 저항정신 등을 담은 의미 있는 노래를 만들어서 히트곡 반열에 오르게 한 가수는 드물다. 한돌이 만들고 신형원이 부른 ‘터’와 ‘개똥벌레’는 각각 수십만장의 판매량을 기록했다. 김광석이 불러 히트한 ‘외사랑’도 마찬가지다.

Copyright ⓒ 2012 국악포털 아리랑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