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11-30(목)

통합검색

검색형태 :
기간 :
직접입력 :
~

국악정보 검색결과

  • [KBS국악한마당 방송안내] 5월 6일 (土) 오후 12시 10분 (이춘희,박애리,오정해,김하미,박민선,윤랑경,권은채,원소현,김민정 등 출연)
    ● <회심곡>이춘희▪ 박애리의 엄마 이야기● 판소리<춘향가 中 갈까 보다>박애리, 반주/ 이음회● 남도잡가<흥타령, 개고리타령>박애리, 반주/ 이음회▪ 오정해의 엄마 이야기● 심우성 채록 채치성 작곡<꽃분네야>오정해, 반주/ KBS국악관현악단● 민요<상주아리랑>오정해, 반주/ 이음회● 경기민요<양류가, 청춘가, 창부타령>이춘희, 김하미, 박민선, 윤랑경, 권은채반주/ 이음회♛ 꿈나무한마당● <황금산의 백도라지>25현가야금/ 원소현 (서울선린초 5학년)● 손다혜 작곡<달빛산책>해금/ 김민정, 피아노/ 박부자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2023-05-03
  • [KBS국악한마당 방송안내] 4월 22일 (土) 오후 12시 10분 (박천경,현승훈,정지혜,정주리,한세현,김청만,이춘희,윤진철,박은하 등 출연)
    이번 주 국악한마당은신비로운 대자연과 유구한 역사가 살아 숨쉬는 고장 전라북도 부안에서찬란한 봄을 닮은 우리 전통 문화를 전해드립니다.봄철의 생동감 넘치는 기운을 담은 국악 작품들과 함께이번 주도 편안한 주말 보내시기 바랍니다 별바라기 - 작곡/ 류형선- 거문고/ 박천경, 기타/ 이준혁현승훈 풍물 북 가락- 구성/ 현승훈- 타악/ 현승훈춘향가 中 백백홍홍난만중 ~ 방자 춘향 부르러 가는 대목- 소리/ 정지혜, 고수/ 정주리서용석제 한세현류 피리산조- 피리/ 한세현, 장구/ 김청만긴아리랑 + 이별가- 노래/ 이춘희, 피리/ 이호진적벽가 中 조자룡 활 쏘는 대목- 소리/ 윤진철, 고수/ 이왕재징춤- 안무/ 박은하- 무용/ 박은하, 철가야금/ 김나영Odyssey- 작곡/ 팀 오디세이- 가야금/ 김보경, 타악/ 함동우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2023-04-19
  • 국립국악원, 생활음악 싱글 발매 - 이춘희명창,방수미,김준수,박진희 등 참여
    - 이춘희 명창, 소리꾼 김준수 등 간판급 국악인, 실력파 대중음악 뮤지션 대거 참여 - 국립국악원(원장 김영운)은 12월 30일 정오부터 네 장의 생활음악 22집 싱글 앨범을 국내외 주요 음원 사이트에 순차적으로 공개한다.이번 앨범은 전통 악곡(가사, 민요, 잡가, 단가 등)에 댄스팝, 발라드, 일렉트로닉, 시티팝, 뭄바톤 등 대중적 감성이 입혀져 어디서든 편하게 들을 수 있고 쉽게 부를 수 있는 생활음악으로 탄생됐다. 이춘희(국가무형문화재 경기민요 보유자), 방수미(소리꾼), 김준수(소리꾼), 박진희(가객) 등 간판급 국악인들을 비롯해 이한철(가수), 이지수(음악감독), 김진환(음악감독) 등 실력파 대중음악 뮤지션들이 대거 참여하였다.12월 30일에 첫 발매되는 싱글 앨범 ‘생활음악 시리즈 22집; Part Ⅰ’에는 ‘동짓달’ 등 5곡이 수록됐다. 우조 이수대엽 ‘동짓달 기나긴 밤을…’ 차분하면서도 세련된 선율로 재해석한 ‘동짓달’은 박진희의 맑은 음색으로 감상할 수 있다. ‘육자배기’는 현악 오케스트라와 피아노 합주에 방수미 명창의 구성진 목소리가 더해져 남도 소리의 진한 깊이가 웅장하게 표현되었다. ‘꿈이로다(흥타령)’와 ‘사철가’는 김준수의 소리로 만나볼 수 있는데 판소리 고유의 특성을 살리면서도 감각적인 감성을 담아냈다.2023년 2월 3일 정오에는 싸름타령, 이야홍타령, 매화타령, 배꽃타령을 다양한 비트와 대중적인 선율을 가미한 ‘생활음악 시리즈 22집; Part Ⅱ’가 발매된다. 특히 매화타령은 이춘희 명창이 원곡의 밝고 유장한 분위기를 살리면서도 서정적인 멜로디와 가사를 더해 전통과 팝을 결합한 오묘한 조화를 이끌어내었다.이어 3~4월에 발매되는 나머지 두 개 앨범도 대중 음악인들과 협업하여 전통악곡을 재해석하고, 국민이 함께 즐기고 호응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제작할 예정이다. 한경록(크라잉넛), 조지 디 블루(음악 프로듀서), 이승민(작사가) 등이 앨범 제작에 참여하여 새로운 시도를 이어갈 계획이다.국립국악원 담당자는 국악이 국민의 일상 속에 스며들 수 있도록 대중음악과 접목한 생활음악 시리즈 개발 등 다양한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2022-12-28
  • [祝] 조순자 가곡전수관장, 제29회 방일영국악상 받는다
    1994년 국악의 해 기념해 제정된 국악 관련 국내 최고 권위 공로상가곡 분야 첫 선정...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 후학 양성 등 공로 국가무형문화재 제30호이며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인 가곡의 맥을 잇고 있는 조순자(78) 가곡전수관 관장이 국내 국악 관련 상으로는 최고의 권위를 인정받고 있는 '방일영국악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 조순자 프로필 방일영국악상은 1994년 국악의 해를 기념해 제정된 공로상인데, 국악의 올바른 전승과 보급에 앞장서서 전통문화 창달에 이바지한 국악인들의 업적을 널리 기리는 것이 목적이다. 이 상은 매년 일생을 국악 분야에 헌신하면서 탁월한 업적을 남긴 1명을 선정해 11월에 발표하고 시상한다. 올해로 29회째를 맞았다. 조순자 관장은 "선정 이유가 우리 전통 가곡이 비인기 종목인데 제가 경상도에 가서도 꿋꿋이 지켜나가고 있으며 제자를 잘 키웠다는 점인데, 지금 이 상을 받게 된 것도 많이 늦은 감이 있다더라"며 심사위원장(한명희·'비목' 작사자)의 말을 전했다. 조 관장은 1944년 서울에서 태어나 1958년 KBS 전신인 서울중앙방송의 국악연구생 2기생으로 선발되면서 국악에 입문했다. 그때가 14세였다. 이후 1951년 설립된 국립국악원에서 이왕직아악부 출신 이주환 선생을 만나 가곡·가사·시조 등을 전수했고 1964년엔 처음으로 일본 공연에서 스승과 함께 이중창을 소화해 국악계의 인정을 받았다. ▶ 해당기사 더보기 1994년부터 방일영국악상을 주최해온 방일영문화재단은 평생 국악 발전에 기여해온 공로를 바탕으로 하되 최근 3년 실적을 중점적으로 평가해 현재 정력적으로 공연 활동을 펼치는 국악인을 수상자로 뽑고 있다. ▶ 방일영문화재단 홈페이지 역대 수상자 만정 김소희(제1회), 만당 이혜구(제2회), 박동진(제3회), 심소 김천흥(제4회), 관제 성경린(제5회), 만당 오복녀(제6회), 양암 정광수(제7회), 석암 정경태(제8회), 낭월 이은관(제9회), 황병기(제10회), 묵계월(제11회), 이생강(제12회), 이은주(제13회), 오정숙(제14회), 정철호(제15회), 이보형(제16회), 박송희(제17회), 정재국(제18회), 성우향(제19회), 안숙선(제20회), 이춘희(제21회), 김영재(제22회), 김덕수(제23회), 이재숙(제24회), 송방송(제25회), 신영희(제26회) , 송순섭(제27회), 김일구(제28회)
    • 국악정보
    • 국악인소식
    2022-11-16
  • [祝] 제21회 대한민국 빛고을 기악대제전 성료 - 대금 연주자 한창희씨, 대통령상 수상
    기악인들의 축제인 제21회 대한민국 빛고을 기악대제전이 성료된 가운데 대금 연주자 한창희(서울) 씨가 대통령상을 수상했다. 10월 5일 (사)한국전통문화연구회에 따르면 대한민국 빛고을기악대제전은 사단법인한국전통문화연구회(이사장 황승옥)과 광주 남구청이 주최하고, 광주문화재단 공동 주관으로 지난 1일부터 3일까지 광주전통문화회관에서 개최됐다. ▶ 한창희 프로필 이번 대회는 명인부와 일반부, 초·중·등부와 대학부로 나뉘어 관악과 현악, 가야금병창 부문에서 열띤 경연을 펼쳤다. 이 가운데 관악 부문에서 한창희씨는 명인부 종합대상으로 대통령상과 상금 1천 500만원의 영예를 안았다. 명인부 대상에는 현악 부문 이춘희(경기도)씨와 병창 부문 박소윤(전남)씨가 선정돼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을 수상했다. 대학(신인)부는 윤수빈(전북)씨가 관악 부문 종합대상으로 국회의장상을, 고등부 종합대상으로는 현악 부문 정리앤(서울) 양과 관악 부문 김지윤 (서울) 양이 각각 교육부장관상과 문화체육부장관상을 수상했다. ▶ 해당기사 더보기
    • 국악정보
    • 국악인소식
    2022-10-07
  • 당대 최고 ‘국악 거장들’ 동국대로 모인다 - 동국대학교 서울캠퍼스 한국음악과 교수 임용
    〔앵커〕 김성녀, 김영재, 최경만, 이춘희, 안숙선, 김덕수‥현존하는 국악계의 거장들이 불교인재 후학 양성이라는 하나의 가치 아래 동국대로 모입니다. 분야별 당대 최고 스승들이 내년 문을 여는 한국음악과 교수진에 이름을 올린 건데요, 명인·명창들의 교수 임용식에 윤호섭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60여 년간 춤과 노래, 연기를 두루 섭렵한 종합예술인이자 한때 1인 32역을 소화하며 마당놀이계의 여왕으로 꼽히는 김성녀 예술감독. 국가무형문화재 제92호 태평무 이수자로서 우리 악기로 사물놀이라는 새 국악 장르를 개척한 김덕수 명인. 이처럼 우리나라에서 내로라하는 국악인들을 내년부터 동국대 서울캠퍼스에서 만날 수 있게 됐습니다. 2023학년도부터 한국음악과를 운영하는 동국대 서울캠퍼스가 다음 달 수시모집을 앞둔 가운데 어제 학과를 이끌어갈 교수진을 임용했습니다. 판소리, 가야금, 아쟁, 타악, 음악이론 등 각 분야별 전문가 15명을 석좌교수·특임교수·대우교수 등 비전임교원으로 임용한 겁니다. 윤성이 / 동국대 총장 (동국대학이 불교음악과 함께 우리 한국을 대표하는 새로운 음악을 활성화시켜보는 게 어떻겠느냐고 말씀해주셨고, 거기에 적극적으로 저희들이 동참하게 됐습니다.) 한국음악과 교수진은 국립국악관현악단 초대단장을 역임한 박범훈 조계종 불교음악원장의 노력으로 섭외가 가능했습니다. 여기에 경주캠퍼스가 폐과를 결정한 한국음악과를 서울캠퍼스가 운영할 수 있도록 건학이념에 맞춰 학과 신설을 주도한 법인과 학교의 결정까지. 이런 공감대가 형성되며 거문고 김영재 명인, 피리 최경만 명인, 이춘희·안숙선 명창 등 인간문화재급 교수진을 갖출 수 있었습니다. 박범훈 / 동국대 한국음악과 석좌교수 (이분들이 중심이 되시고 앞으로 유능한 젊은 교수들이 들어와서 함께한다면 아마 세계적인 학과로 성장할 수 있으리라고 보고요.) 일평생 무대 위에서 한국 전통예술의 정수를 선보여온 교수진은 조계종 종립대학인 동국대의 한국음악과 신설에 지지를 보내면서 후학 양성을 위해 모든 힘을 쏟겠다고 포부를 밝혔습니다. 김덕수 / 사단법인 한울림 예술감독 (역시 동국대가 할 수 있는 일은 우리 전통문화예술이라고 믿고 있습니다. 어느 대학도 할 수 없는, 그래서 동국대에 갖는 기대가 굉장히 큽니다.) 박애리 / 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 춘향가 이수자 (대우교수로 오늘 임용이 됐는데요. 제가 가진 모든 어떤 노하우를 학생들에게 다 전해줄 수 있는 그런 시간을 가지고 싶습니다.) 동국대 한국음악과는 다음달 15일부터 시작되는 수시모집을 통해 신입생 정원 15명을 선발할 예정입니다. BTN 뉴스 윤호섭입니다.. ▶ 해당기사 원문보기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2022-08-05
  • [KBS 국악한마당 방송안내] 5월 28일 (土) 오후 12시 10분 (백현호,우아련,백서경,박지현,김금미,왕윤정,왕기철,손연우,손연재,채수현,이춘희,김보연,고금성 출연)
    ● 민요<꽃타령, 진도아리랑>백현호 우아련 백서경▸ 모녀 소리꾼● 판소리<수궁가 中 용왕 탄식 대목>박지현고수/ 김금미● 입체창<춘향가 中 이별 대목>월매/ 김금미 춘향/ 박지현반주/ 이음회▸ 부녀 소리꾼● 판소리<춘향가 中 사랑가>왕윤정고수/ 왕기철● 입체창<심청가 中 심봉사 눈 뜨는 대목>심봉사/ 왕기철 심황후/ 왕윤정반주/ 이음회✰ 꿈나무한마당● 판소리<흥보가 中 화초장타령>손연우 손연재 (내양초 6학년, 4학년)● 경기잡가<유산가>채수현 이춘희● 경기잡가<적벽가>채수현장구/ 이춘희● 경기민요<뱃노래, 자진뱃노래>김보연 고금성반주/ 이음회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2022-05-25
  • 소양강 휘감던 ‘춘천소리’ 깨운다 - 춘천시립국악단 3월 27일 창단공연
    춘천 소양강을 따라 흘러왔던 우리의 소리, ‘춘천별곡’이 흐른다. 강원도 최초의 시립국악단인 춘천시립국악단(예술감독 이유라)의 창단공연이 3월 27일 오후 5시 춘천문화예술회관에서 열린다. 류지선, 최은영, 이현진, 정유정, 박희린 씨등 여성 민요단원 5명으로 구성된 시립국악단의 이번 연주회의 주제는 ‘시작(See:作)-작품을 보다, 시작을 보다’이다. 가(歌), 무(舞), 악(樂)을 모두 활용해 전통 예술의 흥과 멋을 선보이며 시립국악단의 힘찬 출발을 알릴 예정이다. ▶ 춘천시립국악단 홈페이지 창단 공연이기에 협연자와 객원 참여자들의 면면도 화려하다. 한국전통민요협회 이사장이자 경기민요 예능보유자인 이춘희 명창을 비롯해 세종채향순무용단, 춘천농악단연합회(뒤뚜르농악보존회, 사암리농악보존회, 우두농악보존회)가 참여한다. 타악팀 IN풍류, 노관우 밴드의 연주도 함께하며 지향희, 홍승희 소리꾼도 객원으로 참여한다. 공연 곡은 춘천 처녀장사 타령, 소양강 뗏목 아리랑, 강원도 장타령, 춘천 목화따는 소리, 베틀가 등으로 구성했다. 첫 공연인 만큼 모두 춘천 소리를 기반으로 마당놀이가 진행된다. 일반 시민과 관객들도 국악의 흥을 쉽게 접할 수 있는 곡으로 준비됐다. 이공우 작사, 노관우 작곡의 창작곡 ‘춘천별곡’은 오프닝과 피날레 곡으로 초연돼 관심을 모은다. ▶ 해당기사 더보기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2022-03-21
  • [祝] 2021 제28회 ‘방일영국악상’ 김일구 명창 선정
    방일영문화재단(이사장 조연흥)이 수여하는 ‘방일영국악상’ 제28회 수상자로 김일구(81·사진·무형문화재 판소리 ‘적벽가’ 보유자) 명창이 선정됐다. 김 명창은 판소리뿐 아니라 아쟁·가야금 산조에 두루 능해서 ‘3재(三才)’ 소리를 듣는 국악계의 르네상스인이다. 김 명창은 1987년 ‘적벽가’ 첫 완창 발표회를 연 뒤 미국·영국·프랑스 등에서 판소리 완창 무대를 열었다. 방일영국악상 심사위원회는 “판소리는 물론, 아쟁 산조와 가야금 산조 같은 기악부터 작창과 창극까지 각 분야에 두루 능한 예인으로 국악 계승과 발전에 크게 이바지했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 해당기사 더보기 1994년부터 방일영국악상을 주최해온 방일영문화재단은 평생 국악 발전에 기여해온 공로를 바탕으로 하되 최근 3년 실적을 중점적으로 평가해 현재 정력적으로 공연 활동을 펼치는 국악인을 수상자로 뽑고 있다. ▶ 방일영문화재단 홈페이지 역대 수상자 만정 김소희(제1회), 만당 이혜구(제2회), 박동진(제3회), 심소 김천흥(제4회), 관제 성경린(제5회), 만당 오복녀(제6회), 양암 정광수(제7회), 석암 정경태(제8회), 낭월 이은관(제9회), 황병기(제10회), 묵계월(제11회), 이생강(제12회), 이은주(제13회), 오정숙(제14회), 정철호(제15회), 이보형(제16회), 박송희(제17회), 정재국(제18회), 성우향(제19회), 안숙선(제20회), 이춘희(제21회), 김영재(제22회), 김덕수(제23회), 이재숙(제24회), 송방송(제25회), 신영희(제26회) , 송순섭(제27회)
    • 국악정보
    • 국악인소식
    2021-11-05
  • [KBS 국악한마당 방송안내] 10월 9일 (土) 오후 12시 10분 (이춘희,채수현,손상욱,신영희,조수황,송재영 등 출연)
    ● 채향순 안무<세종의 소리>세종채향순전통예술단● <국문뒤풀이, 창부타령>이춘희채수현(2016 명인부 대상) 성슬기(2019 명인부 종합대상)반주/ 이음회▪ 2020년 수상자 무대● 손상욱‧박종현 구성<시나위풍류>무용/ 손상욱 대금/ 박종현 ● 남사당놀이 <줄타기>권원태 줄타기연희단▪ 한국전통예술명인상 수상자● 신재효 작사 신영희 작창<新 방아타령>신영희한계명 김백송 한아름 조수황반주/ 이음회 ● 판소리<심청가 中 심봉사 눈 뜨는 대목>송재영고수/ 조용수▪ 2021 세종대왕 전통예술경연대회● 명인부 수상자 소개 하이라이트● 채향순 안무<신명의 휘모리>세종채향순전통예술단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2021-10-05

공연소식 검색결과

  • [경기민요 공연] 3월 11일 서울 국립극장 해오름 - 설립자(設立者)들 그리고 이춘희
    주최 이춘희 주관 이춘희. (사)한국전통민요협회 후원 서울특별시 서울문화재단 국악방송예술감독 이춘희 연출 이희문 유현진 기획 김주현 진행 채수현 최수안무대감독 김상엽 무대디자인 이지형 음향디자인 장태순 조명디자인 신동선 영상디자인 오재우 포스터디자인 위원더그룹티켓 국립극장 티켓 R석 5만원 S석 3만원 설립자(設立者)는 기관이나 조직체 따위를 새로 만들어 세운 사람을 말한다. 이번 공연은 조선 초 후기와 일제강점기, 해방 이후 근·현대를 거쳐 오늘날 경기소리의 맥이 이어질 수 있게 한 경기소리의 장본인들 조선 제26대 왕 고종 시절 가무별감 박춘재, 중요무형문화재 제19호 경기 선소리 산타령 이창배, 중요무형문화재 제57호 경기민요 안비취 이 세분의 <설립자‘들’>을 기리고 전승의 기반을 다지는 한편, 현재 가장 활발히 활동하는 57호 경기소리 예능보유자 단성 이춘희 명창 외 김혜란, 이호연, 김영임 명창 그리고 경기소리의 미래를 이어갈 차세대 소리꾼들이 함께 하면서 미래 경기소리의 향방을 짚어보는 데 큰 개요가 있다. 1) 출연진- 국가무형문화재 제57호 경기민요 예능보유자 이춘희- 서울시무형문화재 제44호 삼현육각 예능보유자 최경만- 국가무형문화재 제57호 전승교육사 김영임, 이호연 - 국가무형문화재 제57호 이수자 서정화, 강효주, 권정희, 이희문, 전영랑, 최정아, 안재현, 채수현, 이덕용, 이은혜, 이미리, 최주연. 성슬기, 정유나, 이소연, 김미수, 김소희(A), 장하리, 김민정, 최수안, 천혜인, 김소희(B), 정유정, 연은지- 국가무형문화재 제57호 전수자 조원석, 이채현, 남경우, 양진수. 조영림, 이능경, 문도희, 최윤희, 왕희림, 김은희, 김도은, 김민지, 김보미, 김사랑, 김연서, 김연진, 김원주, 김주연, 김지민. 김혜진, 김효슬, 김희서, 엄지, 윤세연, 이예진, 이우승, 이지은, 이채은, 제현정, 최예림, 홍재민, 홍주현-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부수석 거문고연주자 및 작곡가 이재하 - 전통음악집단 샛 (대표 및 장단:이민형, 대금:변상엽, 피리:이찬우, 해금:김승태, 가야금 추현탁)
    • 공연소식
    • 서울
    2023-03-08
  • [무료초대] 9월 16일 제주아트센터 - 굿보러 가자 (오정해,이춘희,조흥동,토리스,첼로가야금 등 출연)
    1. 공연명 : 굿보러 가자2. 장소 : 제주아트센터 ▶ 지도보기3. 날짜 : 2022년 9월 16일 (금요일)4. 시간 : 오후 7시 30분 5. 티켓료 : 무료초대 (제주아트센터 홈페이지에서 사전예매 - 1인4매)6. 문의 : 064-728-15097. 공연정보 더보기 ▶ 제주아트센터 사전예매◆ 출연진 : 오정해, 이춘희, 첼로가야금, 토리스, 조흥동, 광대놀음떼이루, 구미무을농악 등
    • 공연소식
    • 강원,제주
    2022-08-31
  • [무료초대] 8월 13일 민속극장 풍류 - 경기민요 예능보유자 이춘희 일가(一家) 이음(邐音)
    1. 공연명 : 경기민요 예능보유자 이춘희 일가(一家) 이음(邐音)2. 장소 : 서울 민속극장풍류 ▶ 지도보기3. 날짜 : 2022년 8월 13일 (토요일)4. 시간 : 오후 3시 5. 티켓료 : 전석 무료초대6. 문의 : 02-529-15507. 공연정보 더보기 ▶ 한국문화재재단◆ 출연진 : 국가무형문화재 경기민요 보유자 이춘희와 제자들 <프로그램>○ 소춘향가 - 이춘희 (장단 윤재영)○ 제비가 - 박현남, 최재미, 김민정, 최수안, 천혜인, 연은지, 김소희, 정유정 (장단 윤재영)○ 유산가 - 강효주, 채수현 (장단 윤재영)○ 바위타령 - 강효주, 채수현, 이미리, 양슬기 (장단 윤재영)○ 형장가 - 이춘희, 권정희, 최성진 (장단 윤재영)○ 적벽가 - 이희문, 안재현, 조원석, 김주현, 양진수○ 금강산타령, 노랫가락, 청춘가 - 최정아, 전영랑, 이은혜 (장단 이민형)○ 선유가 - 이춘희 (장단 이민형)○ 평양가 - 이춘희, 이소연, 김미수, 김소희, 장하리 (장단 이민형)○ 달거리 - 백은희, 김미림, 최주연, 정유나, 이덕용 (장단 이민형)○ 출인가 - 이춘희 외 출연자 전원 (장단 이민형)
    • 공연소식
    • 서울
    2022-08-06
  • 4월 7일 세종문화회관 - 크라운해태제과 '제1회 한음회'
    1. 공연명 : '제1회 한음회'2. 장소 : 서울 종로구 세종대극장 ▶ 지도보기3. 날짜 : 2022년 4월 7일 (목요일)4. 시간 : 오후 7시 30분 5. 티켓료 : 전석 무료초대6. 문의 : 락음국악단 010-3113-68487. 공연정보 더보기 ▶ 인터넷 예매하기◆ 출연진 : 사회 박범훈, 김정수, 정명숙, 이춘희, 안숙선, 왕기석, 강정숙, 정예진, 이재화, 안옥선, 최경만, 김영길, 손정진, 고정훈, 정혜빈, 정명숙, 진유림, 강효주, 채수현 등 관련기사 보기 ▶ 국악 사랑에 진심인 크라운해태제과, 최고의 꾼들과 '한음' 알리기 나선다
    • 공연소식
    • 서울
    2022-03-31
  • 소양강 휘감던 ‘춘천소리’ 깨운다 - 춘천시립국악단 3월 27일 창단공연
    춘천 소양강을 따라 흘러왔던 우리의 소리, ‘춘천별곡’이 흐른다. 강원도 최초의 시립국악단인 춘천시립국악단(예술감독 이유라)의 창단공연이 3월 27일 오후 5시 춘천문화예술회관에서 열린다. 류지선, 최은영, 이현진, 정유정, 박희린 씨등 여성 민요단원 5명으로 구성된 시립국악단의 이번 연주회의 주제는 ‘시작(See:作)-작품을 보다, 시작을 보다’이다. 가(歌), 무(舞), 악(樂)을 모두 활용해 전통 예술의 흥과 멋을 선보이며 시립국악단의 힘찬 출발을 알릴 예정이다. ▶ 춘천시립국악단 홈페이지 창단 공연이기에 협연자와 객원 참여자들의 면면도 화려하다. 한국전통민요협회 이사장이자 경기민요 예능보유자인 이춘희 명창을 비롯해 세종채향순무용단, 춘천농악단연합회(뒤뚜르농악보존회, 사암리농악보존회, 우두농악보존회)가 참여한다. 타악팀 IN풍류, 노관우 밴드의 연주도 함께하며 지향희, 홍승희 소리꾼도 객원으로 참여한다. 공연 곡은 춘천 처녀장사 타령, 소양강 뗏목 아리랑, 강원도 장타령, 춘천 목화따는 소리, 베틀가 등으로 구성했다. 첫 공연인 만큼 모두 춘천 소리를 기반으로 마당놀이가 진행된다. 일반 시민과 관객들도 국악의 흥을 쉽게 접할 수 있는 곡으로 준비됐다. 이공우 작사, 노관우 작곡의 창작곡 ‘춘천별곡’은 오프닝과 피날레 곡으로 초연돼 관심을 모은다. ▶ 해당기사 더보기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2022-03-21
  • 7월 2일 김해문화의전당 - 대한민국 명품공연 '굿보러 가자'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국악세계화연구소에서 운영하는 글로벌 K컬처 플랫폼 '리틀코리아' ▶ http://koreanculture.kr 1. 공연명 : '굿보러 가자'2. 장소 : 경남 김해문화의전당 마루홀 ▶ 지도보기3. 날짜 : 2021년 7월 2일 (금요일)4. 시간 : 오후 7시 30분5. 티켓료 : 무료초대6. 문의 : 055-320-1234 7. 공연정보 더보기 ▶ https://bit.ly/3wMdpQv◆ 출연진 : 사회 오정해, 이춘희, 채향순,권원태, 한국의집예술단, 영덕월월이청청보존회, 원초적음악집단 이드, 알렉산드로
    • 공연소식
    • 부산,경남
    2021-06-22
  • 1월 26일 서울남산국악당 설특집 공연 - 경기소리프로젝트그룹 나비 '전집'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서울남산국악당(총감독 윤성진)은 2020년 경자년 새해 설날을 맞이하여 ‘경기소리프로젝트그룹 나비’ 의 특별한 민요공연 <전집(全集)>를 1월 26일 일요일 오후3시와 7시, 2회에 걸쳐 크라운해태홀 무대에 올린다. 할머니, 할아버지와 손자, 손녀 온가족이 함께 설날연휴를 뜻깊게 보내기에 안성맞춤 공연이다. □ 국가무형문화재 제57호 경기민요 이수자 김미림, 이덕용, 이미리, 이은혜, 채수현 5명으로 구성된 ‘경기소리프로젝트그룹 나비’의 <전집(全集)> 공연은 2010년 서울남산국악당에서 초연한 바 있다. 2020년 새해, 10년 만에 같은 공간에서 다시 한번 업그레이드된 무대를 선보일 예정이다. 이번 공연은 서울남산국악당과 이희문컴퍼니의 공동기획으로 진행된다. ▶ 김미림 프로필 ▶ 이덕용 프로필 ▶이미리 프로필 ▶ 이은혜 프로필 ▶ 채수현 프로필 □ 예전 경기소리 명인들은 경기민요의 백미(白眉)라 일컬어지는 '노랫가락' 과 '창부타령'을 음반으로 제작했으나, 거의 무대화 하지 않았다. 2010년 이 음반들을 살아있는 공연으로 만들고자 시도했던 것이 경기소리프로젝트그룹 나비의 <전집(全集)>이다. 1970~80년대 경기민요를 풍미했던 이춘희, 김혜란, 전숙희, 고주랑, 이호연과 같은 명창들의 낭랑하고 농익은 소리가 담긴 자료를 분석하고 연구하여 소리의 깊은 맛을 경기소리프로젝트그룹 나비 5인 각각의 스타일로 표현했다. □ 노랫말이 시(詩)인 경기소리는 야질자질하며 짜릿한 감동을 주는 것이 매력이다. 특히 '노랫가락'과 '창부 타령'은 무속음악에서 파생되었으며 '고음의 미학'을 잘 드러낸 곡으로, 명인들에게도 어려운 곡임에 틀림 이 없지만 그만큼 희열을 느낄 수 있는 가장 한국적인 정서가 담긴 노래이다. 경기프로젝트그룹 나비의 <전집(全集)>은 경기민요의 대표 격인 이 두 곡으로 무대를 채울 것이다. □ 2010년 초연 이후 꾸준한 노력으로 성장한 소리꾼들이 그 10년의 역사를 새로운<전집(全集)> 무대에 담아낼 것이다. 조바심과 두려움에 떨던 10년 전의 ‘나비’들이 침착함 과 넉넉함으로 무대를 꽉 채우며 새로운 소리이야기를 풀어낸다. 경기소리꾼 이희문이 예술감독을 맡고, 2019년 이희문프로젝트 날[陧]의 멤버로 활동했던 박범태, 임용주, 한웅원이 음악을 맡았다. ‘경기소리프로젝트그룹 나비’는 이희문컴퍼니의 프로젝트그룹이다. □ 서울남산국악당 설날 특집 공연 ‘경기소리프로젝트그룹 나비의 <전집(全集)>’ 티켓은 전석 3만원으로, 65세 이상 동반1인까지 50%할인된다. 예매는 인터파크티켓(1544-1555, http://ticket.interpark.com)를 통해서 가능하다. ☎ 02-2261-0500
    • 공연소식
    • 서울
    2020-01-10
  • '국악 한류' 이끄는 부지화 예술단, 2020년 1월 14일 필리핀 세부에서 자선공연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국악한류'로 유명한 부지화 예술단이 내년 1월14일 필리핀에서 제20회 자선공연 'K-Arirang 전통 예술 명인·명창전'을 개최합니다. 이번 공연은 세부 교육시설인 보이스타운(The Sisters of Mary School-Boys Town)에서 열리며, 어려운 형편 탓에 정규교육을 받지 못하는 필리핀 청소년 5000명을 초대합니다. 부지화 예술단은 지난 2003년부터 필리핀 청소년들에게 자비로 한국의 전통문화를 알리고 있습니다. 제20회 공연은 이춘희 명창 (국가무형문화재 제57호 경기민요 보유자), 최경만 명인(서울시 무형문화재 제44호 삼현육각 보유자), 유지숙 명창(국가 무형문화재 제29호 서도소리 전수조교), 김승희 명인, 문동옥 명인, 정경숙 명창, 부지화 예술단 황진경, 강은숙, 김성심 등 국악인 총 50여 명이 무대를 꾸밉니다. 기악합주, 전통 가야금 산조와 서도, 경기민요, 부지화 타악 퍼포먼스팀 등 전통 공연부터 국악가요, 모듬북 퍼포먼스 등 퓨전무대까지 청소년들이 즐길 수 있는 다양한 공연을 선보입니다. 강현준 부지화 예술단 대표는 "이 공연은 한국의 전통 무용가로서 2013년 작고해 고인이 되신 임이조 선생과 마닐라 걸스타운을 방문한 후 필리핀 청소년들에게 매년 1회 이상은 무료로 한국의 전통문화를 보여주겠다고 한 약속에서 시작됐다"며 "그간 무형문화재 보유자와 한국의 대표적인 명인ㆍ명창ㆍ명무 선생부터 부지화 단원, 이제 막 국악을 시작한 어린이까지 다양한 전통예술인들이 참여했다"고 말했습니다. ▶ 해당기사 더보기
    • 공연소식
    • 해외
    2019-12-20
  •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축하공연 - 11월 25일 부산문화회관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공연명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축하공연 장소 부산 대연동 부산문화회관 대극장 ▶지도보기 날짜 2019년 11월 25일 (월요일) 시간 오후 7시 30분 티켓료 무료초대 (예약자와 초대권 소지자에 한해 좌석권배부) 출연진 지휘 ▶ 김정수 프로필 ▶ 이춘희 프로필 ▶ 강효주 프로필 등 문의전화 051-607-6000 예약하기 ▶ https://bit.ly/2pQWVJM
    • 공연소식
    • 부산,경남
    2019-11-11
  • 4월 25일~27일 서울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창단40주년 기념공연 '혹 되지 아니하다'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공연명 '혹 되지 아니하다' 장소 서울 서초동 국립국악원 예악당 ▶ 지도보기 날짜 2019년 4월 25일~27일 시간 오후 8시, 토요일 오후 3시 티켓료 S석 30,000원, A석 20,000원 출연진 ▶ 이춘희 프로필 ▶최경만 프로필 ▶ 한세현 프로필 ▶안숙선 프로필 ▶ 강정숙 프로필 ▶김청만 프로필 ▶ 박종선 프로필 ▶ 김영길 프로필 문의전화 02-580-3300 공연정보 더보기 ▶ https://bit.ly/2Fr0ivR
    • 공연소식
    • 서울
    2019-04-11

국악동영상 검색결과

국악인프로필 검색결과

  • 남경우 프로필 - 경기민요, 서도소리
    ☆ 남경우 프로필 (1998년 부산 출생) 사진 전공ㅣ분야 경서도소리 수련과정ㅣ학력 경기소리 : 강효주, 김송현, 이금미, 이은혜, 이춘희, 이희문, 전영랑 선생 사사서도소리 : 김경배, 김광숙, 박준길, 오세정 선생 사사정가 : 강권순, 김나리 선생 사사중앙대학교 국악대학 최우등 졸업국가무형문화재 제57호 경기민요 전수자 활동 경력 한반도아트 대표경우소리시리즈 '풍류가(歌) 좋다'-서울, 판교 총괄경기예술인 네트워크축제 <2022 청년관>다원예술 '자연스러움' 총괄 시나위 악보가게 I '민요연습실', 시나위 악보가게 IV '환갑' 조연출설립자(設立者)'들' 그리고 이춘희 남창이희문 프로젝트 '오방신과(OBSG)' SPANGLE-용산 기획팀 수상 경력 제28회 전국경서도소리경창대회 종합대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세종대왕전통예술경연대회 일반부 최우수상제5회 2인전통음악축제 우수공연단체 특상제47회 전주대사습놀이 전국대회 민요부 차하제5회 균화지음 전국국악경연대회 일반부 금상2020 한성백제문화제 전국국악경연대회 일반부 장원 홈페이지ㅣSNS https://gcnamkw.com [홈페이지] 동영상 보기 https://www.youtube.com/@gcnamkw [남경우 유튜브채널]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국악인 측에서 직접 제공한 자료 또는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정리한 내용이며, 공개된 정보를 수집, 정리한 것은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가,나,다
    2023-10-12
  • 이소정 프로필 - 경기민요
    ☆ 이소정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경기민요 수련과정ㅣ학력 안비취, 이춘희, 김영임, 이호연 선생 사사서울예술대학교 국악과 졸업 동덕여자대학교 방송연예과 졸업국가무형문화재 제57호 경기민요 이수자 활동 경력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 성악부 단원 역임이소정국악예술원 원장 수상 경력 제43회 부산동래전국전통예술경연대회 성악대상2019 세종대왕전통예술경연대회 최우수상2021 한국문화예술대상 제48회 전주대사습놀이 전국대회 민요 명창부 장원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6a9tN2MaG4o [창부타령, 태평가]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국악인 측에서 직접 제공한 자료 또는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정리한 내용이며, 공개된 정보를 수집, 정리한 것은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2022-11-01
  • 김기숙 (여심) - 경기민요
    ☆ 김기숙 (예명 여심)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경기민요 수련과정ㅣ학력 김영미, 이춘희, 전숙희 선생 사사 활동 경력 강서국악협회 이사한국국악협회 고양시지부 이사한국전통민요협회 운영이사 수상 경력 2019 인천전국국악대제전 종합대상 (국회의장상) 외 다수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기타 음반 - 2021 경기민요 1집 - 여심 발매2022 경기민요 2집 - 여심 (발매 예정)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가,나,다
    2022-03-08
  • 이지원 - 경기민요
    ☆ 이지원 프로필 (2000년 공주 출생) 사진 전공ㅣ분야 경기민요 수련과정ㅣ학력 이춘희 선생 사사공주여자고등학교 (특수반) 졸업천안 나사렛대 (음악목회학과) 재학국가무형문화재 제57호 경기민요 전수자 활동 경력 한국을 대표해 일본과 태국·몽골·네팔·오스트리아·체코 등 공연 참여계룡세계군문화엑스포 홍보대사, 국립충청국악원 공주유치 홍보대사백제세계유산축전 홍보대사, 한국장애인문화협회 홍보대사정서지원예술사 1기 수상 경력 2017년 10회 전국장애청소년예술제 대상 (문체부 장관상)2017년 제10회 전국장애음악콩쿨 대상 (교육부 장관상)2019년 제7회 대한민국장애인예술경연대회 상임대표상2018년 제15회 일본 도쿄골드콘서트 (장애인 국제음악대회) 특별상2020년 제24회 올해의 장애인상 (대통령상) 수상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GIqZW-lkX3U [장애 넘은 국악요정 "세계에 국악 알릴 것"]https://han.gl/fAZqF [민요자매 이지원, 이송연(동생) 유튜브채널] https://youtu.be/nCFM9JYy3i0 [홀로아리랑 - 이지원+송소희] 기타 올해의 장애인상 수상 소감으로 ‘전 세계 사람에게 아리랑을 들려주고 한국 장애인예술의 우수성과 국악의 위상을 높이고 싶다.’고 말했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2022-01-31
  • 이은자 - 민요
    ☆ 이은자 프로필 (경북 달성군) 사진 전공ㅣ분야 경기민요 수련과정ㅣ학력 장월중선, 안비취, 전숙희, 이춘희 선생 사사 부산동의대학교 한국음악과 석사 졸업 국가무형문화재 제57호 경기민요 이수자 활동 경력 경북예술고등학교, 영남대학교, 경주동국대 한국음악과 강사 역임 수상 경력 2019 제20회 상주전국민요경창대회 대통령상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1S5oMrSHbO0 [경기민요 - 이호연, 박소연, 이은자, 강효주] 기타 국가무형문화재 제57호 경기민요 이수자인 예현정이 딸이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2019-12-13
  • 고주랑 - 경기민요
    ☆ 고주랑 프로필 (1947년 경북 풍기 출생) 사진 전공ㅣ분야 경기민요 수련과정ㅣ학력 이창배선생(1916-1983)이 운영했던 민간국악교육기관 '청구고전성악학원'에서 수학이창배, 정득만, 묵계월 선생 사사국가무형문화재 제57호 경기민요 이수자 활동 경력 고주랑경서도소리예술원 대표 (서울 강남 개포동) 수상 경력 2020 예술가의 장한 어버이상 (문체부 장관 표창)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Ch-2dRlDs4I [명창의 삶과 음악이야기 - 고주랑] 기타 맑고 애잔하면서도 구슬픈 성음으로 70∼80년대 소리꾼으로 큰인기를 끌며 최고의 황금기를 누렸었다.국악계의 이단아라고 불리며 우리소리를 세계에 알린 경기민요 소리꾼 이희문이 아들이며1960년대 후반, 당대 최고의 성악학원이었던 청구고전성악학원에서 인간문화재 이춘희 명창과 동문수학했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가,나,다
    2018-08-09
  • 김영미 - 민요
    ☆ 김영미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민요, 경기민요 수련과정ㅣ학력 안비취, 이은주, 이춘희 선생 사사 서울국악예술고등학교 졸업 서울예술대학 국악과 졸업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한국음악과 석사 국가무형문화재 제57호 경기민요 이수자 활동 경력 (사)한국국악협회 고양지부 민요분과 위원장 수상 경력 2008년 전주대사습놀이 민요부분 장원 2015년 제21회 전국민요경창대회 대통령상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 https://youtu.be/FZ3VaLpTss0 [인터뷰 동영상]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가,나,다
    2017-04-11
  • 김옥숙 - 민요
    ☆ 김옥숙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경기민요, 동부민요 수련과정ㅣ학력 김영임, 이춘희, 박수관 선생 사사 활동 경력 2000~2007년 사단법인 경기민요보존회 창원지부장 역임 현재 경상도소리보존회 회장 수상 경력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 https://youtu.be/WiNc_59GUOY [상주함창가]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가,나,다
    2016-04-06
  • 성슬기 프로필 - 경기민요
    ☆ 성슬기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민요, 경기민요 수련과정ㅣ학력 이춘희 선생 사사 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 졸업 중앙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졸업 국가무형문화재 제57호 경기민요 이수자 활동 경력 2009년 소리극 <꽃피는 바리>에서 주인공 바리공주역 경기소리 프로젝트그룹 '나비' 동인 여성민요그룹 '앵비' 동인 방울목프로젝트 (성슬기, 김희영) 수상 경력 2015 제3회 홍천 전국민요경창대회 명창부 금상 2019 제5회 세종대왕전통예술경연대회 종합대상 (세종대왕상) 2020 KBS국악대상 민요상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 https://youtu.be/s09cHX7mDPs [창부타령 - 채수현.성슬기.최주연] ▶ https://youtu.be/5DAzS7OMMxg [회심곡]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2016-03-20
  • 김보라 - 경기민요, 정가
    ☆ 김보라 프로필 1985년생 사진 전공ㅣ분야 경기민요, 정가 수련과정ㅣ학력 국립국악고등학교 졸업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사 및 전문사 졸업경기민요 - 이춘희 선생 사사 정가 - 강권순 선생 사사 국가무형문화재 제57호 경기민요 이수자 활동 경력 작품활동 : 김보라의 구하는음악, 밖의노래/안의노래, 가요실험실, 연습하기 등. 경인교육대학교 출강 밴드 '신노이(SINNOI)' 멤버 수상 경력 제20회 전주대사습놀이 학생부 민요부문 차상 중앙대학교 전국고등학교 국악경연대회 경서도 부문 1위 제17회 한국음악협회 학생음협콩쿠르 민요부문 1위2010 제4회 21C 한국음악프로젝트 21C 아리랑상 2013 천차만별콘서트 대상 2021 제8회 중강국악상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http://youtu.be/fnDHEdJkqrs [정가적 창법이 가미된 노래 - 너머 (exceed), 거문고 전우석] https://youtu.be/1LG5ZeA42QI [정선아리랑] 기타 경기민요 소리꾼으로 출발, 한예종 전문사 과정을 통해 강권순 선생을 사사하며, 정가로 전향했다.신노이(SINNOI) 그룹은 경기민요와 정가를 두루 섭렵한 소리꾼 김보라를 주축으로 국내 재즈계에서 알아주는 베이시스트 이원술, 일렉트로닉 사운드 아티스트 하임이 함께 하는 트리오밴드이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가,나,다
    2015-09-07

관련사이트 검색결과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