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12-09(토)

통합검색

검색형태 :
기간 :
직접입력 :
~

국악정보 검색결과

  • 2014 제6회 구례 동편제소리축제 11일 개막.. 송만갑판소리ㆍ고수대회 동시 열려
    전남 구례군 실내체육관에서 10월 11일~13일 대통령상 걸린 송만갑판소리ㆍ고수대회 동시에 열려 지리산과 섬진강을 무대로 펼쳐지는 동편제의 대향연 '2014 구례동편제소리축제'가 '송만갑판소리ㆍ고수대회'와 함께 구례군 실내체육관에서 오는 10월 11일부터 13일까지 펼쳐진다. ▶ 지도보기 동편제는 대마디대장단의 분명하고 담백한 맛과 남성적이며 활기찬 것이 특징으로 구례를 중심으로 지리산과 섬진강 동편 일대, 남원과 순창 등지를 기반으로 성장했다. 구례는 송우룡과 송만갑, 유성준, 박봉래, 박봉술 등 당대 최고의 명창을 배출한 동편제의 본향이다. '산의 소리, 강의 소리'를 주제로 열리는 올해 여섯번째 구례동편제소리축제는 소리꾼들의 등용문인 대통령상이 수여되는 제 18회 전국 송만갑판소리ㆍ고수대회도 함께 개최된다. 해당 기사 더보기 ☞ http://me2.do/FnlQMrBr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2014-10-10
  • 2014 제18회 송만갑판소리·고수대회 - 전남 구례 (접수기간 : 9월 22일~10월 10일)
    1. 대회명 : 제18회 송만갑판소리·고수대회2. 장소 : 동편제전수관 (고수예선), 구례실내체육관 (판소리 예,본선 / 고수본선) ▶ 지도 보기3. 일시 : 2014년 10월 11일 (土)~12일 (日) 2일간4. 주최 / 주관 : 구례군 / (사)한국국악협회 구례지부 5. 접수기간:9월 22일 (月) ~ 10월 10일 (金) 17:00 까지6. 문의전화 : 061-782-12887. 대회정보 더보기 ▶ http://me2.do/FTcv0oyD [신청서 다운로드]8. 대회취지 : 국창 송만갑 선생의 국악사에 빛나는 위업을 기리고 판소리 중흥을 이끌어 갈 새롭고 젊은 인재를 발굴하는 권위있는 등용문으로 발전시켜 동편제판소리 고장의 긍지와 자부심을 높이고 전통 국악 발전과 문화·예술 진흥에 기여하고자 함.
    • 국악정보
    • 경연대회,공모
    • 광주,전라
    2014-09-25
  • 8월30일부터 이틀간 익산 솜리문화예술회관에서 '정정렬 명창' 추모판소리 대회
    전북 익산 출신의 정정렬 (1876∼1938) 명창을 기리는 '제14회 익산전국판소리경연대회'가 오는 8월 30일부터 이틀간 솜리문화예술회관 대극장에서 열린다. ▶ 대회장 지도보기 이번 대회는 국악 인재를 양성하고 국악 인구의 저변 확대를 위해 기획됐으며 학생·신인·일반부로 나뉘어 진행된다.대회에는 지난해 장원을 차지한 김선영씨와 임청현 전북도립국악원 교수, 김연자·조영자·김미정 명창 등이 출연해 신명나는 무대를 선보인다. 남도민요와 태평무, 철현금, 산조 등 다양한 공연도 준비됐다. ▶'현대 창극의 아버지' 정정렬 명창 '현대 창극의 아버지'로 불리는 정정렬 명창은 송만갑, 이동백, 김창환, 김창룡 등과 함께 '근세(近世) 오명창(五名唱)'으로 꼽힌다. 해당 기사 더보기 ☞ http://me2.do/F6BEMR4P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2014-08-26
  • 중학교 교사가 판소리 흥보가 완창 - 문경 서중학교 이래용(李來溶, 36세) 교사
    스승과 열광하는 관중 앞에서 무난히 성공 중학교 교사가 장장 2시간 반이 소요되는 ‘만정제(晩汀制) 흥보가’를 완창해 화제가 되고 있다. 그 주인공은 문경서중학교 이래용(李來溶, 36세) 교사로 지난 8월 20일 문경 문희아트홀에서 자신의 판소리 스승인 모정 이명희 대구시무형문화재, 윤정애 이명희 무형문화재 전수자와 국악 관계자, 시민 등 200여명이 지켜보는 가운데 열창을 한 것. 이 선생이 국악, 판소리에 관심을 가진 것은 근대 판소리 5대 명창중의 한분으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동편제 판소리의 제왕 유성준(1873~1949) 선생의 고향이 경남 하동군 악양이며 이래용 교사도 이곳 출생이어서 자연스럽게 판소리와 인연을 맺은 것으로 본인은 분석했다. 이래용 선생은 1997년 3월 진주에 있는 국립 경상대학교 입학 후 사물놀이 동아리에서 사물놀이를 시작으로, 그해 9월에는 진주오광대 보존회에서 탈춤을, 1998년 5월에는 60년 만에 재연한 진주오광대 복원 공연에 참여하는 등 대학생활 내내 국악에 심취했다. 2002년 문경서중학교에서 초임교사로 문경에 첫발을 디뎠지만 그의 잠재된 국악에 대한 끼와 열정은 식지 않아 2006년부터 문경전통연희단 하늘재에 입단해 이를 발산하기 시작했고, 2010년 8월에 마침내 국악의 최고봉이라 할 수 있는 판소리에 입문, 판소리 만정제 흥보가를 윤정애 선생에게 배우기 시작했다. 이번에 선보인 판소리 만정제는 송만갑, 정정렬, 박동실에서 만정 김소희로 이어져 마침내 명창인 김소희에 와서 그의 호를 딴 ‘만정제’가 만들어 졌으며, 이 만정제를 대구시무형문화재인 상주출신 모정 이명희 명창이 잇고, 이를 이명희 무형문화재 전수자인 윤정애 선생이 잇고 있으며, 이 선생은 이 맥을 이어 배우고 있는 것이다. 이날 이 선생의 스승인 이명희 무형문화재는 2시간 반 동안의 완창이 끝난 후, 이를 인정하는 인정패를 주고, 즉석에서 흥보가 한 대목을 불러 관객들의 박수갈채를 받았다. 해당 기사 더보기 ☞ http://me2.do/GyS6SAIm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2014-08-21
  • 판소리 명창 조동언 씨 “충청의 소리 ‘중고제’ 전통의 맥 잇는다”
    “충청 일대서 명성높던 중고제는 느리면서 점잖고 가볍고 경쾌해” “사라진 중고제 부활 위해 제자양성 우리지역의 특색있는 소리 꿈꿔” 지역에서 활동하는 예술가는 '잘해야 본전'이라는 말이 있다. 주류 또는 중앙의 변방이라는 한계를 드러내는 말일 것이다. 그러나 지역이야말로 많은 예술가들이 꿈꾸는 새로움의 바탕이 될 수 있다. 국가지정 중요무형문화제 제5호 판소리 이수자인 조동언(49) 씨는 우리 지역의 소리꾼들 역시 우리 지방의 특색을 살릴 수 있는 소리를 꿈꾸고 있다고 말한다. 판소리의 대세라 불리는 서편제(西便制)를 아무리 배우고 읊어도 무엇인가 허전하기 때문이란다. 그는 잠시 거처를 옮기는 것만으로는 그 지역의 풍습을 온전히 익힐 수 없는 탓일 것이라고 전했다. 경기도, 충청도 지방에서 일어난 판소리 유파의 하나인 중고제(中高制)는 우리 지역의 말투와 풍습이 만들어 낸 특색을 지녔다. 조 명창은 한국 판소리계의 커다란 이슈는 ‘사라진 중고제를 복원 시킬 수 있는가’ 하는 것이라고 했다. 중고제의 부활을 꿈꾸는 조 명창을 만났다.◆ 지역의 소리 혹은 소리꾼 중고제(中高制)는 동편제(東便制)와 서편제(西便制)의 중간적 성격을 띠며 첫 소리를 평평하게 시작해 중간 음을 높이고 끝을 다시 낮춰 끊는 것이 특징이다. 조 명창은 "마음을 울리는 깊은 맛을 지닌 남도 소리에 비해 중고제는 느슨해 보인다. 역동적이지 않다"며 "시조를 읊듯이 느리고 점잖다. 가볍고 맑고 경쾌하다"고 설명했다.중고제에 관한 사료나 자료는 거의 없다. 중고제의 대표적인 성음인 경드름은 경기 여주 출신 염계달이 지어내고 뒤에 송만갑이 더욱 발전시킨 것으로 경기민요 가락을 판소리로 짠 것이다. 조 명창은 "경쾌하고 맑은 중고제의 성음은 오늘날 서편제에 부분적으로 수용돼 전해질 뿐"이라며 "일제시대 빅터사(社) 등에 의해 녹음된 권삼득, 이동백, 이화중선, 박유전 등의 소리가 부분적으로 전해진다"고 말했다.해당 기사 더보기 ☞ http://me2.do/FUNu0xIS
    • 국악정보
    • 국악인소식
    2014-07-07
  • 홍성 홍주성역사관, 명고명무(名鼓名舞) 한성준을 만난다 !
    우리 춤을 집대성한 명고명무(名鼓名舞) 한성준 선생의 탄생 140년이 되는 2014년을 맞아 한성준 선생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지고 있다. 홍성 관련 유물을 수집하고 있는 홍주성역사관은 김찬황, 박기홍, 송만갑 등 당대 명창들의 공연에 고수로서 활동한 한성준의 장고 소리가 담긴 “춘향가”가 녹음된 SP레코드 전집을 구입했다고 밝혔다. 일제강점기인 1933년에 조선성악연구회가 결성되면서 정정렬을 중심으로 당대 명창들이 창극활동을 활발히 진행했는데, 이들의 활동기간 중 “춘향가”, “심청가”, “흥보가”, “적벽가” 등의 창극조 판소리집이 여러 편 출반됐으며, 홍주성역사관이 이번에 구입한 “춘향가” SP레코드판은 그 중 하나다. 해당 기사 더보기 ☞ http://me2.do/FO0xuCuC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2014-01-14
  • 2013 구례동편제소리축제 및 제17회 송만갑판소리.고수대회 (10월 12~14일)
    프로그램 및 대회일정 ▶ 구례 동편제소리축제 홈페이지 1. 전통예술과 문화관광자원을 접목하여 함께 즐기는 어울림의 장 마련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정통 판소리문화축제로 자리매김2. 동편제 판소리 본고장 이미지를 부각하고 판소리의 계승발전과 대중화에 기여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2013-10-08
  • 하동군,근대 판소리 5대 명창 유성준,이선유 추모제(기념사업회) 6월 25일 거행
    근대 판소리 5대 명창 유성준 이선유 추모제하동군, 기념관 개관 앞서 출생지 악양면에서 동편제 명창의 업적 되새겨 근대 판소리 5대 명창이자 동편제의 양대 산맥으로 불리는 국창 유성준(1873∼1949), 이선유(1873∼1949) 선생 탄신 140주년, 타계 64주기 추모제가 25일 오전 11시 그가 태어난 하동군 악양면 소재 동편제명창 유성준·이선유 기념관에서 거행된다. 대한민국 판소리 동편제명창 기념사업회가 주관하고 하동군과 하동문화원, 성창당 한약방, (사)국악로문화보존회가 후원하는 추모제에는 전국의 유명국악인과 지역인사 등 50여명이 참석해 명창의 타계를 추모한다. 추모제는 유한호 기념사업회장(국악인)의 집례로 초헌관에 노동호 문화원장, 아헌관에 정옥향 자문위원(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수궁가 준 보유자), 종헌관에 이연호 기념사업회 부회장(국악인), 축관에 김정태 국악회 하동군지부장, 집사에 김소현 섬진강 판소리학교장과 정재상 기념사업회 사무국장, 정용주 감사가 참여해 제를 올린다. 이날 추모제에는 서울에서 활동하는 최난경 자문위원(이선유 오가전집 연구․역주 저자), 한국판소리문화재단 박정선 이사장(명창), 구태수 자문위원(국악인), 박영일 자문위원(전 경남도의원) 등 국악 관련 인사들이 참석해 두 명창의 업적을 기린다. 정재상 사무국장은 “2010년 유성준 명창 추모비 건립과 함께 올해로 4회째 추모제를 올리고 있다”며 “근대 판소리 5대 명창 두 분이 태어나고 7명의 인간문화재를 키워낸 곳으로 하동군이 명실상부한 동편제의 무대였음을 전국에 알리고 두 명창의 업적을 기리는데 작으나마 보탬이 되고자 행사를 준비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어 정 국장은 “하동군과 기념사업회가 함께 노력해 올해 악양면 중대리에 (가칭)동편제명창 유성준·이선유 기념관이 건립돼 두 명창을 기릴 수 있는 뜻 깊은 자리가 마련됐다”고 덧붙였다. △유성준 선생은 근대 판소리 5대 명창 중의 한분으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동편제 판소리의 제왕’이라 일컬어지고 있다. 그는 구례 송우룡 문하에서 판소리를 배우고, 궁중협률사(왕실극장)에서 활동했으며, 전국 순회공연을 수차례하고, 방송출연과 판소리 앨범도 다수 발표했다. 그의 대표적인 제자로는 정광수(인간문화재), 임방울(인간문화재), 강도근(인간문화재), 박동진(인간문화재), 김연수(인간문화재), 김정문(인간문화재) 등이 있으며 그는 악양면 신대리에서 생을 마치고 악양면 중대리 905-1번지에 영면해있다. △이선유 선생도 하동군 악양면 출신으로 근대 판소리 5대 명창 중의 한 분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판소리 다섯마당 창본 <오가전집>을 펴냈으며 동편제 명창 가운데 구한말과 일제 때에 송만갑 다음으로 많은 양의 음반을 남겼다. 또한 창악대강을 지은 기산 박헌봉(산청 출신)과 함께 판소리를 연구했다. 그는 진주권번의 소리사범으로 활동하면서 방송에 출연했으며 대표적인 제자로는 김수악(인간문화재), 박봉술(인간문화재), 신숙, 오비취 명창 등이 있다. 그리고 그에 대한 당시 귀명창(판소리 애호가)들의 평가는 특별했다. 그의 소리를 “신묘지경에 이르러 조선 성악의 독보”라고 했다. 하동군청 ☞ http://me2.do/x0yS5myz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2013-06-21
  • 송순섭 명창 “판소리 대통령상 복원 정통성 이을 것”
    (사)한국판소리보존회(이하 보존회)는 지난 1973년 창립된 정통 판소리 단체다. 보존회는 송만갑·김초향·한성준씨 등이 중심이돼 1932년 결성한 조선성악연구회의 맥을 잇는 단체로 박녹주 선생이 주축이 돼 첫발을 내딛었다. 지금까지 초대 박록주 선생을 비롯해 박초월·김소희·정광수·조상현·성우향씨 등 국가지정문화재 판소리 기능 보유자들이 이사장을 거쳐갔고 현재 전국 40개 지역에 지부를 두고 있다.고흥 출신 송순섭 명창이 지난 29일 서울 무형문화재전수회관에서 열린 선거를 통해 (사)한국판소리보존회 14대 신임이사장으로 선출됐다.“우리나라 판소리의 정통성을 잇는 보존회를 이끌게 돼 영광입니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판소리가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입니다. 또 보존회의 위상 강화를 위해 올해 문화체육부장관상이 복원된 데 만족하지 않고, 보존회가 주최하는 전국 판소리 경연대회에서 대통령상을 다시 수여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입니다.” 해당 기사 더보기 ☞ http://me2.do/IgWNKm6f
    • 국악정보
    • 국악인소식
    2013-04-02
  • [PDF] 광주, 전남지역 판소리 유파
    ↑다운로드 받으세요 광주(光州)․전남지역(全南地域)은 전북지역(全北地域)과 마찬가지로 판소리 명창(名唱)을 많이 낸 고장이다. 조선말기(朝鮮末期) 송흥록(宋興祿)과 박유전(朴裕全)이 전남지역(全南地域)으로 이사를 오면서 전남지역(全南地域)은 판소리 중심지(中心地)가 되었고, 그리고 정창업(丁昌業), 김창환(金昌煥), 박기홍(朴基洪), 송만갑(宋萬甲), 유성준(劉成俊), 이날치(李捺致), 김채만(金采萬) 등에 의해서 판소리 전성기를 이루었다. 일제(日帝)때에도 임방울(林芳蔚), 김연수(金演洙), 공창식(孔昌植), 김봉학(金鳳鶴), 오수암(吳壽岩), 박동실(朴東實),박봉래(朴奉來), 박초월(朴初月), 박봉술(朴奉述), 정광수(丁珖秀), 한승호(韓承鎬) 등이 활동하였고 이들은 해방후 주로 서울에서 판소리를 하였으며, 현재 서울에서 활동하고 있는 판소리 명창 대부분이 전남(全南) 출신(出身)이다.
    • 국악정보
    • 자료실
    2013-01-21

공연소식 검색결과

  • 9월 16일 한국소리문화의전당 - 2022 전주세계소리축제 개막공연 '백년의 서사'
    1. 공연명 : 2022 전주세계소리축제 개막공연 '백년의 서사' 2. 장소 : 전북 전주시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모악당 ▶ 지도보기3. 날짜 : 2022년 9월 16일 (금요일)4. 시간 : 오후 7시 30분 5. 티켓료 : R석20,000원 / S석10,000원6. 문의 : 1522-62787. 공연정보 더보기 ▶ 인터넷 예매하기◆ 출연진 : 소리극단도채비,우도콜렉티브,이아람,황민왕,오정수,박현욱,이창현,디지털시나위,천하제일탈공작소 등 ★ 김창환, 송만갑, 이동백, 김창룡, 정정렬 등 근현대 소리꾼들이 판소리 100년, 시공을 초월해 이질과 동질의 서사를 그려낸다.
    • 공연소식
    • 광주,전라
    2022-09-05
  • 2022 국립창극단 완창판소리 - 3월 12일 '왕기철의 박록주제 흥보가'
    1. 공연명 : 왕기철의 박록주제 '흥보가' 2. 장소 : 서울 장충동 국립극장 하늘극장 ▶ 지도보기 3. 날짜 : 2022년 3월 12일 (토요일) 4. 시간 : 오후 3시 5. 티켓료 : 전석 20,000원 6. 문의 : 02-2280-4114 7. 공연정보 더보기 ▶ 예매하기 ◆ 출연진 : ▶ 왕기철 프로필 , 고수 김규형·김학용, 해설·사회 유영대 이번에 왕기철 명창이 부를 ‘흥보가’는 송만갑-김정문-박록주-한농선으로 이어 져온 동편제 계열이다. 힘 있게 내지르는 시원한 소리이자 끝맺음이 간결하고 분명한 것이 특징이다. 왕기철 명창이 국립극장에서 ‘흥보가’를 완창하는 것은 2002년 이후 20년 만으로 더욱 기대를 모은다. 탄탄한 공력과 원숙한 경험을 바탕으로 소리 판을 압도할 왕기철 명창의 모습을 만나볼 수 있는 귀한 무대다.
    • 공연소식
    • 서울
    2022-02-28
  • 12월 30일 대구문화예술회관 기획공연, '양수진의 판소리 완창 - 만정제 흥보가'
    1. 공연명 : '양수진의 판소리 완창 - 만정제 흥보가'2. 장소 : 대구 성당동 대구문화예술회관 비슬홀 ▶지도보기3. 날짜 : 2021년 12월 30일 (목요일)4. 시간 : 오후 7시5. 티켓료 : 전석 10,000원 6. 문의 및 전화예매 : 053-606-61357. 공연정보 더보기 ▶ 티켓링크 예매◆ 출연진 : 완창판소리 소리꾼▶ 양수진 프로필 , 고수▶ 임현빈 프로필영남판소리의 맥을 이어가는 차세대 소리꾼 양수진은 타고난 목과 맑으면서도 힘이 있는 성음이 특징이다. 14세의 나이에 故 모정 이명희 명창 문하에서 흥보가와 춘향가를 배우며 입문하여 가왕 송흥록, 당대의 국창 송만갑, 박록주, 만정 김소희, 모정 이명희로 이어지는 동편제의 계보를 이어받았다. ‘만정제 흥보가’는 동편제의 호탕하고 웅장하면서 진중한 소리 특색과 만정선생 특유의 섬세하고 깔끔한 더늠이 덧붙여져 동, 서편 소리의 좋은 점을 두루 섭렵한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 공연소식
    • 대구,경북
    2021-12-01
  • [9월 5일 한국문화의집] 담담풍류_김일구 명인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공연명 담담풍류 김일구 명인 장소 한국문화의집 날짜 2018.09.05 (수) 시간 오후 8시 티켓료 전석 만원 출연진 김일구 문의전화 02-3011-1720 공연정보 더보기 ▶ http://goo.gl/G85h5m 담담풍류 말씀 담(談) = 말씀 언(言) + 불꽃 염(炎) 놋화로에 뭉근하게 타오르는 불을 끼고 앉아 벗과 함께 나누는 풍류정담(風流情談) 운치 있는 사랑방에 둘러앉아 허물없는 벗들과 정담을 나눠가는 시공(時空)속의 풍류객이 되어 문화계 명사들이 들려주는 이야기와 공연을 감상하는 렉처콘서트이다. 2018년 담담풍류의 두 번째 무대는 판소리, 아쟁, 가야금, 거문고, 창극에 이르기까지 전통예술의 전 분야에 두루 능한 이 시대 최고의 명인 김일구 선생을 초청하여 전통예술과 인생에 대한 이야기를 나눈다. 그의 국악 인생의 발자취를 돌아보며 예술세계와 수련 과정을 들여다보고, 향후 국악 발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시간을 마련했다. 또한 김일구 선생이 직접 판소리, 김일구류 아쟁산조, 강태홍류 가야금산조뿐만 아니라 한갑득류 거문고산조까지 연주하며 다재다능한 실력을 유감없이 발휘할 예정이다. 프로그램 김일구류 아쟁산조 강태홍류 가야금산조 한갑득류 거문고산조 판소리 심청가 中 눈 뜨는 대목 김일구 金一球, 1940년 김일구 명창은 8살 때부터 소리길에 들어섰다. 공대일, 김상룡, 장영찬, 정권진, 성우향 명창 문하를 거치면서 소리를 익혔고, 특히 박봉술 선생으로부터 <적벽가>를 사사 받아 송흥록 – 송광록 -송우룡 – 송만갑 - 박봉술로 이어지는 계보의 적자가 되었다. 또한 장월중선 문하에서 아쟁을, 원옥화 문하에서 강태홍류 가야금산조를, 한갑득 문하에서 거문고 산조를 익혀 판소리는 물론 아쟁, 가야금, 거문고 연주까지 다재다능한 예인으로 꼽힌다. 여성국극단 반주자와 여러 곳의 국악원 강사를 거쳐 국립창극단, 국립국악원에서 활동한 그는 성음이 좋아 판소리 사설의 전달이 명료하고 드라마틱한 목소리와 해학적 연기로 판을 장악해가는 능력이 뛰어나 귀 명창들에게 특히 인기가 높다. 또한 그는 스승 장월중선에게 전수받은 가락을 바탕으로 약 25분정도 추가하여 발전된 ‘김일구류 아쟁산조’를 정립하였다. 각 장단마다 청이 변하는 변청가락과 변화무쌍한 음색의 조화가 특징인데, 이를 두고 故 최종민 선생은 “김일구의 아쟁은 말을 하는 것과 같다”고 평한 바 있다. 여든을 앞두고도 청년 못지않은 열정을 지니고 있는 김일구 선생은 100여 회의 판소리 완창 발표회, 1,000여 편의 창극, 전통예술 공연 무대에 올라 활발히 활약하고 있으며, 전문예술법인 온고을소리청 대표로 국악예술인 인재 양성에 힘쓰고 있다.
    • 공연소식
    • 서울
    2018-08-23
  • 거문고의 명인 故신쾌동선생 서거 40주기 추모공연 '금헌의 소리' 6월 20일 국립국악원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공연명 거문고의 명인 故신쾌동선생 서거 40주기 추모공연 '금헌의 소리' 장소 국립국악원 우면당 날짜 2017년 6월 20일 시간 19시 30분 티켓료 전석 무료초대 출연진 김영재, 박천경, 김선호 문의전화 02-564-0269 공연정보 더보기 1. 신쾌동류 향제 줄풍류 중 뒷풍류(천년만세, 양청도드리, 우조도두리, 풍류굿거리) 양금 : 이다경, 박소연, 장은경, 양은지 /장단 : 박천경 영산회상 또는 줄 풍류로 알려진 현악 영산회상은 조선 후기 선비들의 풍류방에서 발전되어 오늘에 전해지는 값진 음악 유산중의 하나이다. 신쾌동류 향제 줄풍류는 금헌 신쾌동선생이 유년시절 정밀동과 김용근 선생에게서 익혔던 가락으로 총 15개의 악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악곡들은 크게 본풍류, 잔풍류, 뒷풍류등 세 개의 악곡으로 구분된다 2. 신쾌동류 거문고 병창 ‘적벽가 中 새타령’ 거문고: 김영재/ 장단 :김선호 신쾌동선생이 1930년대 이동백. 송만갑. 정정렬 명창들에게 받은 소리를 거문고에 얹어 거문고병창을 창안하시고 수많은 공연을 하셨다 그 이후 김영재 선생에 의해 전승되고 있는 실정이다. 3. 철가야금과 살풀이 철가야금 : 김영재 / 살풀이 : 진유림 / 장단 : 김선호 4. 거문고 창작곡 ‘성묫길’ - 거문고 : 김주란, 정민조, 장은희, 김재경 / 장단 : 박천경 신쾌동 서거 40주년 기념 공연을 위해 김영재 명인이 재편곡한 곡으로 스승의 성묫길에서 얻은 악상을 오선보에 그린 것이다. 봄바람이 비교적 쌀쌀하게 느껴지는때 자유롭게 바람 부는 대로 흔들대는 春草들의 모습이 마치 움직이는 사람들과도 같았다. 말없이 누워있는 고인들의 무덤속에서 저마다의 그리움을 안고 누군가를 기다리는 듯한 느낌이 들어 이 곡을 쓰게 되었다. 계면조로 되었으며 느린 중모리장단과 술대로 트릴 기법을 사용하여 기존의 술대법을 바꿔보려 했다. 또한 산조연주법을 생각하여 2. 5.8ㅅ괘를 주로 쓴다. 전체적으로 슬픔이 깔려있어 좀 어두운 면이 있으나 기존 봄에서 느끼는 상식적임을 일부러 피해보고자 한 것이 특징이라 하겠다. 오늘 연주는 신쾌동류 거문고 산조 보존회원들과 함께 한다. 5. 판소리 추모곡 ‘거문고 소리’ - 판소리 : 정회석 / 고수 : 김선호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춘향가)이수자인 정회석 명창이 ‘거문고’를 주제로 작창하여 무대에 선보인다. 6. 신쾌동류 거문고 산조 - 신쾌동류거문고산조보존회 회원 일동 / 장단 : 김선호 신쾌동류 거문고 산조의 특징은 대체로 평, 우조가 많으며 힘이 있고 선이 굵은 가락들로 짜여있다. 그리고 계면조 역시 담담하면서도 우직한 느낌의 평계면과 우계면조가 많다. 따라서 아주 슬픈 진계면조는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라 할 수 있다. 연주기법에 있어서는 특히 농현이 어렵고 깊이가 있어 호쾌한 맛이 난다. 오른손의 술대 사용도 대점, 중점, 소점 등이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연주 모습에 있어서도 품격을 유지해야 하고, 그래야 가락을 연결하는 데도 무리가 없다. 신쾌동류 거문고 산조는 다양한 기교가 조화된 결정체라 할 수 있다. 가락의 붙임새, 선이 굵은 농현, 품격 있는 술대법, 고루 갖춘 조성 그리고 산조 전체 구성에 있어 탄탄한 짜임새들은 신쾌동류 만이 갖는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 공연소식
    • 서울
    2017-05-26
  • 명창 송순섭과 함께하는 판소리 ‘적벽가’ - 5월 22일(일) 국립부산국악원 예지당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공연명 : 명창 송순섭과 함께하는 판소리 '적벽가’ 2. 장소 : 부산 연지동 국립부산국악원 예지당 ▶ 지도보기3. 날짜 : 2016년 5월 22일 (일요일)4. 시간 : 오후 3시 5. 티켓료 : 전석 10,000원◆ 출연진 : ▶박근영 프로필, 이하나, 정향자 <판소리 다섯 바탕전>의 두번째 공연은 ‘적벽가’는 ‘삼국지연의’을 바탕으로 조조와 공명, 유비 등 영웅호걸들의 무용담과 병사들의 애환을 담고 있는 판소리이다. 다섯 바탕 중 가장 호방하고 남성적인 고음이 많고 풍부한 성량을 필요로 하는 곡으로 송순섭 명창의 동편제 특유의 힘있는 소리를 남성적인 장쾌함과 툭툭 던지는 시원한 발성으로 표현, 완숙의 경지에 든 무대를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송순섭 명창은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적벽가’ 예능보유자로 송만갑ㆍ박봉술 선생으로 이어진 정통 동편제 '적벽가'의 맥을 잇고 있다. 한자어가 가득한 사설을 정확하게 해석하기 위해 수십년간 학자들과 함께 토론하고 연구하면서 가장 잘 정리된 창본(唱本)을 제작해온 ‘적벽가’의 권위자다. 송순섭 명창과 박근영(대전시 무형문화재 제17호 판소리고법 이수자)고수의 무대에 앞서 전반부에 제자 이하나(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적벽가 이수자) 소리꾼과 정향자(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적벽가 이수자) 고수의 무대를 함께 구성하여 스승과 제자, 그리고 맛깔나는 고수들의 추임새가 있는 화합의 무대를 보여준다. 송순섭 명창과 제자 이하나가 함께하는 ‘강인한 통성의 소리 <적벽가>’ 무대는 4시간 분량의 판소리 ‘적벽가’를 약 2시간 가량의 유명한 눈대목으로 구성하였다. 첫 무대는 적벽대전을 앞두고 군사들을 격려하기 위해 조조가 잔치를 베푸는 장면에서 전쟁터에 끌려나온 이름없는 군사들이 자신들의 설움을 토로하는 ‘군사설움’대목으로 송순섭 명창의 제자이자 부산의 소리꾼 ‘이하나’의 소리를 들려준다. 후반부는‘ 송순섭 명창’의 시원한 소리로 삼국지연의 중 조조가 중국의 패권을 손에쥐기 위해 승승장구 하던 중, 십만대군을 이끌고 손권과 유비의 연합군과 싸우는 극적인 전쟁장면을 묘사한 ‘적벽대전’을 극적으로 풀어나갈 예정이다.
    • 공연소식
    • 부산,경남
    2016-05-18
  • 이현정 판소리 독창회 '미산제 흥보가' 4월 14일 (목) 서울 부암아트홀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공연명 : 이현정 판소리 독창회 '미산제 흥보가' 2. 장소 : 서울 종로구 부암아트홀 ▶ 지도보기3. 날짜 : 2016년 4월 14일 (목요일)4. 시간 : 오후 7시 30분 5. 티켓료 : 20,000원6. 문의 : 02-391-96317. 인터파크 예매하기 ▶ http://me2.do/53kqPetC◆ 출연진 : ▶ 이현정 프로필 , 고수 ▶ 최광수 프로필 흥보가는 판소리 다섯 마당 중 재담소리와 민속적 특징이 적절히 있어, 일반인들에게 호응도와 친밀감이 가장 많은 소리이다. 가난하지만 마음씨 착한 아우 흥보는 제비다리를 고쳐주어 복을 받고, 마음씨 고약한 형 놀보는 부자가 되기 위해 제비다리를 고의로 부러트려 벌을 받는다는, 전형적인 권선징악의 교훈을 담고 있는 사설이다. 동편제인 〈미산제 흥보가〉는 송흥록, 송광록, 송우룡, 송만갑을 통해 전승된 소리이다. 송만갑의 〈흥보가〉는 김정문에 의해 전승되었고, 김정문에게 이어진 소리는 박록주, 박초월, 강도근 등에게 전승되었다. 오늘 발표할 이현정의 소리는 박초월(1917~1983) → 김수연(1947~) → 이현정에게 전승된 〈미산제 흥보가〉이다. 흔히 동편제라 하면 기교를 부리기보다는 통성으로 힘 있게 내지르는 것이 특징이나, 박초월이 남긴 〈미산제 흥보가〉는 애원성이 전반에 흐르고 있어, 동편제의 소리 바탕위에 서편제 소리의 특징도 엿보인다 하겠다. 따라서 이번 공연에서는 정교한 붙임새에 동편제의 우람함과 서편제의 아련함이 융합된 〈미산제 흥보가〉의 진수를 감상하게 될 것이다. 연창대목은 〈미산제 흥보가〉 처음부터 제비노정기까지이다. 사회 김수미 (부암아트 국악예술감독)
    • 공연소식
    • 서울
    2016-04-01
  • '이선유' 경상도 동편제 판소리 복원 및 재현 공연, 10월 12일 하동군 평사리 최참판댁
    1. 공연명 : '이선유' 경상도 동편제 판소리 복원 및 재현2. 장소 : 경남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 최참판댁 ▶지도 보기3. 날짜 : 2014년 10월 3일 (금요일)4. 시간 : 오후 2시 5. 티켓료 : 무료 초대6. 문의 : 010-2761-7887 7. 공연정보 더보기 ▶ http://me2.do/GgoFF2OA◆ 출연진 : 최난경(연출) , 김문희, 이선희, 박민정, 노민아, 문수현 (소리) 손정진(북 하동공연), 박명언(북 서울공연) ◆ 이선유 명창과 경상도 동편제 판소리지조 있는 소리꾼, 이선유이선유(1873-1949)는 경남 하동 출신의 동편제 명창으로 국창의 반열까지 오른 훌륭한 명창이다. 하지만 일제 강점기 때 동편제의 향유층이 양반사대부에서 일반 대중으로 바뀌게 되면서 이선유의 소리는 기로에 서게 된다. 이러한 격변하는 시대적 흐름 속에서도 이선유는 끝까지 동편제 소리의 지조를 지킨다. 그 결과 이선유는 대중들로부터 철저히 외면당하게 되었고, 진주권번 소리선생을 하면서 제자 양성에 애썼지만 정작 자기 소리를 잇는 제자를 두지 못하게 된다. 하지만 이선유는 인생 말년에 가서 소리의 가치를 인정받아 무려 1시간 20분 분량의 음반을 내고, 판소리 명창으로는 최초로 자신이 부른 판소리 다섯 마당이 온전히 담겨있는 '오가전집' 이라는 창본을 남기게 된다. 이선유의 말년에 비로소 탄생한 음반과 창본은 옛 동편제 소리의 유일한 맥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경상도 동편제 판소리동편제는 교통이 불편하던 시절, 섬진강 동쪽 지방에서 송흥록의 법제를 중심으로 전승되던 소리제로 기교는 적게 쓰고 웅장하고 힘찬 소리를 내는 것이 그 특징이다. 흔히 동편제라고 하면 전라도 동쪽 지방을 떠올리게 된다. 하지만 경상도 서남쪽 지방도 과거에는 동편제 지역이었다. 이선유가 태어난 하동은 이선유,유성준과 같이 걸출한 동편제 명창을 두 명이나 배출한 동편제 고장이요, 이선유가 활동하다 세상을 떠난 진주도 역시 동편제의 창시자인 송흥록을 비롯한 기라성과 같은 동편제 명창들이 활동하던 고장이다. 일제 강점기에는 이선유, 유성준, 송만갑 등의 동편제 명창 밑에서 신숙, 오비취, 김수악 등의 여류 명창이 배출되기도 하였다. 진주 사람들은 1970년대까지만 해도 아침이면 진주 남강 변이나 비봉산 자락에서 소리꾼(기녀)들이 목 푸는 소리를 들었노라고 회상하곤 한다.
    • 공연소식
    • 부산,경남
    2014-10-01
  • '이선유' 경상도 동편제 판소리 복원 및 재현 공연, 10월 3일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1. 공연명 : '이선유' 경상도 동편제 판소리 복원 및 재현2. 장소 : 서울 서초동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지도 보기3. 날짜 : 2014년 10월 3일 (금요일)4. 시간 : 오후 5시 5. 티켓료 : 무료초대6. 문의 : 010-2761-7887 7. 공연정보 더보기 ▶ http://me2.do/GgoFF2OA◆ 출연진 : 최난경(연출) , 김문희, 이선희, 박민정, 노민아, 문수현 (소리) 손정진(북 하동공연), 박명언(북 서울공연) ◆ 이선유 명창과 경상도 동편제 판소리지조 있는 소리꾼, 이선유이선유(1873-1949)는 경남 하동 출신의 동편제 명창으로 국창의 반열까지 오른 훌륭한 명창이다. 하지만 일제 강점기 때 동편제의 향유층이 양반사대부에서 일반 대중으로 바뀌게 되면서 이선유의 소리는 기로에 서게 된다. 이러한 격변하는 시대적 흐름 속에서도 이선유는 끝까지 동편제 소리의 지조를 지킨다. 그 결과 이선유는 대중들로부터 철저히 외면당하게 되었고, 진주권번 소리선생을 하면서 제자 양성에 애썼지만 정작 자기 소리를 잇는 제자를 두지 못하게 된다. 하지만 이선유는 인생 말년에 가서 소리의 가치를 인정받아 무려 1시간 20분 분량의 음반을 내고, 판소리 명창으로는 최초로 자신이 부른 판소리 다섯 마당이 온전히 담겨있는 '오가전집' 이라는 창본을 남기게 된다. 이선유의 말년에 비로소 탄생한 음반과 창본은 옛 동편제 소리의 유일한 맥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경상도 동편제 판소리동편제는 교통이 불편하던 시절, 섬진강 동쪽 지방에서 송흥록의 법제를 중심으로 전승되던 소리제로 기교는 적게 쓰고 웅장하고 힘찬 소리를 내는 것이 그 특징이다. 흔히 동편제라고 하면 전라도 동쪽 지방을 떠올리게 된다. 하지만 경상도 서남쪽 지방도 과거에는 동편제 지역이었다. 이선유가 태어난 하동은 이선유,유성준과 같이 걸출한 동편제 명창을 두 명이나 배출한 동편제 고장이요, 이선유가 활동하다 세상을 떠난 진주도 역시 동편제의 창시자인 송흥록을 비롯한 기라성과 같은 동편제 명창들이 활동하던 고장이다. 일제 강점기에는 이선유, 유성준, 송만갑 등의 동편제 명창 밑에서 신숙, 오비취, 김수악 등의 여류 명창이 배출되기도 하였다. 진주 사람들은 1970년대까지만 해도 아침이면 진주 남강 변이나 비봉산 자락에서 소리꾼(기녀)들이 목 푸는 소리를 들었노라고 회상하곤 한다.
    • 공연소식
    • 서울
    2014-09-26
  • 11월 20일 한국문화의집 KOUS에서 '동편제 심청가 40년만에 복원 및 재현 발표회'
    ▶ 전인삼 프로필 ▶채수정 프로필판소리 인간문화재 박록주 명창이 마지막 간직했던 동편제 심청가를 40여년만에 복원하는 발표회가 개최된다.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이 주최하고 채수정 예술단이 주관하는 동편제 박록주 바디 심청가 복원 및 재현발표회가 2013년 11월20일 오후 5시 한국문화의 집 KOUS에서 전인삼, 채수정 출연으로 열린다. ▶ 공연장 지도보기박록주 명창의 심청가는 송흥록-송만갑-김정문-박록주로 이어져온 대표적인 동편제 판소리로 판소리 음악문화의 격변기인 20세기를 거치면서도 시대적 흐름에 크게 영향받지 않고 송흥록으로부터 이어지는 옛 동편제의 사설과 선율적 특징을 잘 보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가치가 크다. 이번에 복원하는 심청가 음원은 국악음반박물관이 제공한 것으로 박록주 명창이 1976년 72세에 녹음한 것인데 전승이 끊어져 가던 동편제 심청가를 당대 최고의 원로 명창이 기록으로 남겨 오늘날 부활의 불씨를 전해준 대단히 귀중한 자료임에 틀림없다. 자세한 사항은 채수정판소리연구소(02-572-2835)나 송미경(010-3782-9048)씨에게 문의하면 된다. 공연 기사 더보기 ☞ http://me2.do/FPDxqyEA
    • 공연소식
    • 서울
    2013-11-13

국악동영상 검색결과

국악인프로필 검색결과

  • 박가빈 (박애란) 프로필 - 판소리
    ☆ 박가빈 (박애란)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판소리 수련과정ㅣ학력 최난수, 유미리, 윤진철, 염경애 선생 사사남원국악예술고등학교 졸업이화여자대학교 음악학사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석사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박사 활동 경력 서울창의예술교육센터 예술강사 역임국립전통예술중학교 강사2021년 조상현바디 강산제 심청가 완창 수상 경력 2018 제19회 공주 박동진판소리명창·명고대회 판소리 일반부 장원 (문화체육부장관상)2020 제24회 송만갑판소리·고수대회 명창부 최우수상2022 제26회 송만갑판소리·고수대회 명창부 대상 (대통령상)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v9X1MuEz30 [인터뷰, 심청가 中 심봉사 눈뜨는장면]https://youtu.be/N8LMDFMZ49A [강솔잎 작곡. 벚꽃 흩날리는 늦은 봄날 - 소리 박가빈, 25현가야금 김바니]https://bit.ly/3KkLWwH [박가빈 유튜브채널]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국악인 측에서 직접 제공한 자료 또는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정리한 내용이며, 공개된 정보를 수집, 정리한 것은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라,마,바
    2022-08-25
  • 이주현 - 판소리, 고수
    ☆ 이주현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판소리고법, 고수, 판소리 수련과정ㅣ학력 권혁대, 오광오, 장보영 선생 사사 (판소리고법) 천희심 명창 춘향가, 故 남해성 명창 수궁가, 김화자 명창 흥보가, 허은선 명창 적벽가&심청가 사사남원국악예술고등학교 졸업전주 우석대학교 예술대학 국악과 졸업 활동 경력 현재 목포 장보영국악연구소 회원연리지예술단 회원 수상 경력 2014 서편제 보성소리축제 고수경연대회 일반부 대상포항천하명인국악제전 판소리 명창부 최우수상2021 제25회 송만갑 판소리고수경연대회 명고부 1위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gdRNCjla62Q [소리 김찬미, 고수 이주현] 기타 ◆본 국악인 프로필은 국악인 측에서 직접 제공한 자료 또는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정리한 내용이며, 공개된 정보를 수집, 정리한 것은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2022-06-10
  • 박세미 - 판소리
    ☆ 박세미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판소리 수련과정ㅣ학력 주운숙 선생 사사경북 고령고등학교 졸업부산대학교 한국음악학과 졸업 및 동대학원 석사과정대구시무형문화재 제8호 심청가 이수자 활동 경력 고령문화원 판소리반 강사 수상 경력 2016 제20회 송만갑 판소리고수대회 일반부 대상2017 제5회 전국밀양아리랑경창대회 일반부 대상2020 제47회 대한민국 춘향국악대전 판소리 일반부 대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2021 제12회 장수논개전국판소리경연대회 명창부 최우수상 홈페이지ㅣSNS https://www.instagram.com/sorissem_20 [인스타그램]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2gBPWWCvciI [심청가 中 심황후 부친 기다리는 대목]https://han.gl/EvXuM [국악인 박세미 유튜브채널]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라,마,바
    2022-05-20
  • 백귀영 - 판소리
    ☆ 백귀영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판소리 수련과정ㅣ학력 최승희, 김경호 선생 사사남원국악예술고등학교 졸업전남대학교 예술대학 국악학과 졸업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졸업전북무형문화재 제2-5호 판소리 춘향가 이수자 활동 경력 현재 진도군립민속예술단 창악부 상임단원 수상 경력 2011 제12회 국창 권삼득선생 추모 전국국악대제전 권삼득상 (문화체육부장관상) 홈페이지ㅣSNS https://han.gl/XxMWK [페이스북]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satPPRV7eJU [송만갑 바디 박봉술제 적벽가 (고수 박준호)]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라,마,바
    2022-04-26
  • 유창선 (류창선) - 판소리
    ☆ 유창선 (류창선)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판소리 수련과정ㅣ학력 남원국악예술고등학교 졸업한양대학교 국악과 졸업한양대학교 대학원 국악학과 재학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흥보가 전수자 활동 경력 유창선 동편제 흥보가 완창발표회 (11살)정동극장 뮤지컬 '적벽' 노숙역사)정가악회 판소리대학전 (한양대 대표)신진국악실험무대 - 류창선의 그냥노래2009~2011 광주MBC얼씨구학당 고정패널2015 문화체육관광부 예술장학생2021 국립민속국악원 소리판 '류창선의 동편제 강도근바디 흥보가 완창발표회' 수상 경력 남원전국학생판소리경연대회 초등부 대상 어린이판소리왕중왕전 대상완산전국국악대제전 판소리 중등부 대상송만갑판소리.고수대회 고수 학생부 대상남해성전국판소리경연대회 중등부 대상진남전국국악경연대회 판소리 중.고등부 대상금파강도근전국판소리경연대회 중등부 대상팔마고수대회 학생부 대상 (교육부장관상)금파강도근판소리경연대회 고등부 대상송만갑판소리.고수대회 판소리 고등부 대상전국국악경연대회 판소리 고등부 대상남도민요경창대회 고등부 대상국창박초월전국판소리경연대회 고등부 대상남해성전국판소리경연대회 고등부 대상춘향국악대전 판소리 학생부 대상 (교육부장관상)동아국악콩쿠르 판소리 학생부 은상동아국악콩쿨 판소리 학생부 금상온나라국악경연대회 성악부분 금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https://han.gl/flmZN [앞날창창류창선 유튜브채널]https://youtu.be/excWTxTU1dI [판소리 수궁가 中 일개한퇴] 기타 2008년 광주월계초등학교 4학년때 판소리 ‘흥보가’를 3시간여에 걸쳐 완창하여 국악신동으로 많은 화제를 모았었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2022-01-15
  • 김유진 - 판소리
    ☆ 김유진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판소리 수련과정ㅣ학력 조통달 선생 사사목원대 한국음악학부 졸업 (판소리 전공)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수료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춘향가 이수자 활동 경력 현재 광양시립국악단 단원 수상 경력 2008 제16회 임방울전국국악경연대회 판소리 일반부 우수상2018 제48회 개천예술제전국국악경영대회 판소리 일반부 대상 (국회의장상)2021 제25회 송만갑판소리고수대회 명창부 우수상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가,나,다
    2022-01-12
  • 김가을 - 판소리, 퓨전국악
    ☆ 김가을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판소리, 퓨전국악 수련과정ㅣ학력 한정하, 박춘맹, 전정민, 안숙선 선생 사사전남 보성중학교 및 보성고등학교 졸업중앙대학교 전통예술학부 졸업 활동 경력 2021 국악대학전 ‘내일의 예인’ 독주회 (서울돈화문국악당)소리꽃가객단 멤버퓨전국악그룹 '퀸' 보컬 국악뮤지컬집단 타루 멤버 수상 경력 2013 제17회 송만갑 판소리 고수대회 학생부 대상2014 제17회 서편제 보성소리축제 전국판소리 고법 경연대회 학생부 교육부장관상2015 진도문화예술제 제18회 남도민요 전국경창대회 학생부 대상2017 제20회 서편제 보성소리축제 전국판소리경연대회 대학 및 일반부 우수상2018 제19회 박동진 판소리 명창 명고대회 최우수상 홈페이지ㅣSNS https://han.gl/0Mj7l [퓨전국악그룹 퀸 블로그] https://taroo.com [타루 홈페이지]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wSzZfDDTPrQ [국악을 세계에 알리는 소리꾼 '김가을'] https://youtu.be/SFEb8We2RGo [사랑가] https://youtu.be/NcSbdBDRhxc [소리꽃가객단 (김우정,홍서영,양혜원,신예주,김가을) - 사철가]https://youtu.be/DLjMIYN8K4c [조선판스타 - '살다가(SG워너비)+따라간다(심청가)'] 기타 2021 한국문화의집 공연 <청춘가(靑春歌)>의 최종우승팀인 '소리꽃가객단'은 2021년 싱글 '소리꽃 가객단' 으로 정식 데뷔한 여성 5인조 국악그룹이다. (멤버 - 김가을, 홍서영, 양혜원, 신예주, 이나경)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가,나,다
    2021-10-29
  • 정정미 - 판소리
    ☆ 정정미 (정수목)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판소리 수련과정ㅣ학력 경북예술고등학교 졸업영남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판소리) 학사 및 석사 활동 경력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제8호 판소리 전수조교 (사)영남판소리보존회 이사장 (사)한국국악협회 대구광역시지회 국극분과위원장 수상 경력 제1회 군항전국국악경연대회 문화관광부장관상진해전국국악대전 표창장 수상 (지도자부문)대한민국 모범인 대상 '문화예술부문 대상'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장상)2021 제25회 송만갑 판소리.고수대회 판소리 부문 명창부 대상 (대통령상) 홈페이지ㅣSNS http://pansoriyn.com [영남판소리보존회 홈페이지] 동영상 보기 기타 어머니가 대구시무형문화재 제8호 판소리 故이명희 예능보유자이며,딸 박은채도 소리를 하고 있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2019-12-23
  • 배옥진 프로필 - 판소리
    ☆ 배옥진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판소리 수련과정ㅣ학력 김명신, 조소녀, 송재영 선생 사사 전북대학교 한국음악학과 졸업 활동 경력 현재 전라북도립국악원 창극단 단원 수상 경력 1999 장흥전통가무악전국제전 장관상 2000 제1회 국창권삼득전국국악대제전 장관상 2000 제5회 완산국악대제전 판소리부문 국무총리상 2018 제22회 송만갑판소리고수대회 명창부 대통령상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ADK-RXZ0tKk [흥부가 - 송만갑 판소리·고수 대회 축하공연]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라,마,바
    2018-10-16
  • 김수지 - 판소리
    ☆ 김수지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판소리 수련과정ㅣ학력 조소녀, 성우향, 송순섭, 전정민 선생 사사 전주예술고등학교 졸업 중앙대학교 국악과 연희예술학부 졸업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춘향가 이수자 활동 경력 전) 사)한국판소리보존회 과장현) 한국예술진흥원 대표현) 사)한국민속전통진흥회 상임이사 수상 경력 제10회 광주임방울전국국악제 판소리 초등부 대상제15회 KBS어린이판소리왕중왕전 대상(KBS전주방송사장상)제5회 국창권삼득 선생 추모 국악대제전 중등부 대상제9회 국창 송만갑선생 추모 전국판소리경연대회 중등부 최우수상제10회 남도민요전국경창대회 고등부 최우수상 제19회 금파강도근전국판소리경연대회 일반부 최우수상 제17회 서편제보성소리축제 전국판소리경연대회 일반부 최우수상 제7회 판소리명가 장월중선명창대회 일반부 종합대상 국회의장상제15회 전국 숲쟁이국악경연대회 일반부 판소리 부문 장원 홈페이지ㅣSNS https://www.instagram.com/suu___jii [인스타그램] 동영상 보기 https://han.gl/rlgAY [판소리하는수지tv - 유튜브채널] 기타 청와대안전행정부주최 제 4346주년 개천절 경축식행사 생방송 -피날레2013년~2017년 제 43,44,45,46, 47회 판소리유파대제전 - 연출가 2013년~2017년 다수 대회 총괄 감독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가,나,다
    2018-09-11

관련사이트 검색결과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