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국악정보 검색결과
-
-
[KBS국악한마당 방송안내] 6월 3일 오후 12시 10분 (김주홍,이현숙,유태평양,권설후,표한진,김보라,유성실,유현지,왕기석,왕기철 등 출연)
- 이번 주 국악한마당은판소리사에 한 획을 그은'동리 신재효' 선생의 고향이자 국창 '진채선, 김소희' 선생 등 수많은 명창을 배출한 판소리의 고장 고창에서 전해드립니다.다채로운 국악 작품들과 함께 이번 주도 즐거운 주말 보내시기 바랍니다허튼소리II (자진난봉가)- 작곡/ 노름마치- 노름마치예술단노래/ 김주홍 코러스/ 이호원 안태림 가야금/ 오혜영 건반/ 오영빈허튼소리III (사설난봉가)- 작곡/ 노름마치- 노름마치예술단상춘야회 - 진유림류 입춤 소고- 안무/ 진유림 재안무/ 이현숙- 전통무용단 이음무용/ 이현숙 이주현 정세아 유은진 김민주 김재현심청가 中 심봉사 눈 뜨는 대목- 소리/ 유태평양 고수/ 유휘찬느닷 앤 판- 구성/ 사물놀이 느닷- 사물놀이 느닷꽹과리/ 권설후 징/ 표한진 장구/ 박성근 장미나북/ 주영호 버나.재담/ 이주용 윤정민 태평소/ 강병하아리랑 연곡- 절대歌인노래/ 김보라 유성실 유현지전속악단 다슬피리/ 고성모 아쟁/ 고갑렬 해금/ 고서영 대금/ 박신의 가야금/ 배유경 장구/ 오흥민흥보가 中 화초장 대목- 놀보/ 왕기석 흥보/ 왕기철전속악단 다슬
-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
[KBS국악한마당 방송안내] 6월 3일 오후 12시 10분 (김주홍,이현숙,유태평양,권설후,표한진,김보라,유성실,유현지,왕기석,왕기철 등 출연)
-
-
[KBS 국악한마당 방송안내] 7월 23일 (土) 오후 12시 10분 (황애리,배가영,정승준,김고은,양진수,이명훈,황시연,조정희 등 출연)
- ● 황애리‧배가영 편곡<그네를 뛰러 가세>오주하(OH!JUHA) - 황애리와 재즈피아니스트 배가영이 만나 결성한 재즈 판소리 듀오● 황애리 편곡<이논빼미>우쿨렐레/ 황애리, 기타/ 박상권, 베이스/ 이준호● 황애리 작사‧작곡 황애리‧배가영 편곡<연분홍>오주하(OH!JUHA)● 정승준 작곡 라폴라 편곡<연하(煙霞)>정승준, 피아노/ 조성란, 25현가야금/ 김고은, 생황/ 김고은● 조성란‧유용주 편곡<편락>정승준, 피아노/ 조성란, 바이올린/ 강하현, 첼로/ 최혜인● LUDI 작사‧작곡<자진난봉가>양진수, 전자악기/ LUDI, 해금/ 권예진● 양진수 작사‧작곡<급식체 재담>양진수, 대금/ 윤진우, 피리/ 김영서, 장구/ 임정욱● 이한철 작사‧작곡 George D.Blue 편곡<달거리>이한철, 김준식, 25현가야금/ 이지혜, 대금/ 이명훈● 이지수 작사‧작곡<백구사>에스진(S.Jin), 25현가야금/ 이지혜, 대금/ 이명훈♛ 꿈나무한마당● <김죽파류 가야금산조>황시연 (천안서당초 6학년), 장구/ 김태현● 판소리<수궁가 中 토끼 배 가르는 대목>조정희, 고수/ 고정훈
-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
[KBS 국악한마당 방송안내] 7월 23일 (土) 오후 12시 10분 (황애리,배가영,정승준,김고은,양진수,이명훈,황시연,조정희 등 출연)
-
-
“왔구나 왔소”…서도소리 ‘배뱅이굿’ 혼 되살리다 - ‘평안도 배뱅이굿’ 인간문화재 등재 박정욱 명창
- 흥겨운 소리ㆍ재담에 굿거리 장단 미신에 빠진 양반들 풍자한 해학 초등시절 라디오 통해 듣고 입문 스승의 소리에 생략된 전반 부분 탄생ㆍ사랑ㆍ죽음 극적 완성도 역점 춤,연희 도입 시각효과도 극대화 “본토 평양서 공연 보여주고 싶어” 왔구나 왔소이다. 왔소이다. 불쌍히 죽어 황천 갔던 배뱅이 혼이 평양 사는 박수무당의 몸을 빌고 입을 빌어 오늘에야 왔구나. 오마니 오마니. 우리 오마니는 어델 가구서 딸 자식 배뱅이가 왔다고 하는데도 모른 체하나요~.” 1920~1940년대 남도의 판소리가 서울에서 유행할 때 마천령 서쪽 지방인 평안남북도와 황해도 북부 지역인 관서지방(關西地方)에서는 ‘서도소리’의 하나인 배뱅이굿이 뜨고 있었다. 서도소리란 평안도와 황해도 일대에서 불려지던 민요와 선소리(立唱)·시창·잡가 등을 지칭한다. 특히 배뱅이굿의 전승에는 작고한 이은관(1917~2014, 국가무형문화재 제29호 서도소리 예능 보유자) 명창의 공이 컸다. 이 명창은 1950, 1960년대 전국 유랑 극장 쇼를 통해 이름을 알리기 시작, 1957년 영화 ‘배뱅이굿’에 출연해 스타가 됐고, 음반과 방송 출연으로 인기를 모았다. 격세지감이지만 이은관의 직계제자인 박정욱 명창(57ㆍ서도소리보존회 이사장)이 서도소리의 본향인 평안남도(도지사 이명우)로부터 ‘평안도 배뱅이굿’ 보유자로 지정받았다. 지난 3월28일 박 명창은 ‘평안남도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 제 36조 제3항 및 이북5도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규정’에 따라 무형문화재 배뱅이굿 인간문화재(보유자)가 됐다. ▶ 박정욱 프로필 “배뱅이 굿은 이미 국가무형문화재 제29호인 ‘서도소리’ 종목에 수심가와 함께 포함돼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에 서도소리 중에서도 배뱅이굿만 ‘보유자’로 지정받은 사실은 ‘서도소리’의 하나로 묻힌 배뱅이굿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제고하는 동시에 평안도ㆍ황해도 일대 실향민들에게는 큰 위안이 되실 수 있습니다.” 배뱅이굿의 내용은 귀하게 얻은 딸이어서 이름도 오래오래 살라며 ‘백의 백갑절(百百, 배뱅이)’로 지은 배뱅이가 상사병으로 죽으며 시작된다. 평양의 건달 청년 허풍만이 강산 유람차 서울에 들러 주막집 주모로부터 최정승 댁 배뱅이 아가씨의 내력을 듣고 배뱅이의 혼이라도 불러 보겠다고 벌인 굿판에 뛰어들어 가짜 박수무당 행세로 돈만 챙겨 떠나간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흥겨운 소리와 재담에 평양무당들의 굿거리 장단까지 한몫해 큰 인기를 얻었다. ▶ 해당기사 더보기
-
- 국악정보
- 국악인소식
-
“왔구나 왔소”…서도소리 ‘배뱅이굿’ 혼 되살리다 - ‘평안도 배뱅이굿’ 인간문화재 등재 박정욱 명창
-
-
[KBS 국악한마당 방송안내] 7월 4일 (土) 오후 12시 10분 (전병훈,소윤선,이승헌,구민정,김민정 등 출연)
- ● 전병훈 복원 <경기 성주풀이> 전병훈 해금/ 소윤선 피리/ 김태형 장구/ 이지안 ● 전병훈 복원‧개작 재담소리 <개넋두리, 각색 장사치 흉내> 전병훈 해금/ 소윤선 피리/ 김태형 장구/ 이지안 ● 이승헌 구성 <경기일색> 피리/ 이승헌 장구/ 서수복 ● <진쇠춤> 이동안진쇠춤보존회 ● 윤미라 재구성 <신칼대신무> 이동안진쇠춤보존회 ● 송다민 연출 서동희 안무 환술 <환희> 환술사/ 송다민 ● <평택농악> 평택농악보존회 ▸ 꿈나무한마당 ● 판소리 <흥보가 中 놀보 심술타령> 구민정 고수/ 김준수 ● 손다혜 작곡 해금/ 김민정 피아노/ 이채현 첼로/ 김영민
-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
[KBS 국악한마당 방송안내] 7월 4일 (土) 오후 12시 10분 (전병훈,소윤선,이승헌,구민정,김민정 등 출연)
-
-
공주시, 7월의 역사인물 박동진 명창 선정
- 국내 최초로 판소리 완창 행해… 65세 때는 미국 LA서 '성서 판소리' 공연 충남 공주시는 7월의 역사인물로 중요무형문화재 5호 판소리 적벽가 예능보유자 박동진 선생(1916~2003)을 선정했다. 시는 지난 3월부터 이달의 공주 역사인물을 선정하고, 각 인물의 생애와 역사적 의미를 기리고 있다. 시에 따르면 박동진 선생은 1916년 음력 7월 12일 당시 공주군 장기면 무릉리 365번지에서 출생했으며 아호(雅號)는 인당(忍當)이다. 1933년부터 시작된 박동진 선생의 소리 공부는 가난한 생활의 연속이었다. 그는 훗날 ‘국창’의 반열에 올랐을 당시 스승을 여럿 모시게 된 배경에 대해 “많은 공부를 하기 위해서”라고 밝혔는데, 그 이면에는 제대로 된 강습비를 내지 못해 귀동냥으로 배워야 했던 아픔이 숨겨져 있었다고 한다. 박동진 선생은 우리나라 판소리계 최초로 완창을 행한 인물이며, 65세 때는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성서 판소리’ 공연을 펼쳐 국위 선양에도 큰 업적을 남긴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걸쭉한 재담으로 TV에 출연해 판소리의 대중화에 기여했으며 “우리 것이 좋은 것이여”라는 유행어를 남기기도 했다. ▶ 해당기사 더보기
-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
공주시, 7월의 역사인물 박동진 명창 선정
-
-
김천금릉빗내농악 ‧ 남원농악,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예고 (보유단체도 같이 인정)
-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김천금릉빗내농악’(경북 김천), ‘남원농악’(전북 남원)을 6월 3일 국가무형문화재 신규 종목으로 지정 예고하고, 각 농악의 보존회를 해당 종목의 보유단체로 인정 예고하기로 하였다. 김천금릉빗내농악(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8호)은 경북 김천시(옛 금릉군 지역) 빗내마을에서 전승되어온 농악이다. ▲ 경북 내륙지역 특유의 꽹과리 가락, ▲ 양손으로 치는 웅장한 북놀음의 특징을 지니면서 ▲ 군사훈련에서 기원한 것으로 알려진 판굿의 군사진굿 거리가 가미되어 기존 농악과 차이가 있다. * 군사진(陣)굿 거리: 조선 시대 군사훈련 시 사용된 진(陣, 줄 또는 열) 풀이를 표현한 거리 김천금릉빗내농악을 전승하고 있는 ‘(사)김천금릉빗내농악보존회’는 폭넓은 연령대가 활동하고 있으며, 실연능력과 전승활동 실적, 전승의지가 탁월하여 보유단체로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남원농악(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7-4호)은 전북 남원시 일대에서 전승되어온 농악으로 ▲ 마을농악과 걸립(乞粒)농악의 전통을 모두 갖고 있다. ▲ 호남 지역의 농악 판제(마당밟이, 판굿)를 충실하게 전승하면서, ▲ 판굿 후반부에 펼쳐지는 도둑잽이굿과 개인놀이의 구성이 특이하고, ▲ 호남 좌도농악 특유의 부들상모를 이용한 상모놀음 등도 특징으로 꼽힌다.* 걸립농악: 전문적인 직업 농악꾼들이 지역사회를 다니며 마을의 공공자금을 마련하고자(걸립)하는 농악* 도둑잽이굿: 적군의 수장을 잡는 마당극 형식의 재담과 상여소리가 특징인 거리* 부들상모: 상모 끝에 매다는 털 장식이 부들부들하다고 붙은 이름 남원농악의 보유단체로 인정 예고된 ‘남원농악보존회’는 상쇠를 비롯한 회원들의 연행능력, 전통적인 가락의 조화, 개꼬리 상모 제작 능력 등 탁월한 전승기량을 갖추고, 지역사회와 연계되어 전승기반과 전승의지도 높은 것으로 평가됐다. 문화재청은 30일간의 예고 기간과 무형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적으로 ‘김천금릉빗내농악’, ‘남원농악’의 국가무형문화재 지정과 ‘(사)김천금릉빗내농악보존회’, ‘남원농악보존회’의 보유단체 인정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 해당기사 원문보기 ▲ 남원농악
-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
김천금릉빗내농악 ‧ 남원농악,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예고 (보유단체도 같이 인정)
-
-
[국악포털 아리랑] 2019년 3월 - 월간 국악관련 뉴스
- ▼ 아래 뉴스 제목을 클릭하세요~ 1. 청와대로 간 퓨전국악밴드 '비단' - 전 세계 독립유공자 후손 초청 오찬 행사에 초대 2. '너목보6' 김우정, '작야' 열창…문체부 장관상 받은 실력파 국악인 3. 함완식 송파산대놀이(국가무형문화재 제49호) 예능보유자- 250년전 탈춤 신명 그대로… 4. [김승국의 국악담론] 깡갱이 (깡깽이, 깽깽이, 깡깡이 라 불리기도 함) - 해금이야기 5. 안동시, 안동차전놀이 전수교육관 증축...차전놀이 계승·발전 앞장 6. [장용석의 우리시대 음악이야기] 국악 전문 공연장과 국악 전문 레코딩 스튜디오 7. 인권위 “무형문화재 전수장학생 선정서 여성 배제는 차별” 8. '3.1 독립운동 100주년'…'한국의 명인명무전' 100번째 공연 '명불허전' 개최 9. 남원 국립민속국악원, 일반인 대상 국악강좌 '청출어람' 운영 10. 경주시립신라고취대 신임예술감독에 <이경섭> 작곡가 위촉 11. 양방언, 국악관현악 만들었다 '아리랑로드 디아스포라' 12. 충남 중고제 판소리진흥원 개원…국악원 분원 공주 유치 본격화 13. 국회에 울려퍼질 창작판소리 '백범 김구 - '명창 임진택, 임시정부·임시의정원 100주년 기념공연" 14. 진도 巫女의 딸 송가인, TV조선 트로트 오디션 프로그램 '내일은 미스트롯' 돌풍 15. 국악방송, 나미춘 윤태진·소리꾼 유태평양의 ‘토토춘’ 특집방송 진행 16. 무등산서 울리는 판소리 적벽가…광주문화재단 전통문화관에서 3월 16일,17일 김일구 명창 공연 17. 명창 현미의 소리길 두 번째 프로젝트…춘향가 완창 ‘보고지고' - 3월 23일 한국문화의집(코우스) 18. 전남도, 단절 우려 큰 해남 우수영 ‘부녀농요’ · 곡성 ‘초고장’ 추진 - ‘무형문화재’ 영상기록으로 19. 3월 7일 평창둔전평농악보존회, 서낭굿농악 및 서낭제 열렸다 20. 정읍사국악원·정읍농악전수회관 제55기 국악연수생 모집 (3월 29일까지) 21. 퓨전국악 IMaGe(이미지), 세계 보안 엑스포에서 '러블리 매력 폭발' 22. 인천공항, 창립 20주년 기념 3월 상설공연… 퓨전클래식 그룹 ‘뮤지스’ 23. 제주농요, 제주시 창민요, 제주큰굿, 영감놀이 등 무형문화재 전수관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24. 보령시, 3월21일 외연도 일원에서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외연도 당제’ 개최 25. 유태평양,김준수,이윤아,고영열…입덕 부르는 ‘국악계 아이돌’ 26. 제36회 한국국악대상 경기민요부문에 서울무형문화재 제38호 재담소리예능보유자 최영숙씨 27.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국립국악원 제작, 국악 교육 위한 합주 어플리케이션 '우앙' 출시
-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
[국악포털 아리랑] 2019년 3월 - 월간 국악관련 뉴스
-
-
정읍시, 3월 26일 연지아트홀에서 '토크 콘서트 오정해의 농담' 열려
- (사)둘레 주관 ‘문화특화지역 조성사업’ 일환, 11월까지 매월 마지막 주 화요일 진행 영화 서편제로 유명한 대표 국악인 오정해씨가 오는 3월 26일 연지아트홀에서 ‘토크 콘서트 오정해의 농담’을 갖는다. ▶오정해 프로필 이날 오씨는 직접 진행자로 나서 시에 대한 이야기와 음악을 들려줄 예정이다. 특히 오씨 특유의 재담과 비밀 게스트와의 만남도 선보일 예정이어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오씨의 콘서트는 시와 사단법인 둘레(이사장 안수용, 이하 둘레)가 추진하고 있는 문화특화지역 조성 일환으로 마련됐다. 문화특화지역 조성 사업은 시와 둘레가 시민 모두가 즐기고 공감할 수 있는 문화 조성과 지역 간 문화 격차 해소, 그리고 지역 문화 역량 강화를 위해 마련됐다. 관련 프로그램은 올해 11월까지, 매월 마지막 주 화요일 오후 7시에서 진행된다. 이번 토크 콘서트는 그 일정의 시작이다. 행사 관계자는 “시작(詩作)을 부제로 한 ‘오정해의 토크콘서트 농담’을 시작으로 이후 매월 화작(華作)과 수작(手作) 등 여러 가지를 부제로 한 다양한 콘셉트의 이야기와 공연을 진행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이번 공연의 티켓은 ‘티켓링크 (www.ticketlink.co.kr) 에서 예매하면 된다. 1인 당 1만원으로 오는 18일부터 예매할 수 있다 ▶ 해당기사 더보기
-
- 국악정보
- 국악인소식
-
정읍시, 3월 26일 연지아트홀에서 '토크 콘서트 오정해의 농담' 열려
-
-
광산농악보존회 11월 11일 '도둑잽이굿 (잡색놀이)' 공연..광주전통문화관
- '꽹과리와 북·재담·노래'가 어우러진 광주무형문화재 '잡색놀이'가 무대에 오른다. 광주문화재단 전통문화관은 11월 11일 오후 3시 너덜마당에서 광주시무형문화재 제8호 광산농악보존회의 '도둑잽이 굿(잡색놀이)'을 공연한다고 8일 밝혔다. '잡색'은 꽹과리·북·장구·징·소고 등의 악기를 연주하는 농악대의 뒤를 가면을 착용한 재담꾼이 따라다니며 펼치는 전통놀이다. '도둑잽이 굿'은 호남우도농악에서 볼 수 있는 잡색놀이의 일종으로 광산농악보존회는 이날 공연에서 광산농악을 전승하고 있는 후손들이 동작과 대사 등을 전통적인 연희 성격의 민속극 형태로 제작해 선보인다. 무대는 내드름 굿, 오채질 굿, 도둑잽이 굿, 허허 굿, 구정놀이, 섞음 굿 순으로 진행된다. 도둑잽이 굿은 상쇠, 징, 장구, 소고 등 악기를 연주하는 아군과 대포수, 할미, 양반, 창봉, 각시 등 탈을 쓴 잡색들이 굿을 펼치며 대포수가 사회적 재앙을 물리치는 역할을 담당하면서 갖은 역경을 겪는 모습을 보여준다. 공연에는 전미희(대포수), 한승철(참봉), 김이권(양반), 류은경(홍적삼), 최미희(바리쇠), 이명운(조리중), 반연희(할미), 서애자(각시), 장양례(좌창), 권오순(우창) 등이 출연한다 ▶해당기사 더보기
-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
광산농악보존회 11월 11일 '도둑잽이굿 (잡색놀이)' 공연..광주전통문화관
-
-
[방송안내 - 국악팟캐스트 아리랑] 서울젊은국악축제 공연실황 3.4. 경기소리계의 이단아 이희문과 놈놈(신승태,조원석) + 재즈밴드 프렐류드 - 경기민요재즈
- 2018년 6월 27일부터 3일간 서울노원문화회관에서 개최되었던 2018 서울젊은국악축제 마지막날 공연실황중 일부입니다. 경기소리계의 이단아 이희문과 남성소리집단 프로젝트 놈놈 (신승태,조원석), 미국 버클리대 출신 남성 4인조 재즈밴드 프렐류드가 만나 관객을 사로잡는 음악성과 파격적인 비주얼로 최고의 콜라보레이션 무대를 선보입니다. 민요와 재즈가 지닌 고유의 정서와 음악성을 융합한 경기민요재즈라는 새로운 장르를 제시했다는 호평을 받고 있습니다. ★ 소개곡 1. 갈까보다 - 경기잡가 평양가2. 자진아리 - 서도민요 자진아리랑3. 난봉가 - 황해도 민요4. 이리렁성 저리렁성 - 경기민요 방아타령 ▶서울젊은국악축제3 공연실황 방송 듣기 *********************************************** ★ 소개곡 1. 육칠월 흐린날 - 서울지방 휘모리잡가 (남의 집 머슴살이하는 총각의 모습과 생활을 익살스럽게 묘사하는 내용)2. 신봉사 덕담 - 재담 신승태3. 청춘가 - 경기민요 (가는 세월과 인생의 덧없음을 비유하며 주로 청년을 훈계하는 내용)4. 뱃노래 - 경기민요 5. 앵콜송 난봉가 - 황해도민요 ▶ 서울젊은국악축제4 공연실황 방송 듣기
-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
[방송안내 - 국악팟캐스트 아리랑] 서울젊은국악축제 공연실황 3.4. 경기소리계의 이단아 이희문과 놈놈(신승태,조원석) + 재즈밴드 프렐류드 - 경기민요재즈
공연소식 검색결과
-
-
7월 23일 민속극장 풍류 - 2022 국가무형문화재 발탈 기획공연 발악(樂)
- 1. 공연명 : 2022 전승지원사업 기획행사 - 국가무형문화재 발탈 기획공연 발악(樂) 2. 장소 : 서울 민속극장풍류 ▶ 지도보기3. 날짜 : 2022년 7월 23일 (토요일)4. 시간 : 오후 3시 5. 티켓료 : 전석 무료초대6. 문의 : 02-3011-21667. 공연정보 더보기 ▶ https://han.gl/iuxJk ◆ 주최.주관 : 국가무형문화재 발탈 전승교육사 김광희 발탈은 발에다 탈을 걸고 앉아 재담꾼과 함께 연행하는 것으로 그 시원은 확실히 알 수 없으나 이미 한말 때부터 있었던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발탈은 사람이 직접 출연하는 탈춤과 인형이 보여주는 재담꾼들의 무대 공연물의 하나로 전통예능의 가치를 인정받아 1983년에 국가무형문화재 제79호로 지정되었다
-
- 공연소식
- 서울
-
7월 23일 민속극장 풍류 - 2022 국가무형문화재 발탈 기획공연 발악(樂)
-
-
12월 17~18일 서울남산국악당, 연희집단 The광대의 기획공연 '연희땡쑈'
- 1. 공연명 : 못 말리는 안블리와 더광대의 '연희땡쑈'2. 장소 : 서울남산국악당 ▶ 지도보기3. 날짜 : 2021년 12월 17월 (금)~18일 (토)4. 시간 : 금요일 오후 7시 30분 / 토요일 오후 5시5. 티켓료 : 30,000원 6. 문의 : 070-7695-97707. 네이버 예약하기 ▶ https://booking.naver.com/booking/12/bizes/618136◆ 출연진 : 안대천, 선영욱, 민현기, 김용훈, 배정찬, 박다열문굿, 재담, 탈춤, 사자춤, 땅줄놀이까지 온갖 놀이와 (작은)반전에 (사소한)반전을 거듭하는 연희 콘서트!
-
- 공연소식
- 서울
-
12월 17~18일 서울남산국악당, 연희집단 The광대의 기획공연 '연희땡쑈'
-
-
국립국악원, 10월 16일~31일 '우면산별밤축제 - 줄타기,비보잉,창작연희,밴드 만난 국악' 온라인 공연
- 줄타기에서 비보잉, 창작연희, 밴드 만난 국악까지 국립국악원, 야외 음악 축제 ‘우면산별밤축제’의 6개 출연팀, 온라인 공연으로 선보여 고래야×진조크루, 줄타기 남창동, 억스,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지순자․김원민 명인 등 출연해 □ 야외 공연장인 국립국악원 연희마당에서 매년 뜨거운 관객들의 환호를 받으며 펼쳐지는 ‘우면산별밤축제’가 올해는 온라인 영상 공연으로 관객을 만난다. □ 국립국악원(원장 임재원)은 코로나19로 인해 올해 ‘우면산별밤축제’를 지난 9월 무관객 녹화로 진행해 오는 10월 16일(금)부터 31일(토)까지 매주 금, 토요일 저녁 8시, 국립국악원 유튜브와 네이버TV를 통해 공개한다. 가을 밤 즐기는 신명나는 줄타기부터 창작연희, 재즈 ․ 비보잉 ․ 밴드 음악 만난 국악까지 고래야, 진조크루, 억스,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가야금 지순자․연희 김원민 명인 등 출연 □ 올해 ‘우면산별밤축제’의 무대는 이 시대 국악의 다양한 매력을 접할 수 있는 다채로운 출연진들로 꾸며진다. 16일(금) 오르는 첫 무대는 재담꾼 남해웅, 줄타기꾼 남창동 부자(父子)와 국악단소리개가 함께 신명 가득한 기운을 전하고, 17일(토)엔 국립국악원 민속악단이 재즈와 접목한 전통 음악의 색다른 리듬과 변주를 전한다. □ 둘째 주인 23일(금)에는 세계 비보이 5대 메이저 대회를 석권한 비보잉 그룹 ‘진조크루’와 미국 NPR 출연 등 해외 활동으로 유명한 국악 팝밴드 ‘고래야’와 비트박스의 ‘김시영’이 만나 색다른 무대를 선보이고, 24일(토)에는 창작연희그룹 ‘필락’이 출연해 유쾌한 재담과 흥겨운 풍물 기예로 온라인 객석을 뜨겁게 달굴 예정이다. □ 마지막 주인 30일(금)은 가야금의 지순자 명인과 연희의 김원민 명인, 전통연희단 꼭두쇠가 만나 별산대 놀이를 중심으로 한 깊이 있는 무대를 전하고, 마지막 31일(토)에는 국악밴드 ‘억스’와 ‘듀오벗’, ‘누모리’가 출연해 서정적이고 열정적인 음악으로 가을밤을 수놓을 예정이다. □ 국립국악원 ‘우면산별밤축제’는 10월 16일(금)부터 31일(토)까지 매주 저녁 8시 국립국악원 유튜브와 네이버TV를 통해 무료로 관람 가능하다. ▶ 국립국악원 ▶국립국악원 유튜브
-
- 공연소식
- 서울
-
국립국악원, 10월 16일~31일 '우면산별밤축제 - 줄타기,비보잉,창작연희,밴드 만난 국악' 온라인 공연
-
-
못난 우리 모두를 위한 굿 ‘봄내굿’ - 8월 26일~27일 서울 대학로 자유극장
- ■ 연희연출가 '선영욱'이 한국예술종합학교의 콘텐츠 지원 공모 사업 2020 K-Arts On Road에 선정되어 오는 8월 26-27일 대학로 자유극장에서 <봄내굿>을 선보인다. 선영욱은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전통연희를 공부한 후 버나놀이, 탈춤, 재담 등 우리 전통연희와 이러한 요소를 소재로 새롭게 창작한 창작 연희극을 위주로 활동해온 연희 연기자이다. 그간 창작 연희 작업을 하며 '연희 전문 연출가'의 부재에 아쉬움을 느낀 그는 무대 위에 오르는 연행하던 ‘실연자’에서 ‘연희연출가’로 본인의 영역을 확장했다. 지난해 국립무형유산원의 전통공연 연출가 발굴공모전 ‘출사표’에 선정되어 초연된 선영욱 연출 <봄내굿>은 그해 선정된 네 작품 중에서도 관객과 관계자에게 우수한 평가를 받아 선정작 중 최우수작(최우수 연출가)으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이어서 올해에는 모교인 한국예술종합학교의 콘텐츠 지원사업인 2020 K-Arts On Road에 선정되며 다시 한번 작품성을 인정받아 서울에서도 관객들을 만나게 되었다. '봄내굿'은 국가무형문화재 동해안별신굿에서도 잊히고 있는 작은 굿놀이인 '춘향놀이'를 모티브로 창작된 새굿놀이다. ‘춘향놀이’는 몇날며칠 이어지는 긴 굿에 지친 무당과 관객을 달래는 놀이로, 여장한 남무 ‘춘향’과 ‘춘향오래비’ 등 남자 무당들이 관객을 신관사또로 모셔놓고 악기나 무구 등을 활용해 논다. 이러한 춘향놀이의 연극적인 요소와 관객들과 실컷 웃고 즐기는 놀이적 요소에 주목하고, 동해안별신굿 특유의 걸쭉한 사투리와 재담, 굿음악에 ‘봄내’라는 새로운 캐릭터를 입혀 하나의 작품으로 만들었다. 못난 얼굴 때문에 '이도령'에게 버림받은 것이 한이 되어 저승에도 가지 못한 못난 귀신 봄내와 화랭이(동해안별신굿의 남무)는 사또에게 수청을 들어 자신의 한을 풀겠다며 계략을 짜는 ‘굿놀이’ 특유의 유쾌한 이야기 진행과 더불어 동해안별신굿 특유의 사투리 재담, 장단을 활용한 익살스러운 연희극으로 관객들의 웃음과 감동을 자아낼 예정이다. 이번 작품에는 특유의 독보적인 ‘유쾌함’으로 자신만의 색을 구축하고 있는 ‘안대천’, 경기민요 소리꾼으로써 타악연주, 연희연기까지 다재다능한 연희를 보여주는 ‘여성룡’ 그리고 굿과 창작음악을 아우르는 음악가 ‘황민왕’ 등 3인의 출연진을 비롯해 조정일 작가, 김려원 무대디자이너, 김수연 기획PD 등 한예종 출신의 다양한 예술가들이 참여한다. 이번 공연은 무료초대로, 구글폼을 통해 예약 가능(https://forms.gle/j2a6pSHq2oHRikzS7)하며 자세한 공연 안내는 연희집단 The 광대 블로그(https://blog.naver.com/the_gwangdae/222059669971)를 참고할 수 있다. 문의 : 010-7427-2510
-
- 공연소식
- 서울
-
못난 우리 모두를 위한 굿 ‘봄내굿’ - 8월 26일~27일 서울 대학로 자유극장
-
-
여성룡, 박인선의 재담소리극 쇼케이스 _ 12월 1일 인천 문학시어터
-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공연명 안해본소리 프로젝트 재담소리극 <팔도보부상> 장소 문학시어터 날짜 2019년 12월 1일 시간 오후 4시 티켓료 10000 출연진 여성룡, 박인선, 박상흠, 타무라료 문의전화 010-7427-2510 공연정보 더보기 https://blog.naver.com/ryong_arts/221713624596
-
- 공연소식
- 인천,경기
-
여성룡, 박인선의 재담소리극 쇼케이스 _ 12월 1일 인천 문학시어터
-
-
연희집단 The 광대 2018 '굿모닝 광대굿' _10/27-28 코엑스 오디토리움
-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공연명 굿모닝 광대굿 장소 코엑스 오디토리움 일시 2018. 10. 27. 저녁 7시 / 10. 28. 오후 4시 티켓료 전석 20,000원 주관 연희집단 The 광대 후원 한국무역협회, 서울문화재단 제작진 작 한혜정 연출 김서진 음악감독 황민왕 무대 김려원 조명 한희수 의상 김미나 소품 김다정 음향 김성민 무대감독 한성수 기획 김수연 김윤미 안영지 출연진 안대천 선영욱 허창열 이상영 배정찬 김용훈 황민왕 연희그룹 천우(임종현 박다열 전지환) 김민영 문의전화 연희집단 The 광대 070-7695-9770 공연 정보 더보기 • 예매 - 네이버예약 https://booking.naver.com/booking/5/bizes/186314 - 인터파크 http://ticket.interpark.com/Ticket/Goods/GoodsInfo.asp?GoodsCode=18012936 • The광대 블로그에서 더 보기 https://blog.naver.com/the_gwangdae/221368990294 깨어나시오, 아침이오! 습관 너머 특별함을 깨우치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광대들의 굿 먹어봐야 알고, 찔러봐야 알고, 넘어져 봐야 알고, 죽어봐야 아는 게 인간! 광대들이 무당과 저승사자 되어 살아있지만 사는 재미 모르는 이들을 망자의 세계로 데려간다. 망자들을 단장하고 씻기며 염라대왕 앞에 대령시킬 준비를 하는 무당들. 허나 저승사자 눈에는 망자의 꼴이 여간 풋내 나는 것이 아니다. 그리하여 아까운 죽음은 뒤로 미루고 새 아침을 맞이할 망자를 위한 굿판이 벌어진다. 가짜 굿판 속에서 광대는 요란한 삶을 익살스러운 재담으로 읊어내고, 음침한 죽음을 신명 나는 노래와 춤으로 몰아내며, 우렁찬 닭 울음으로 어제보다 재미나고 살 맛나고 멋질 우리 인생의 시작을 깨운다. 본 프로그램은 서울문화재단의 「2018년 서울메세나 지원사업」 지원금으로 추진됩니다.
-
- 공연소식
- 서울
-
연희집단 The 광대 2018 '굿모닝 광대굿' _10/27-28 코엑스 오디토리움
-
-
4월 22일 국립국악원 - 서울시무형문화재 제38호 재담소리 보유자지정 기념공연 '최영숙의 재담소리'
-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공연명 '최영숙의 재담소리' 장소 서울 서초동 국립국악원 예악당 ▶ 지도보기 날짜 2018년 4월 22일 (일요일) 시간 오후 5시 티켓료 R석 50,000원, S석 30,000원, A석 10,000원 출연진 ▶ 최영숙 프로필, 이두영, 배수옥, ▶정남훈 프로필 ▶ 김혜영 프로필 ▶김혜란 프로필, 한진자, ▶ 김선란 프로필, 오시원, ▶ 김점순 프로필 문의전화 02-523-6268 공연정보 더보기
-
- 공연소식
- 서울
-
4월 22일 국립국악원 - 서울시무형문화재 제38호 재담소리 보유자지정 기념공연 '최영숙의 재담소리'
-
-
[수어지교3] 노민아의 판소리 戀歌 (연가) - 1월 24일 서울돈화문국악당
-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공연명 [수어지교3] 노민아의 판소리 戀歌 (연가) 장소 서울돈화문국악당 ▶ 지도보기 날짜 2018년 1월 24일 (수요일) 시간 오후 7시30분 티켓료 전석 10,000원 (할인 50%-20%) 출연진 소리 ▶ 노민아 프로필 , 고수 방지원 문의전화 02-3210-7001~2 공연정보 더보기 ▶ https://goo.gl/a84xgr "전통 판소리만으로도 판소리의 진미를 전달할 수 있다"는 믿음으로 자신만의 무대를 만들어 온 소리꾼 노민아는 <戀歌(연가): 세상의 온갖 사랑>에서 "사랑"을 주제로 하는 판소리 눈대목을 모아 전한다.여러 타악기가 어우러져 더욱 생동감 넘치는 소리를 감상하게 하며, 소리꾼의 재담으로 듣는 곡 소개는 관객들이 보다 쉽고 재미있게 판소리를 즐길 수 있게 한다.
-
- 공연소식
- 서울
-
[수어지교3] 노민아의 판소리 戀歌 (연가) - 1월 24일 서울돈화문국악당
-
-
[한국문화재재단] 한국의 마당놀이, 3월30일~4월6일(매주 목요일) 민속극장 풍류
-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한국의 마당놀이 영남의 탈놀이, 풍류 마당 납시오! 소백산맥과 낙동강이 품어낸 한반도의 아랫녘 영남지방. 특히 안동부터 부산, 통영으로 이어지는 영남지방의 탈놀이는 신명난 타악 반주에 무심하게 얹어지는 맨손 춤사위와 툭툭 내뱉는 투박한 사투리 재담에서 영남지방 특유의 재치와 기질이 묻어난다. 만물이 생동하는 봄, 영남의 탈놀이 중에서도 서울에서 보기 어려웠던 안동의 하회별신굿탈놀이, 통영의 오광대, 부산의 수영야류가 민속극장 풍류를 마당삼아 서울 한복판에서 신명나는 놀이판을 벌인다. ○ 일정2017. 3. 30. ~ 2017. 4. 13. | 목요일 19시 30분 (총 3회) 1회 2017. 3. 30. 하회별신굿탈놀이 2회 2017. 4. 6. 통영오광대 3회 2017. 4. 13. 수영야류 ○ 사회김종엽 (국가무형문화재 제17호 봉산탈춤보존회 회장) ○ 관람료전석 5,000원 ○ 장소국가무형문화재전수교육관 민속극장 풍류 (9호선, 분당선 선정릉역 3번출구) ○ 주최한국문화재재단 ○ 후원문화재청 ○ 온라인 예매 https://booking.naver.com/booking/12/bizes/74738 ○ 문의02-3011-2178 www.chf.or.kr ○ 페이스북 www.facebook.com/pungryu ○ 프로그램 (1회) 3. 30. 목. 오후7시30분 – 하회별신굿탈놀이 하회별신굿탈놀이는 강원, 경북 등 동부지역을 중심으로 전하는 서낭당 계통의 탈놀이이다. 탈의 조형미가 높아 국가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서낭굿 탈놀이 계통의 몇 남지 않은 연희라는 점에서 그 가치가 인정되고 있다. 각 마당마다 독특한 걸음새와 풍물 꽹과리가 중심으로 즉흥적인 춤사위가 특징이다. 대사보다 소박한 춤사위가 중심이 되지만, 양반과 선비가 주고받는 농(재담)에서는 ‘아재개그’가 돋보이기도 한다. 공연내용강신 – 무동마당 – 주지마당 – 백정마당 – 할미마당 – 파계승마당 - 양반⦁선비마당 출연자국가무형문화재 제69호 하회별신굿탈놀이 보존회 (2회) 4. 6. 목. 오후7시30분 - 통영오광대 통영오광대는 100여 년 전 창원에서 활동하던 이화선이 통영에 와서 가르쳤다는 설과 통영 사람들이 창원오광대를 보고 와서 시작된 것이라는 설이 있는데, 두 설 모두 창원의 오광대를 토대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도시에서 발달한 산대도감 계통의 탈놀이로 분류 된다. 다섯마당을 논다고 해서 오광대라고 붙여진 것으로 보이는데, 오행설에서 그 연원을 찾기도 한다. 꽹과리에 맞춰 추는 문둥이춤이 매우 인상적이며, 가산오광대나 고성오광대에는 없는 사자춤이 있는 것도 통영오광대의 특징이다. 문둥이는 권력으로부터 억압적 위치에 있는 사회적 약자, 민중을 상징한다는 점에서 타 지역의 탈놀이에 비해 더욱 민중적 요소가 강한 탈놀이라고 할 수 있다. 공연내용법고탈 – 풍자탈 – 영노탈 – 농창탈 - 포수탈 출연자국가무형문화재 제6호 통영오광대 보존회 (3회) 4. 13. 목. 오후7시30분 - 수영야류 수영야류는 오리지널 부산 사투리가 진하게 녹아 있는 탈놀이로, 풍자의 정도가 하회별신굿탈놀이나 통영오광대보다도 더 노골적이다. 동래야류에서 보이는 문둥이춤과장이 없는 대신 사자무과장이 있는 점이 특징이다. 사물 타악 반주에 맞추며, 탈놀이 시작 전 행하는 길놀이가 다른 탈놀이에 비해 매우 화려하고 성대하다. 양반으로 비유되는 권력의 무능과 허세, 그리고 이중성에 대해 신랄하게 풍자하는 대표적인 탈놀이이라고 할 수 있다. 공연내용양반과장 – 영노과장 – 할미⦁영감과장 - 사자무과장 출연자국가무형문화재 제43호 수영야류 보존회
-
- 공연소식
- 서울
-
[한국문화재재단] 한국의 마당놀이, 3월30일~4월6일(매주 목요일) 민속극장 풍류
-
-
가무별감 박춘재의 황제를 위한 콘서트3 - 10월 매주(토) 서울 종로구 무계원
-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공연명 가무별감 박춘재의 황제를 위한 콘서트 3 장소 전통문화공간 무계원(종로구 부암동) 날짜 2016. 10. 8(토)/15(토)/22(토)/29(토) 시간 16:00 티켓료 무료초대 출연진 박춘재역(재담소리꾼) ▶정남훈 프로필 10.8(토) : 휘몰이잡가 예능보유자 박상옥 판소리 흥보가 예능보유자 정순임 10.15(토) : 가곡 전수조교 이오규 서도소리 예능보유자 이춘목 10.22(토) : 삼현육각 해금 예능보유자 김무경 경기민요 전수조교 김금숙 10.29(토) : 재담소리 예능보유자 백영춘 재담소리 전수조교 최영숙 문의전화 02-379-7131 공연정보 더보기 http://www.jfac.or.kr
-
- 공연소식
- 서울
-
가무별감 박춘재의 황제를 위한 콘서트3 - 10월 매주(토) 서울 종로구 무계원
국악동영상 검색결과
-
-
[국악동영상] 민요와 재담 '개타령' - 유지숙 & 이나라 & 김초아
- 민요와 재담이 함께하는 곡으로 빠른 장단과 익살스런 노랫말, 동물을 묘사하는 의성어가 돋보인다. ▶ 유지숙 프로필 ▶ 이나라 프로필 ▶ 김초아 프로필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성악)
- 민요.잡가
-
[국악동영상] 민요와 재담 '개타령' - 유지숙 & 이나라 & 김초아
-
-
[국악동영상] 재담소리 '개넋두리' - 소리 최영숙, 장구 정남훈
- 개넋두리는 '한양굿' 12거리 중 하나인 '조상거리'를 바탕으로 해학과 재미를 담은 재담소리이다. 오뉴월에 잡아먹힌 개의 넋이 무당에게 들어와 한풀이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최영숙 프로필 , ▶ 정남훈 프로필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성악)
- 성악 기타
-
[국악동영상] 재담소리 '개넋두리' - 소리 최영숙, 장구 정남훈
-
-
국가무형문화재 제58호 '줄타기' - 인간문화재 '김대균' 명인
- 줄타기는 공중에 맨 줄 위에서 재미있는 이야기와 발림을 섞어가며 여러 가지 재주를 보여주는 놀이이다. 줄 위를 마치 얼음지치듯 미끌어지며 나가는 재주라 하여 '어름' 또는 '줄얼음타기'라고도 한다. 주로 음력 4월 15일이나 단오날, 추석 등 명절날에 연희되었으며, 개인의 초청에 응해서 돈을 받고 놀아 주는 경우도 있었다. 줄타기 놀이의 유래는 서역에서 비롯되었다는 설과 중국 한나라 때 발생했다는 설이 있으나 우리나라에는 정확한 기록이 없다. 줄타기는 조선시대에 두 계통으로 나뉘어 발달했다. 하나는 주로 양반층을 위해 공연되었던 광대줄타기로 순수하게 줄타기로만 구성되어 기술의 종류나 솜씨에서 뛰어났다. 다른 하나는 남사당패의 어름줄타기로 서민들을 위해 공연되었던 만큼 재담이나 오락성이 뛰어났다. ▶ 자료 더보기 ▶ 예능보유자 김대균 프로필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놀이.종합
-
국가무형문화재 제58호 '줄타기' - 인간문화재 '김대균' 명인
-
-
발탈 - 국가무형문화재 제79호
- 발탈은 발에다 탈을 걸고 앉아 재담꾼과 함께 연행하는 것으로 그 시원은 확실히 알 수 없으나 이미 한말 때부터 있었던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발탈은 사람이 직접 출연하는 탈춤과 인형이 보여주는 재담꾼들의 무대 공연물의 하나로 전통예능의 가치를 인정받아 1983년에 국가무형문화재 제79호로 지정되었다.이 영상물에는 발탈의 역사적 유래, 발탈제작과정, 발탈연행 전과정, 전승현황 등 발탈에 관한 내용을 상세히 수록하고 있다. : 국립문화재연구소 1983년 이동안 선생이 초대 발탈 예능보유자로 인정됐고, 이어 제자였던 박해일 (2007년 작고), 조영숙, 박정임 선생이 보유자로 인정됐다.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놀이.종합
-
발탈 - 국가무형문화재 제79호
-
-
장님타령 - 백영춘, 최영숙
- ▶ 백영춘 프로필 ▶ 최영숙 프로필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성악)
- 성악 기타
-
장님타령 - 백영춘, 최영숙
-
-
재담소리 '백영춘 최영숙 부부' - KBS 아침마당 출연
- ▶ 백영춘 프로필 ▶ 최영숙 프로필
-
- 국악동영상
- 기타
- 다큐.강의.정보
-
재담소리 '백영춘 최영숙 부부' - KBS 아침마당 출연
-
-
한오백년, 강원도아리랑, 청춘가, 창부타령 - 박윤정 & 서울재담소리- 정남훈
- ▶ 박윤정 프로필 ▶ 정남훈 프로필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성악)
- 민요.잡가
-
한오백년, 강원도아리랑, 청춘가, 창부타령 - 박윤정 & 서울재담소리- 정남훈
-
-
남사당놀이와 어름 줄타기 (어름산이 권원태)
- 남사당패의 풍물·버나·살판·어름·덧뵈기·덜미 등 여섯 가지 놀이 종목 중 하나로 놀아지던 ‘어름줄타기’이다. 남사당 놀이는 '남자로 구성된 유랑광대들의 놀이'라는 의미로 꼭두쇠(우두머리)를 비롯해 남자들로 구성된 유랑연예극단인 남사당패가 서민층을 대상으로 조선 후기부터 연행했던 놀이로 국가 중요무형문화재 3호이며 2009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됐다. 우리나라의 줄타기는 외국의 줄타기와 달리 줄만 타는 몸기술에 머무르지 않고 소리와 재담을 곁들여, 줄타는 사람과 구경꾼이 함께 어우러진 놀이판을 이끄는데 그 의의가 있다. ▶ 줄타기 권원태 홈페이지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놀이.종합
-
남사당놀이와 어름 줄타기 (어름산이 권원태)
국악인프로필 검색결과
-
-
하영란 - 풍물, 안성남사당놀이
- ☆ 하영란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북, 풍물, 웃다리농악 수련과정ㅣ학력 故 김기복 선생에게 안성남사당풍물놀이 사사故 이수영 선생에게 덜미 사사김선옥 선생에게 진주삼천포농악 소고 사사서울예술대학교 국악과 졸업경기도무형문화재 제21호 안성남사당풍물놀이 이수자서울시무형문화재 제38호 재담소리 전수자 활동 경력 현) 사단법인 청소년 선도위원회 안성시 지부 상임이사현) 안성시 일죽면 주민자치 아리아 실버문화단 단장현) 안성시 남사당 전승지원학교 전임강사현) 안성시립남사당바우덕이풍물단 상임단원 수상 경력 1988 전주대사습놀이 농악부문 장원 (안성남사당풍물놀이팀)1989 제30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대통령상 (안성남사당풍물놀이팀) 1998 전국대학생 난계국악제 최우수상2007 헝가리 세계민속축제 뷰티콘테스트 설장구 개인놀이 대상2013 재능나눔대상 수상 홈페이지ㅣSNS https://bit.ly/3pEXfGw [남사당바우덕이풍물단 홈페이지]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pZqOtXVrudA [앉은반 설장구 공연] 기타 안성남사당 풍물놀이는 조선조 말기 유랑집단 연희패의 대를 이어 안성북당 부락에 이어져온 놀이마당으로쇠가락의 다양함이나 경쾌함이 타 지방에 비해 뛰어나며 고도의 놀이기술을 필요로 한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국악인 측에서 직접 제공한 자료 또는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정리한 내용이며, 공개된 정보를 수집, 정리한 것은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카,타,파,하
-
하영란 - 풍물, 안성남사당놀이
-
-
박인선 - 연희, 탈꾼
- ☆ 박인선 프로필 1992년생 사진 전공ㅣ분야 연희, 탈춤 수련과정ㅣ학력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예술사 졸업 및 전문사 수료국가무형문화재 제34호 강령탈춤 이수자 활동 경력 2020'SIDance ONLine' 강안나X박인선천하제일탈공작소 명품탈춤 ❬천하제일탈❭재담소리극 ❬팔도보부상❭2021천하제일탈공작소 ❬가장무도-일상을 위한 일탈❭창작극 ❬탈춤의 목적❭국립현대무용단 ❬빨래❭천하제일탈공작소 ❬열하일기❭ 수상 경력 홈페이지ㅣSNS https://www.facebook.com/Parkinsun1120 [페이스북]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g4lrSW1MDPw [팔도보부상 - 여성룡, 박인선] 기타 2006년부터 시작된 천하제일탈공작소는 전통 연희극에 기반한 창작 작품을 선보이는 젊은 탈꾼들의 예술단체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라,마,바
-
박인선 - 연희, 탈꾼
-
-
김보림 프로필 - 판소리
- ☆ 김보림 프로필 (1994년 대전 출생) 사진 전공ㅣ분야 판소리 수련과정ㅣ학력 故박동진, 김양숙, 안숙선, 김수연, 이난초 선생 사사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 졸업서울대학교 국악과 졸업 활동 경력 정가악회 단원창작그룹 ‘심심한명태’ 메인보컬거꾸로프로젝트 멤버 수상 경력 2004 제30회 전주대사습놀이 학생부 판소리 장원2016년 금호아시아나문화재단 영아티스트 선정2016 제16회 구미 명창박록주전국국악대전 일반부 판소리 장원 (문체부장관상)2020 국창정정렬추모 제20회 익산전국판소리‧고법 경연대회 종합대상 (국무총리상)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z7sVotQKrKY [아리랑 - 거꾸로프로젝트 (박정미, 김보림)]https://youtu.be/ITKo09R_RPI [정광수제 수궁가 中 용왕 탄식하는 대목, 약성가 (고수 최재구)]https://youtu.be/BL5KKKN3Wxs [적벽가 中 십만개 화살 얻는 대목 (고수 김명준)] 기타 5살 무렵부터 김양숙 명창에게 사사하였으며 2021년 국립민속국악원에서 5시간 박동진제 적벽가 완창을 하였다.박동진제 적벽가는 연기력, 재담에 능했던 박동진 명창이 다양한 사설과 여러 더늠을 수용해 구성한 소리제로 현존하는 적벽가 중 가장 긴 사설을 담고 있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가,나,다
-
김보림 프로필 - 판소리
-
-
양진수 프로필 - 경기민요
- ☆ 양진수 프로필 (1995년 인천 출생) 사진 전공ㅣ분야 경기민요 수련과정ㅣ학력 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 졸업중앙대학교 전통예술학부 연희예술전공 졸업중앙대학교 대학원 한국음악학과 석사과정 활동 경력 JTBC ‘요즘애들’ <민요청년편> 출연 이희문컴퍼니 '놈놈' 멤버경성구락부 보컬 수상 경력 2013 제20회 달구벌전국청소년국악경연대회 중고등부 종합대상 (문체부장관상)2018 제6회 문학산 경기12잡가 전국국악경연대회 민요명창부문 최우수상 2018 제18회 인천국악대제전 전국국악경연대회 민요명창부문 우수상2019 제4회 청춘열전 출사표 동상 2020 대한민국 인재상 (교육부, 한국과학창의재단 주관) 홈페이지ㅣSNS https://www.facebook.com/jinsu.yang.18 [페이스북]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nvDmJdEntMA [자진난봉가]https://youtu.be/pGp6o22O75U [제6회 흥페스티벌 - 양진수] 기타 창작민요 ‘급식체재담’ 음원 발매 (2019년)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
양진수 프로필 - 경기민요
-
-
한혜선 프로필 - 판소리,발탈재담꾼
- ☆ 한혜선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판소리, 발탈재담꾼, 여성국극배우 수련과정ㅣ학력 박계향선생께 춘향가 심청가 사사조영숙 선생께 발탈, 여성국극 사사정철호선생께 열사가 사사 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 졸업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졸업 (석사) 국가무형문화재 제79호 발탈 이수자 활동 경력 판소리보존회 광명지부장 1998년부터 여성국극 배우, 발탈 재담꾼으로 활동 중 수상 경력 2011년 광주임방울판소리경연대회 일반부 최우수상 2016년 판소리보존회 명창부 우수상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카,타,파,하
-
한혜선 프로필 - 판소리,발탈재담꾼
-
-
조영숙 프로필 - 발탈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
- ☆ 조영숙 프로필 (1934년 광주광역시 출생) 사진 전공ㅣ분야 발탈, 재담 수련과정ㅣ학력 이동안(발탈), 조몽실 강장원 장영찬(판소리) 사사 국가무형문화재 제79호 발탈 예능보유자 (2012년 지정) 활동 경력 1962년 여성국악동인회 설립 (참가자 - 성창순, 남해성, 오정숙, 한농선)2003년 (사) 발탈 · 전통극보존회 설립 수상 경력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HUdM4KqkBX8 [이재만의 성공스토리 '만남' - 조영숙] https://youtu.be/E-G9gmD_lXw [발탈 - 발탈전통극보존회] 기타 발탈은 1983년 6월에 국가무형문화재 제79호로 지정되었다. 발탈은 상체만 있는 탈인형과 어릿광대라는 재담꾼을중심으로 전개되는 연희방식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가면극이나 인형극에 비해 등장인물 수가 적고, 갈등 관계가단조로우며, 춤사위 또한 단순하다. 그러나 발탈은 익살스럽고 재치 있는 재담이 풍부하고 각 지역의 다양한민요를중심으로 여러 노래가 삽입되어 있어 연희의 구성이 지루하지 않다. 그리고 현장의 가변성에 매우 강하며,재담과 노래의 즉흥적 삽입이 가능하다. 기층민들의 삶을 바탕으로 풍자와 해학이 풍부한 2인 재담방식의 발탈은 현대의 코미디•개그로 변화되어 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
조영숙 프로필 - 발탈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
-
-
박지나 프로필 - 줄타기
- ☆ 박지나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풍물, 줄타기, 어름산이 수련과정ㅣ학력 경기도무형문화재 제21호 김기복 안성남사당풍물놀이 사사홍기철 명인 줄타기 사사중앙대학교 국악대학 음악극과 휴학중 활동 경력 안성시립 남사당바우덕이풍물단 단원 수상 경력 홈페이지ㅣSNS http://www.facebook.com/jina.park.1042 [페이스북] 동영상 보기 http://youtu.be/keH1Sb3ZKZQ [인터뷰 - YTN 사이언스] 기타 어름산이는 줄 위에서 노래도 부르고 매호씨(어릿광대)와 재담을 주고받으며 풍물잽이의 반주에 맞추어 여러가지의 재주를 부리는 사람을 말한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라,마,바
-
박지나 프로필 - 줄타기
-
-
김혜영 - 민요, 재담소리
- ☆ 김혜영 프로필 (경남 창원 출생) 사진 전공ㅣ분야 민요, 재담소리 수련과정ㅣ학력 서울국악예술고등학교 졸업중앙대학교 창작음악극과 졸업 서울시무형문화재 제38호 재담소리 이수자 활동 경력 사단법인 우리음악연구회 대표 수상 경력 2007년 대한민국 여성전통음악콩쿠르 대상2013년 전국경기12잡가 국악경연대회 명창부 대상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wy8lHu3oYHQ [재담소리ㆍ 장대장타령]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가,나,다
-
김혜영 - 민요, 재담소리
-
-
김대균 - 줄광대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
- ☆ 김대균 프로필 1967년생 사진 전공ㅣ분야 연희, 줄타기 수련과정ㅣ학력 1976년 고전 줄타기 입문, 故 김영철 (1920-1988년) 명인에게 줄타기 사사 1986년 전수 장학생으로 줄타기 전수교육 수료 국가무형문화재 제58호 줄타기 보유자 (2000년 인정) 활동 경력 1981년 한국민속촌 초청공연 1983년 한국민속촌 전속단원 입사 1985년 대전연정공연으로 지방순회 공연 1986년 한국민속촌 계약공연 2001년 공개행사 발표공연 (국립민속박물관) 2001년 해외 발표공연 (일본 요쿠하마 나가쿠) 2002년 강릉단오제 참가 공연 2003년 미주한인 이민100주년 기념공연 (미국 워싱턴 등 5개도시) 수상 경력 홈페이지ㅣSNS http://www.jultagi.or.kr [줄타기 보존회 홈페이지] 동영상 보기 http://youtu.be/FylsppXq5MA [외줄타기] 기타 줄타기는 줄광대가 줄 아래에 어릿광대를 대동하고, 줄 위에서 여러가지 기예ㆍ재담ㆍ가요를 연행하는 전통 연희이며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11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가,나,다
-
김대균 - 줄광대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
-
-
故 백영춘 - 경서도창, 재담소리 (서울시무형문화재 명예보유자)
- ☆ 故 백영춘 프로필 1946년(서울)~2019년 1월 22일 사진 전공ㅣ분야 경서도창, 서도소리, 재담소리 수련과정ㅣ학력 이창배, 정득만, 박해일 선생 사사 경기공업고등학교 졸업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38호 '재담소리' 예능보유자 (2008년 지정)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38호 '재담소리' 명예보유자 활동 경력 2008년 ~ 재담소리보존회 회장 수상 경력 2005년 KBS국악대상 민요상 및 대상 수상 홈페이지ㅣSNS https://jaedamsori.modoo.at [재담소리보존회 홈페이지]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YO8-ZGSkLG4 [장대장타령] ▶ https://youtu.be/5kKm8VZyhk0 [아침마당 - 재담소리 '백영춘 최영숙'] 기타 소리가 좋고 연기가 자연스러워 해학적인 소리극에 최적인 인물로 평가 받고 있으며 ▶최영숙 명창이 그의 제자이자 아내이다. ☆ 재담소리는 서울경기소리판의 마지막 광대 박춘재를 통해 꽃을 피운 후 그 맥이 단절될 뻔 했다가 경서도창의 전설 ‘백영춘’을 만나 다시 전승되었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라,마,바
-
故 백영춘 - 경서도창, 재담소리 (서울시무형문화재 명예보유자)
관련사이트 검색결과
-
-
경서도 창악회
- 경서도민요, 재담소리보존회, 가락장구,아리랑합창단, 아리랑교실 운영
-
- 관련사이트
- 기타
-
경서도 창악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