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11-28(화)

통합검색

검색형태 :
기간 :
직접입력 :
~

국악정보 검색결과

  • [축제안내] 아리랑의 선율, 희망의 울림 - 제65회 밀양아리랑대축제 (5월18일 ~ 21일)
    ▶ 밀양아리랑대축제 홈페이지 기간 및 장소기간 : 2023. 5 .18.(목) ~ 21.(일)장소 : 영남루 및 밀양강변, 남천강변로, 내일동 상가 일원 주최 및 주관주최 : 밀양시주관 : (재)밀양문화관광재단 주제아리랑의 선율, 희망의 울림희망찬 미래로 발걸음을 옮기며 부르는 아리랑의 선율삶을 노래하고 모든이들의 희망과 꿈을 노래하는 아리랑 슬로건날좀보소 밀양보소, 세계 속의 밀양아리랑'밀양 방문의 해' 와 함께 하는 제65회 밀양아리랑대축제과거와 현재, 미래를 잇는 디아스포라를 통한 세계화 추구
    • 국악정보
    • 아리랑소식
    2023-05-17
  • 42만명 즐긴 ‘밀양아리랑대축제’ 세계화 가능성 봤다
    제64회 밀양아리랑대축제에 40만명이 몰려 경남은 물론 대한민국 대표축제로 세계화가 가능한 것으로 평가받았다. 지난 9월22일부터 25일까지 영남루와 밀양강변 남천강변로 일원에서 열린 밀양아리랑대축제는 코로나19가 지속되는 상황에서도 다양한 콘텐츠를 선보여 관광객들을 불러 모았다. 특히 시는 축제 기간 매일 저녁 영남루, 밀양강을 배경으로 시민배우 등 1000여명이 무대에 올라 밀양의 전설, 밀양이 배출한 인물들을 멀티미디어로 화려하게 보여주는 대규모 뮤지컬 형태 공연인 ‘밀양강 오딧세이’가 관객들에게 호평을 받았다. ◇ 4일간 42만8000명 참여해 세계화 확인= 위드 코로나 상황임에도 올해 밀양축제 관람객은 42만8000명으로 집계됐다. 축제 관람객 1인당 평균 4만606원을 지출해 2019년 대비 3.37% 증가한 173억8000만원의 직접 경제적 효과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동반자 2명~5명 가족 단위가 많았고, 관람객 95.1%가 밀양아리랑대축제를 보기 위해 방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참가비율이 많이 증가한 가운데 전체 관람객 평균 연령이 42.1세로 경제활동층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 관광객 유치와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큰 도움이 됐다는 긍정적인 분석이 나왔다. ◇ 특색있는 프로그램 운영으로 호응=밀양아리랑대축제는 2020~2023 정부 지정 문화관광축제로 39종의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관람객 종합만족도가 평균 82.9점으로 매우 만족하는 수준으로 2019년 대비 2.9점 상승은 물론 타 축제 대비 만족도인 73.7점보다 높아 지역의 문화적 위상을 제고하고 특색있는 문화를 내포한 우수한 축제로 평가받았다. 만족도 조사 결과 지난 축제와 프로그램 구성이 달라 동등 비교가 어려운 가운데 전반적으로 비슷하거나 조금 높은 점수를 보이며, 재미있는 축제, 주제에 맞는 킬러콘텐츠, 축제 프로그램, 진행 짜임새와 원활성, 축제 시설과 도구에 대해서는 긍정적 평가를 보였다. ▶ 해당기사 더보기
    • 국악정보
    • 아리랑소식
    2022-12-09
  • 가야금병창 전해옥 - 가야금 메고 월드 버스킹…"세계에 국악 알리고 싶어”
    하와이 와이키키 해변 야자수 나무 아래였다. 커다란 스카프를 돗자리 삼아 깔고 앉아, 가야금을 뜯었다. 분홍 빛깔의 고운 한복을 입은 전해옥 명창의 손 끝에서 흐르는 낯선 선율에 사람들의 발길이 모였다. “코로나19와 같은 나쁜 액운을 쫓고 모두의 평화와 안녕을 기원하는 마음을 담은 ‘액맥이타령’을 연주했어요. 와이키키 해변에 모여든 서양인들은 이 곡의 의미도 모를 텐데도 진지하게 집중한다는 걸 느꼈어요.” 국가무형문화재 제 23호 가야금산조 및 병창 이수자이자 김해전국가야금경연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한 전해옥 명창이 지난 달 미국 하와이로 버스킹을 다녀왔다. ▶ 전해옥 프로필 전 명창은 “3년 전 대통령상을 받은 뒤 조금 더 국악의 대중화와 세계화에 일조하고, 가야금 병창을 알리고 싶었다”며 “월드 버스킹의 꿈을 가지고 있었는데, 코로나19로 하늘문이 닫혀 마음속으로만 바라오다 마침내 첫 단추를 끼우게 됐다”고 말했다. 전통악기 연주자가 홀로 ‘월드버스킹’을 떠나는 것은 드문 일이다. 전 명창이 처음 버스킹을 시작한 것은 2020년 5월 서울에서였다. 그는 “코로나19가 닥치며 모두가 어려운 시기를 보낼 때 예술가로서 아무 것도 하지 않고 가만히 있는 것이 너무나 답답했다”며 “이럴 때일수록 음악으로 희망을 주고, 살아있음을 알리고 싶었다”고 했다. 대한민국의 심장인 광화문에서 ‘액맥이 타령’을 연주하며 첫 버스킹을 시작, 동서남북 네 방위에 해당하는 지역들(한양도성, 한강망원지구, 북촌 한옥마을, 남대문)에서 연주를 이어갔다. 전 명창은 “우리 선조들이 고단하고 지친 삶에서도 음악으로 한을 달래고 신명으로 흥을 풀어내며 역경을 이겨낸 것처럼 이들의 지혜가 묻어나는 음악으로 전 세계인들의 평화와 안녕을 기원하고자 했던 것이 2년여 만에 성사됐다”며 벅찬 심경을 전했다. 하와이 와이키키 해변에선 ‘액맥이 타령’을 비롯해 판소리 춘향가 중 ‘사랑가’, ‘상주아리랑’을 비롯한 대표 민요는 물론 비틀스 ‘렛 잇 비’ 등 동양과 서양, 전통과 현대의 경계를 허문 곡을 가야금으로 연주했다. 당시 공연 영상은 유튜브를 통해 실시간 생중계됐고, 편집 과정을 거쳐 추후 공개 예정이다. ▶ 해당기사 더보기
    • 국악정보
    • 국악인소식
    2022-09-26
  • 9월 24일, 판소리의 세계화와 대중화를 위해 '세계판소리협회' 발족 (이사장 채수정 교수)
    9월 24일 (토요일)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교수로 재직 중인 판소리 명창 채수정 이사장을 중심으로 판소리를 보존하고 전승하는 것을 넘어 세계에 알리고 대중화에 앞장서기 위해 세계판소리협회를 발족하고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 채수정 프로필 ▶ 세계판소리협회 홈페이지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2022-09-20
  • 국악방송, 메타버스 사업 본격 신호탄 국악계 대표 소리꾼 모아 히어로 세계관 만든다 (김준수, 박애리, 서진실, 김주리 등)
    K-MUSIC의 세계화를 위한 메타버스 사업 추진 김준수, 박애리, 서진실, 김주리 등 국악계 대표 소리꾼 총출동메타버스 내 국악랜드 조성하고, 한국판 히어로 NFT 제작한다국악방송(사장 유영대)이 K-MUSIC의 전 세계적 확산을 위한 메타버스 및 NFT 프로젝트에 본격적인 신호탄을 쏘며, 메타버스와 NFT 제작의 기반이 되는 세계관과 참여 아티스트 명단을 공개했다. 국악방송은 기존 국악의 범위에서 확장된 ‘한국음악’이라는 큰 범주의 ‘K-MUSIC’ 브랜드를 내걸고 K-MUSIC 콘텐츠의 해외 진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 중심이 될 국악방송 메타버스 사업이 본격적인 궤도에 올랐다.◆ 메타버스와 NFT, 신기술과 국악의 만남국악방송 메타버스 사업은 메타버스와 NFT라는 기술과 국악이 더해진 최초의 콘텐츠가 될 예정이다. 국악방송은 지난 1월 아이메타버스 플랫폼 제작사 우리리우 주식회사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메타버스, NFT 내에 국악이 활용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왔다. 기술과 예술을 각각 다루는 두 전문 기업이 협업하여 전통문화를 활용한 세계관을 만들고, 이를 기반으로 아이메타버스(iMETAverse) 내 국악방송 랜드와 NFT 작품을 제작하고 있다.◆ 시공간을 초월하여 국악을 즐기는 새로운 세계, 향후 오디션까지 개최 예정새롭게 런칭되는 아이메타버스 (iMETAverse) 플랫폼 내 국악방송 랜드가 개설되어, 시공간을 초월하여 국악을 즐길 수 있다. 아이메타버스 플랫폼 내에 조성된 국악방송 랜드에서 각 유저들이 자신만의 아바타를 만들고 메타버스 생태계를 만들어 나갈 수 있게 된다. 향후 이 메타버스를 통해 국악 오디션 프로그램을 개최할 예정이다. 이미 메타버스를 통해 전시, 게임, 콘서트 등 다양한 콘텐츠가 시도되고 있지만, 국악이라는 장르와 협업하는 시도는 이번이 처음이다. 아이메타버스 플랫폼은 9 월 중 본격적으로 랜드 판매를 시작할 예정이다.◆ 한국판 히어로 세계관 담은 NFT 작품, 올해 11월 발매 예정전통문화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IP 비즈니스 탄생 기대국악방송 메타버스 사업은 메타버스 플랫폼 조성 이외에도, 독자적인 세계관을 담은 NFT 프로젝트 ’혼(HON,魂)’을 진행하고 있다 . 한반도에 사람들이 모르는 비정부 히어로 결사 조직이 있다는 이야기로 시작하는 세계관에서 국악인은 히어로로 재탄생한다. 국악과 국악인을 단순히 모델로 사용하는 것에서 확장하여, 전통문화와 국악을 활용한 독자적인 세계관을 구축하였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향후 이 세계관을 활용하여 웹툰, 공연 등 다른 예술 장르와의 콜라보레이션도 염두하고 있어, 전통문화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IP 비즈니스의 탄생도 기대하고 있다. 한국판 히어로 세계관을 담은 NFT 프로젝트 ‘ 혼’은 올해 11월 발매될 예정이다.◆ 김준수 , 유태평양, 박애리, 김주리, 서진실 등 국악계 대표 소리꾼 총출동국악방송 메타버스 사업에는 국악계 대표 소리꾼이 총출동한다. <풍류대장>에서 준우승을 거머쥔 ‘국악계의 아이돌’ 김준수를 비롯하여 , 국악계의 대표 스타 박애리, <풍류대장>에서 화제를 모은 김주리, AUX의 서진실, <불후의 명곡>, <조선판스타>로 대중의 주목을 받은 유태평양까지 , 2022년 국악계를 대표하는 소리꾼들이 대거 참여한다. 이 이외에도, 김설진, 팝핀현준과 같이 국악과의 콜라보레이션이 기대되는 아티스트도 참여하여 더욱 다채로운 색을 더할 예정이다.◆ ‘K-MUSIC’ 세계화를 통해 전통문화의 새로운 가치 발견국악방송의 메타버스 사업은 넓은 범위의 ‘K-MUSIC’ 을 세계화하여 국악방송과 한국 전통문화의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는 계기가 될 예정이다. 메타버스 플랫폼 내 참여 국악인들의 별도 공간이 마련되고, 이 공간을 통해 국악인들은 전 세계를 대상으로 국악인 자신과 음악을 홍보할 수 있다. 또한, 국악인들에게 새로운 수익 창출의 수단이 될 예정이다. NFT 판매를 통해 발생하는 수익의 대부분은 국악인에게 돌아가, 코로나19로 공연이 줄어든 시기에 국악인들이 새롭게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새로운 지원 수단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악방송의 메타버스사업은 국악방송 홈페이지(http://www.igbf.kr) 및 NFT프로젝트 ‘혼 ’ 공식 블로그(https://blog.naver.com/imetacoin)를 통해 관련 소식을 전할 예정이다.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2022-08-23
  • 아리랑의 세계화·효율적 진흥 방안 찾는다 - 5월 6일 ‘대한민국 3대 아리랑 학술세미나' 서울서 개최
    아리랑의 유네스코(UNESCO)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10주년을 기념하는 대한민국 3대 아리랑 학술세미나가 ‘아리랑의 체계적 전승과 창조적 계승'을 대주제로 5월 6일 서울 프레지던트호텔 31층 모짤트홀에서 열린다. 아리랑박물관과 강원일보가 주최·주관하고 우리나라 3대 아리랑의 본고장인 정선군과 밀양시, 진도군이 후원하는 이날 세미나에서는 아리랑의 실질적이고 효율적 진흥 방안과 세계화를 위한 다양한 제언과 토론이 이어질 예정이다. 지난해 이뤄진 대한민국 3대 아리랑 공동협의체 협약 이후 3개 시·군이 마련한 첫 행사로 주목되는 이날 학술세미나는 임미선 단국대 교수가 좌장으로 참여한 가운데 기조강연, 주제발표, 토론, 종합토론 순서로 진행된다.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인 한명희 전 국립국악원장이 기조강연을 진행하고 주재근 한양대 교수가 제1주제 발제자로 나서 ‘아리랑의 동시대성 모색을 통한 활용요소 및 활용방안'으로 주제발표를 시작한다. 제2주제 발표자 김희선 국민대 교수의 ‘아리랑과 글로벌 공연시장: 모색과 제언'에 이어 △아리랑 콘텐츠의 체계적 보전과 창조적 계승을 위한 전략 연구(제3주제:김대진 공연전통예술진흥재단) △미래 전승을 위한 아리랑 중등교육 점검 및 교육콘텐츠 개발방안(제4주제:이동희 국립국악고) 등의 주제발표가 이어진다. 이어지는 토론 시간에는 임승범(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 김유석(서울대), 김광희(한국문화재재단), 박정경(국립국악원)씨가 각 주제별 토론자로 나서 아이디어를 공유한다. ▶ 해당기사 더보기
    • 국악정보
    • 아리랑소식
    • 아리랑뉴스
    2022-05-06
  • 국가무형문화재 이영희 보유자(가야금 산조 및 병창) 개인소유 토지 국가 기부
    - 문화재청, 해당 토지에 전승교육관 건립 예정, 4.19. 기부채납 기념식 - ‘가야금 산조 및 병창’ 국가무형문화재 이영희 보유자가 무형문화재 전승교육관 건립을 위해 개인 토지 5,474㎡를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에 기부한다. ▶ 이영희 프로필 문화재청은 기부채납을 계기로 지하2층, 지상4층 규모의 국가무형문화재 예능전수교육관을 건립할 계획이며, 이를 기념하여 19일 오후 3시 경기도 성남시 기부 토지 내에 있는 이영희 보유자 자택에서 기부채납 기념식을 개최했다. * 이영희 보유자(국가무형문화재 ‘가야금산조 및 병창’ / 인정일 ‘91.5.1.) * 기부채납 토지-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토동 472~474번지(총5,474㎡) 이영희 보유자는 국악 예술인이자 교육자로 다양한 활동을 이어오면서 지난 1991년 5월 ‘가야금산조 및 병창’ 국가무형문화재로 인정된 바 있으며, 한국예총 예술문화상 대상(1999), 서울특별시 문화상(2006) 등을 수상하였다. 평소 무형문화재를 한자리에서 즐기고 경험할 수 있는 공간인 전수교육관이 부족하다는 사실에 안타까워하다가 이번에 자신이 거주하는 집이 포함된 개인 토지 등을 전수교육관 건립에 보탬이 되도록 문화재청에 기부하였다. 문화재청은 이번 이영희 보유자의 기부 토지를 수도권 전수교육관 건립에 활용하기로 했으며, 해당 교육관을 수도권 국민들의 국가무형문화재에 대한 향유와 실내공연장, 체험과 교육공간으로 활용하도록 할 예정이다. 또한, 전승자 양성 공간으로도 조성하여 전승자들이 무형문화재의 전통을 계승하는 것에 대한 자부심과 명예심을 고취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 것이다. 문화재청은 국내·외 관광수요와 전승자 분포도가 높은 수도권에 전통무형유산을 체험하고 배우며 즐기는 전승교육 공간의 필요성에 깊이 공감하여 이영희 보유자의 기부에 공감과 감사를 전했다. 또한, 앞으로 보유자의 뜻에 따라 기부한 토지 등이 무형유산의 세계화와 대중화, 후학 양성을 위한 한국 무형유산의 전초기지로서 뜻깊게 사용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문화재청은 앞으로도 빠르게 변해가는 시대 속에서도 소중한 문화유산이 온전히 계승·보존될 수 있도록 한국 무형유산의 우수성과 가치 확산을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 문화재청 홈페이지 관련기사 보기 ▶ 200억 땅 기부…사는 집까지 내놓은 가야금 명인의 바람
    • 국악정보
    • 국악인소식
    2022-04-20
  • 국악+메타버스…국악방송, K뮤직 오디션 개최
    국악방송이 메타버스를 통해 국악과 대중음악이 접목된 'K뮤직' 대중화에 앞장선다. 국악방송은 K뮤직 세계화와 국악 분야 예술인의 새로운 수익 창출 모델 개발을 위해 최근 아이메타버스그룹 우리리우와 업무협약 (MOU)을 맺었다고 3월 14일 밝혔다. 국악방송은 올해 하반기에 '아이메타버스 K뮤직 오디션'을 진행한다.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국악과 대중음악을 아우르는 확장된 개념인 K뮤직을 중심으로 이뤄진다.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참여하는 모든 유저들은 자신 만의 콘텐츠를 창작·공유한다. 또 온·오프라인의 경계를 넘는 글로벌 P2C(Play-to-Create) 생태계를 형성하고 오디션 프로그램에서 사용된 음원과 콘텐츠는 NFT로 발행돼 국악 분야 예술인을 비롯해 한국음악을 사랑하는 모든 잠재적 예술가들의 새로운 수익 창출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해당기사 더보기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2022-03-15
  • [祝] 국립국악원, 故송방송 이사장 등 국악발전 유공자 26명 포상
    은관훈장을 수여한 김영운 국립국악원장(왼쪽)과 대리 수훈한 故송방송 전 한국음악사학회 이사장의 부인 유경환 여사(오른쪽) □ 국립국악원(원장 김영운)이 개원 70주년을 기념해 국악발전에 기여한 유공자로 ▲ 은관문화훈장 수훈자 1명, ▲ 문화포장 수상자 2명, ▲ 대통령 표창 수상자 3명, ▲ 국무총리 표창 수상자 5명, ▲ 장관 표창 수상자 15명 등 총 26명을 선정해 포상했다. □ 국립국악원은 국악 분야의 발전에 오랜 시간 기여한 이들에게 감사를 표하고 그들을 격려하기 위해 12월 29일(수) 오후 2시, 예악당에서 시상식을 개최했다. □ 가장 큰 영예인 은관문화훈장은 故송방송 前한국음악사학회 이사장이 수훈했다. □ 故송방송 이사장은 고문헌, 고악서 등의 체계적인 분석과 심도깊은 연구를 통해 한국음악사 연구의 초석을 다졌으며 한국음악학의 체제 정비와 학문적 발전에 기여하는 등 국악 발전에 공헌했다. □ 문화포장에는 ▲ 수많은 젊은 예술가들의 창작활동과 공연활동 지원을 통해 국악을 보급하고 대중한 (재)우진문화재단 김경곤 회장, ▲ 처용무 예능보유자로서 수많은 공연활동을 통해 우리나라 전통예술의 대중화 및 세계화에 기여한 김중섭 (사)처용무보존회 상임이사가 수상했다. □ 대통령 표창에는 ▲ 진도다시래기 예능보유자로서 국악원 공연 및 진도 고유의 민속예술 보존과 전승에 기여한 故강준섭 前(사)진도다시래기보존회장, ▲ 국악인들의 회고담과 노래 가락을 기록으로 남기고 고음반을 체계적으로 수집해 자료 보존과 확산에 기여한 노재명 국악음반박물관장, ▲ 국내외 공연활동과, 악기박물관 건립에 부지 및 소장품을 기증해 국악유물의 보존과 전승에 기여한 (사)마리소리음악연구원 이병욱 이사장이 수상했다. □ 국무총리 표창에는 ▲ 국악박물관의 재개관 및 북한음악자료실 설립 등 성과로 국악원 발전에 기여한 김희선 국민대학교 교양대학 부교수, ▲ 지역 전통문화를 활성화하고 한국 전통문화 우수성을 널리 알려 위상을 높이는 데에 기여한 한두레마당예술단 박정철 단장 ▲ 다양한 콘텐츠 개발을 통해, 전통예술의 가치 확산 및 대중적 인지도 제고에 기여한 손혜리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경영 전공강사 ▲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동편제 판소리 춘향가 예능보유자로서 전통예술의 보존 및 계승에 기여한 판소리 전수소 안애란(본명: 안부덕) 대표 ▲ 국악방송 TV채널 개국 실무총괄 등 활동을 통해 국악의 저변확대와 전통음악의 창조적 계승을 위한 기반을 조성하는데 기여한 전(재)국악방송 한만주 방송본부장이 수상했다. □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표창에는 ▲ 강권순 국가무형문화재 여창가곡 이수자 ▲ 故김동민 前한국국악협회 부산지회 회장 ▲ 김백찬 IamMusic 대표, 작곡가 ▲ 박원모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협력네트워크 실장 ▲ 박은옥 호서대학교 부교수 ▲ 박주언 진도문화원 원장 ▲ 배인교 경인교육대 인문사회학술 연구교수 ▲ 송현민 월간객석 편집장, 음악평론가 ▲ 이상현 ㈜태인 대표이사 ▲ 이석규 (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경영기획 팀장 ▲ 이윤선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 ▲ 이정면 이음사운드 대표, 작곡가 ▲ 이희문 이희문컴퍼니 대표 ▲ 하경미(재)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교수 ▲ 황의성 남원시립국악단 부단장이 수상했다. □ 이번 유공자 포상은 지난 8월 포상 후보자 공고를 통해 추천 공모를 진행, 공적심사위원회를 개최해 최종 유공자를 선정했다. □ 김영운 국립국악원장은 국립국악원이 개원 70주년을 맞이하여 그간 국악 발전에 큰 공적을 남기신 유공자분들의 노고에 감사드리고, 업적을 기리는 ‘국립국악원 개원 70주년 유공자 포상’ 행사를 개최하게 된 것에 기쁨을 표하고, 수상의 기쁨을 누리게 된 모든 분께 감사의 인사와 축하의 말을 전했다. ▶ 국립국악원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2021-12-30
  • 정선군, 12월 5일 ‘정선아리랑의 날’ 지정 - 체계적 전승·보존·세계화 추진
    강원도 정선군이 12월 5일을 ‘정선아리랑의 날’로 지정 선포한다. 정선군은 12월 3일 아리랑센터에서 ‘정선아리랑의 날’ 지정 선포식을 한다. 한국의 소리이자 세계의 소리인 정선아리랑의 체계적인 전승·보존과 세계화를 위해서다. 고려 시대부터 전승된 정선아리랑은 1971년 11월 16일 강원도무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됐다. 이어 2012년 12월 5일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2015년 9월 22일 국가무형문화재로 등재됐다. 군은 아리랑의 날 지정을 발판으로 정선아리랑 발전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확대해 나간다. 해마다 개최하고 있는 정선아리랑제를 아리랑과 국민통합의 구심점 역할을 담당할 국가적인 축제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또 정선아리랑이 다양한 문화예술 언어로 창작돼 세계적으로 알려질 수 있도록 문화와 축제, 교육, 공연 등을 접목할 방침이다. 특히 경남 밀양, 전남 진도 등 대한민국 3대 아리랑 공동 협의체를 중심으로 아리랑의 세계화에 박차를 가한다. ▶ 해당기사 더보기
    • 국악정보
    • 아리랑소식
    • 아리랑뉴스
    2021-12-02

공연소식 검색결과

  • [축제안내] 아리랑의 선율, 희망의 울림 - 제65회 밀양아리랑대축제 (5월18일 ~ 21일)
    ▶ 밀양아리랑대축제 홈페이지 기간 및 장소기간 : 2023. 5 .18.(목) ~ 21.(일)장소 : 영남루 및 밀양강변, 남천강변로, 내일동 상가 일원 주최 및 주관주최 : 밀양시주관 : (재)밀양문화관광재단 주제아리랑의 선율, 희망의 울림희망찬 미래로 발걸음을 옮기며 부르는 아리랑의 선율삶을 노래하고 모든이들의 희망과 꿈을 노래하는 아리랑 슬로건날좀보소 밀양보소, 세계 속의 밀양아리랑'밀양 방문의 해' 와 함께 하는 제65회 밀양아리랑대축제과거와 현재, 미래를 잇는 디아스포라를 통한 세계화 추구
    • 국악정보
    • 아리랑소식
    2023-05-17
  • 독일 베를린에 울려퍼지는 퓨전국악…4월 24일 '무대 2022' (서라미 월드뮤직앙상블·가야금앙상블 '재미나이')
    오는 4월 24일 독일 베를린 우파파브릭 공연장에 퓨전 국악이 울려퍼진다. 뉴욕에서 활동 중인 '서라미 월드뮤직앙상블'이 독일 현지인을 대상으로 한국의 색다른 퓨전국악 '코리안 피버' 공연을 갖는다. 가야금앙상블 '재미나이'도 함께 한다. 이번 공연은 주독일 한국문화원 연중 기획프로그램 '무대 2022'의 일환으로 열린다. 문화원은 지난달에는 한국 포스트 하드록 밴드 '해리빅버튼' 공연을 성황리에 개최했다. '서라미 월드 뮤직 앙상블'은 뉴욕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프로젝트 그룹이다. 가야금 연주자 서라미를 주축으로 6명이 활동한다. 전통음악부터 클래식·재즈·케이팝·크로스오버·창작음악 등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며 한국 전통음악의 세계화를 목표로 활동하고 있다. 리더 서라미는 중앙대 한국음악학과에서 가야금을 전공했고, 뉴욕 헌터칼리지 민속음악학과 석사과정을 수료했다.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스미소니언 박물관, 카네기홀, 링컨 센터 등 유수의 기관에서 연주했다. 앙상블 멤버 신새봄(판소리), 이영훈(피리·장새납·타악), 최예찬(색소폰), 최요셉(트럼펫), 백지윤(태평소·음향감독) 역시 화려한 경력과 뛰어난 연주 실력을 지녔다. 가야금앙상블 '재미나이'는 뉴욕에 한국 전통 악기인 가야금을 소개하며 뜨거운 인기를 얻고 있다. 다섯 명의 가야금 연주자 김조엔·박민규·박민지·박미나·김다소로 구성됐다. 1세대부터 3세대까지 이르며 전 연령층이 다 함께 즐길 수 있는 음악을 추구한다. '서라미월드뮤직앙상블'과 '재미나이'는 이번 공연을 위해 '아리랑', '쾌치나칭칭나네' 등 한국 전통음악 뿐 아니라 '님은 먼곳에', '안달루시아의 언덕' 등 현대음악도 준비했다. 특히 한국 전통음악인 '주제에 의한 적성가'와 세계적 그룹 방탄소년단(BTS)의 '다이너마이트'를 접목해 새롭게 탄생시킨 창작 음악도 선보인다. 케이팝에 열광하는 현지인들의 큰 이목을 끌 것으로 기대된다. ▶ 해당기사 더보기
    • 공연소식
    • 해외
    2022-04-21
  • 2021 국악관현악축제 - 10월 30일 서울 국립국악원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국악세계화연구소에서 운영하는 글로벌 K컬처 플랫폼 '리틀코리아' ▶ http://koreanculture.kr 1. 공연명 : 2021 국악관현악축제2. 장소 : 서울 서초동 국립국악원 예악당 ▶ 지도보기3. 날짜 : 2021년 10월 30일 (토요일)4. 시간 : 오후 5시5. 티켓료 : 무료초대6. 문의 : 02-2655-30637. 공연정보 더보기 ▶ https://bit.ly/3nkr6CT◆ 출연진 : 박범훈, 원영석, 박천지, 전영랑, 김민정, 김주연, 김덕수패 사물놀이, 원초적음악집단 이드
    • 공연소식
    • 서울
    2021-10-18
  • 10월 30일 서울 양천문화회관 - 전통과 현대가 공명하는 음악 '이날치 밴드' 공연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국악세계화연구소에서 운영하는 글로벌 K컬처 플랫폼 '리틀코리아' ▶ http://koreanculture.kr 1. 공연명 : 이날치2. 장소 : 서울 양천문화회관 대극장3. 날짜 : 2021년 10월 30일 (토요일)4. 시간 : 오후 5시5. 티켓료 : 1층 30,000, 2층 15,000원6. 문의 : 02-2021-89137. 공연정보 더보기 ▶ https://bit.ly/3oPNo1y◆ 출연진 : 안이호, 권송희, 신유진, 이나래, 장영규, 이철희, 박준철
    • 공연소식
    • 서울
    2021-10-12
  • 국악창작그룹 뮤르 '달달 콘서트' - 10월 20일 의정부예술의전당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국악세계화연구소에서 운영하는 글로벌 K컬처 플랫폼 '리틀코리아' ▶ http://koreanculture.kr 1. 공연명 : 달달 콘서트2. 장소 : 경기 의정부예술의전당 소극장3. 날짜 : 2021년 10월 20일 (수요일)4. 시간 : 오후 8시5. 티켓료 : 20,000원6. 문의 : 031-828-5841~27. 공연정보 더보기 ▶ https://bit.ly/3AeVcMg◆ 출연진 : 허새롬, 지혜리, 송니은
    • 공연소식
    • 인천,경기
    2021-10-06
  • 광주에 오면 꼭 봐야할 공연! 광주국악 상설공연 - 광주공연마루 (10월 매주 화~토)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국악세계화연구소에서 운영하는 글로벌 K컬처 플랫폼 '리틀코리아' ▶ http://koreanculture.kr 1. 공연명 : 광주국악 상설공연2. 장소 : 광주공연마루3. 날짜 : 2021년 10월 (매주 화~토)4. 시간 : 오후 5시5. 티켓료 : 무료초대6. 문의 : 062-613-8379/83727. 공연정보 더보기 ▶ https://bit.ly/3a6GxIt◆ 출연진 : 광주시립국악관현악단, 광주시립창극단, 굿패마루, 루트머지, 소리화, 아시아민족음악교류협회, 예락, 올라 등
    • 공연소식
    • 광주,전라
    2021-10-05
  • 제10회 대전국악관현악단 정기연주회 '마이웨이' - 10월 17일 대전시립연정국악원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국악세계화연구소에서 운영하는 글로벌 K컬처 플랫폼 '리틀코리아' ▶ http://koreanculture.kr 1. 공연명 : 마이웨이2. 장소 : 대전시립연정국악원 작은마당 ▶ 지도보기3. 날짜 : 2021년 10월 17일 (일요일)4. 시간 : 오후 4시5. 티켓료 : 20,000원6. 문의 : 010-6304-57587. 공연정보 더보기 ▶ https://bit.ly/3Ddn19O◆ 출연진 : 사회 이비단모레, 윤우진, 이슬, 양수진, 박준영, 김찬효, 육정아, 배한규
    • 공연소식
    • 대전,충청
    2021-10-05
  • 이자람의 판소리 '노인과 바다' - 10월 16일 인천 남동소래아트홀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국악세계화연구소에서 운영하는 글로벌 K컬처 플랫폼 '리틀코리아' ▶ http://koreanculture.kr 1. 공연명 : 노인과 바다2. 장소 : 인천 남동소래아트홀 소래극장3. 날짜 : 2021년 10월 16일 (토요일)4. 시간 : 오후 7시5. 티켓료 : 20,000원6. 문의 : 032-460-05607. 공연정보 더보기 ▶ https://bit.ly/3oCNJ7s◆ 출연진 : 소리 이자람, 고수 이준형 (연출 박지혜, 시노그래퍼 여신동)
    • 공연소식
    • 인천,경기
    2021-10-04
  • 10월 16일 서울 국립극장 완창판소리 공연 '송재영 춘향가 - 동초제'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국악세계화연구소에서 운영하는 글로벌 K컬처 플랫폼 '리틀코리아' ▶ http://koreanculture.kr 1. 공연명 : 송재영 춘향가 - 동초제2. 장소 : 서울 장충동 국립극장 하늘극장 ▶ 지도보기3. 날짜 : 2021년 10월 16일 (토요일)4. 시간 : 오후 3시 5. 티켓료 : 20,000원6. 문의 : 02-2280-41147. 공연정보 더보기 ▶ https://bit.ly/3F3nVaJ◆ 출연진 : 사회 배연형, 고수 박근영, 조용안
    • 공연소식
    • 서울
    2021-10-01
  • 국립국악관현악단 국악 브런치콘서트 '정오의 음악회' - 10월 14일 서울 국립극장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국악세계화연구소에서 운영하는 글로벌 K컬처 플랫폼 '리틀코리아' ▶ http://koreanculture.kr 1. 공연명 : 정오의 음악회2. 장소 : 서울 장충동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 지도보기3. 날짜 : 2021년 10월 14일 (목요일)4. 시간 : 오전 11시5. 티켓료 : R석 30,000원 / S석 20,000원6. 문의 : 02-2280-41147. 공연정보 더보기 ▶ https://bit.ly/3kWA8pH◆ 출연진 : 해설 이금희, 지휘 이승훤, 최백호
    • 공연소식
    • 서울
    2021-09-29

국악동영상 검색결과

  • [퓨전국악 듣기] 수북 (SUBUK) - 싱어송라이터 자스민 'Jasmine' Single Album
    수북(가득)은 Jasmine(본명 조수민)이 첫번째로 발매한 자작곡이다. 흥보가 중 일부분을 새로운 펑크스타일에 입혀 작곡한 곡으로, 인생은 마음가짐에 따라 휑하고, 수북한다는 뜻으로 힘든 상황 속에서도 수북이라는 노래를 듣고 ‘흥보처럼 수북한 인생을 살며 부귀영화(富貴榮華)를 누려라’라는 뜻도 담고 있다. ‘음악의 세계는 다양하다’라는 것을 표현하며 “앞으로 k-chang이라는 새로운 장르로 세계화를 꿈꾸며 ‘수북’이라는 곡을 발매했다. ▶ Jasmine 프로필
    • 국악동영상
    • 신국악
    • 퓨전(크로스오버)
    2022-11-21
  • 뺑덕이 - 퓨전국악그룹 브이스타 (VSTAR)
    브이스타는 2012년도에 결성된 퓨전국악그룹이다.오디션 프로그램 "TVN 코리아 갓 텔런트"에서는 세미파이널까지 올라가 이름을 알렸으며,그 후 박칼린 감독과의 인연으로 버라이어티 쑈 카붐을 함께 했다. 2021 jtbc풍류대장에 출연하여 독보적인 색깔을 보여주었고 브이스타는 국악의 대중화, 세계화, 현대화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는 그룹이다.
    • 국악동영상
    • 신국악
    • 퓨전(크로스오버)
    2021-11-01
  • [동영상]국악전문 뉴미디어 기업 국악세계화연구소에 오신 것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대한민국 유일의 ‘국악포털아리랑’, ‘퓨전국악닷컴’을 운영 중인 국악세계화연구소는 빠르고 알찬 국악 정보를 매일 업데이트하고 있으며 팟캐스트, 유튜브, SNS 등을 통해 많은 대중에게 우리 국악을 적극 홍보하고 있는 국악전문 뉴미디어 기업입니다. 그동안 쉽고 편하게 국악정보 및 자료를 접할 수 있도록 노력해온 국악세계화연구소는 많은 분들의 성원에 힘입어 2018 KBS국악대상 ‘출판 및 미디어상’을 수상하였으며, 이를 계기로 소외되고 있는 우리 국악이 여러 분들에게 조금이라도 더 가까이 갈 수 있도록 더욱 열심히 연구 노력하고 있습니다. 국악인이 웃어야 국악이 발전한다.. 저희들의 지론입니다. 전통의 맥을 잇기 위해 애쓰시는 국악인들을 힘껏 돕고, 널리 알려서 국악의 대중화와 세계화를 위해 최선을 다 하겠습니다.. 국악을 알면 한국이 보인다. 국악세계화연구소
    • 국악동영상
    • 기타
    2020-05-19
  • 2018 KBS국악대상 시상식 ( 2018년 12월 15일 여의도 KBS 홀)
    동영상 보기 ▶ http://bit.ly/2qG2drZ - 가악상 : 하윤주- 민요상 : 권정희- 판소리상 : 방수미- 연주 관악상 : 진윤경- 연주 현악상 : 이재하- 단체상 : 악단광칠- 작곡상 : 이경섭 ** 대상- 무용상 : 복미경- 출판 및 미디어상 : 국악세계화연구소- 특별공로상 : 김일구 명인
    • 국악동영상
    • 신국악
    • 기타
    2019-03-13
  • 한국의 굿, 세계화에 성공하다 ~ 김금화
    국가무형문화재 제 82호 배연신굿 및 대동굿 예능보유자 ▶김금화 프로필
    • 국악동영상
    • 기타
    • 다큐.강의.정보
    2018-02-03
  • 국립국악원 수요춤전: 영남 춤 그리고 신명 (국립부산국악원) Full 영상
    넓은 바다로 둘러싸인 영남지역은 공동체 문화를 기반으로한 야류와 오광대, 그리고 춤이 발달하였다.영남의 춤은 영남 사람의 기질을 반영한 탓에 춤사위가 힘차고 깔끔하여 군더더기가 없는 활기찬 생명력을 가진 춤이다. 영남의 춤 그 신명을 만나보자. 국립부산국악원은 부산·영남 지역의 전통 공연 예술을 계승·발전시키기 위해 2008년 10월 28일 개원했다.지역의 고유한 정서를 오롯이 담은 전통 공연 예술의 아름다움을 지역민들이 누릴 수 있도록 공연·교육·연구 등 다양한 사업을 통해 지역민과 화합하고 지역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고품격의 특색 있는 공연 작품을 개발하여 국제 해양 문화 도시이자 아시아·태평양의 거점 도시인 부산의 문화 경쟁력을 제고하며 한국 전통문화의 세계화에 앞장설 것이다. 01. 좌수영어방놀이경상좌도 수군절도영이 있던 부산광역시 수영구 수영동에 전승되는 민속놀이다. 어방의 어로 작업 중 행해지던 멸치잡이 후리질 소리를 놀이화 한 것으로 좌수영어방이 오랜 역사와 전통을 지닌 우리나라의 유일한 어업협동기구라는 점과 어방의 전통적인 놀이라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니는 작품으로 좌수영 어방놀이 중 주요 장면을 춤으로 재구성하였다.○ 출연/유여진·박숙영·이선영·김혜미·박혜미·안민진·배민지·여혜린·김기원·서­한솔·김성수 02. 고성문둥북춤마음과 신체의 병을 춤을 통하여 풀어, 고통의 얼굴에서 자애와 희망의 미소로 바뀌는 과정을 표현한 춤으로 영남 지역의 덧배기사위와 함께 한을 넘어 신명의 경지로 함께 호흡하는 영남 지역의 대표적 탈놀음이다. 문둥은 모든 사람의 아픔을 품고 절제로 가련한 몸짓을 이어가며 아픔을 이겨내는 해소의 몸짓을 보여준다.○ 출연/이동재 03. 살풀이춤살풀이춤은 원래 나쁜 기운을 미리 피하거나 죽은 이의 넋을 달래 천도시키는 굿의 과정에서 시나위 음악에 맞춰 추던 무속춤이었으나 시대의 변천에 따라 춤사위가 발전되어 현재는 민속춤의 가장 대표적인 공연 프로그램으로 손꼽힌다. 춤을 추는 이에 따라 춤사위가 조금씩 달라질 수 있는 즉흥무 형식의 춤으로 정·중·동의 아름다움을 절제된 곡선미 속에서 한껏 드러내는 춤이다.○ 출연/박혜미 04. 동래한량춤예로부터 동래 지역 한량들이 추었던 춤으로서 지역의 관속들이나 기방을 출입하는 한량들이 췄던 춤인 만큼 천박하지 않고 기품이 있으며, 동시에 즉흥적이며 개인적인 춤사위의 짜임새를 가지고 있는 춤이다. 또한 기방이라는 협소한 장소에서 자기 나름의 멋을 부리며 추는 입춤이므로 개인의 창조력과 함께 동작이 섬세하고 한량기가 있는 춤이다.○ 출연/김기원·서한솔·이동재 05. 춤. 판한바탕의 춤으로, 한바탕의 신명으로, 한바탕의 야단으로 어울판이 펼쳐진다.너는 내가 되고, 우리가 되고, 하나가 되는 하늘의 춤, 땅의 춤, 인간의 춤...천·지·인(天·地·人) 합일의 춤.판! 판! 판에서 놀아보자! ○ 고성입춤/오상아·김기원·김혜미·안민진, 고성말뚝이춤/박숙영·김기원·김혜미·안민진, 북춤/이동재·서한솔·김성수, 장구춤/배민지 * 안무 재구성/오상아(국립부산국악원 무용단 예술감독), 사회/조태원(국립국악원 장악과 학예연구사) ○ 주최 및 촬영/국립국악원[National Gugak Center]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한국무용.전통/창작
    2016-04-29
  • 국악세계화 프로젝트 '청춘시나위' PR 동영상
    라틴음악의 본고장 쿠바에 과감하게 도전장을 내민 겁없는 20대 국악청년들은 총 4명이다. 실력과 외모를 겸비한 20대 신세대 소리꾼 신진원(부산국립국악원), 늘상 투덜거리지만 상모돌리기를 비롯해 각종 연희무대를 꾸리는 만능재주꾼 김동규(한국예술종합학교 연희과 재학), 곱상한 얼굴과 달리 거침없는 입담을 자랑하는 조예영(한국예술종합학교 연희과 졸업), 스무살 막내로 큰 덩치에 맞지 않게 가녀린 피리를 연주하는 섬세한 감성의 김기현(중앙대 한국음악과 재학)씨다. ▶ 신진원 프로필
    • 국악동영상
    • 기타
    • 다큐.강의.정보
    2015-12-16
  • 국악의 세계화를 실천하는 장구연주가 김소라의 '장구프로젝트'
    ▶ 김소라 프로필 1893년 '대조선' 사절단이 美 시카고에서 만찬을 열었던 그곳에서 120년 후인 2014년 장구연주가 김소라가 장구 프로젝트 연주회를 가진다.
    • 국악동영상
    • 기타
    • 다큐.강의.정보
    2015-01-18
  • '아리랑 Arirang New Waves' 프로젝트
    이 프로젝트는 2013년 '한국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공모사업의 일완으로 실행 된 'Arirang, New Waves'이다. 국내외 대표작곡가들에게 한국의 전통 아리랑을 바탕으로 한 현대적인 작품을 위촉하고 이를 한국과 중국, 홍콩 연주자들이 함께 연주 하였다. 아리랑의 현대화, 세계화를 목표로 한 레파토리 개발 프로젝트이다.
    • 국악동영상
    • 기타
    • 다큐.강의.정보
    2014-04-25

국악인프로필 검색결과

  • Jasmine 프로필 - 판소리, 퓨전국악
    ☆ Jasmine (자스민, 본명 조수민)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판소리, 퓨전국악, 싱어송라이터 수련과정ㅣ학력 한성화교소학교 Eastlake elementary schoolBrink JR. high schoolWestmoore high school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 졸업중앙대학교 재학 중 활동 경력 2018 유럽(영국, 프랑스, 독일) 순회 국악공연 및 통번역2018 미국(워싱턴 D.C, 뉴욕) 아리랑 예술단 순회 공연 및 사회 및 통번역2019 인천 '월드 EQ 토론회' 동시통역관2020 K-pop 그룹 아이즈원 동시통역관2022 국악 앨범 자작곡 'SUBUK' 발매2022 국악방송 바투의 상사디야 '불금N국악 - 대한민국홍보송' 제작 (5주간 연속 고정 출연) 수상 경력 2018 달구벌전국국악경연대회 학생부 최우수상2019 통일기원세종전국국악경연대회 학생부 종합대상 (교육부장관상)2021 달구벌전국국악경연대회 일반부 최우수상 홈페이지ㅣSNS https://www.instagram.com/giwmatt__0316 [인스타그램]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2rMwqZVCsvc [Jasmine 첫번째 발매 자작곡 - 수북 (SUBUK)]https://youtu.be/pebJwyhkBW8 [Jasmine - Let's Go Korea (국악방송 바투의 상사디야)]https://youtu.be/xaU-WwySawQ [인피니트 보더스 게임 OST '승기' - 래퍼 한해, Feat. 자스민 (조수민)] 기타 영어,중국어에 능통한 자스민(Jasmine)은 대한민국의 판소리를 전세계에 알리기 위해 K-Chang이라는 새로운 장르로 국악세계화에 도전한 아티스트이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국악인 측에서 직접 제공한 자료 또는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정리한 내용이며, 공개된 정보를 수집, 정리한 것은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2022-11-21
  • 서예지 (가야금예지) - 가야금연주가
    ☆ 서예지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가야금 연주 수련과정ㅣ학력 활동 경력 인천국악관현악단 단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예술강사 수상 경력 대한민국 여성전통국악경연대회 금상 제1회 한울림 25현가야금 경연대회 전공자부 금상 홈페이지ㅣSNS https://www.facebook.com/YEJIgayageum [서예지 페이스북]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UOdP8yWw7UU [아름나운나라]https://youtu.be/r72ggnoZxBs [에일리 '첫눈처럼 너에게 가겠다 (도깨비ost)' 가야금커버 연주]https://www.youtube.com/c/YEJIGayageum [가야금예지 유튜브채널] 기타 가야금예지라는 이름으로 유튜브 플랫폼을 이용해 다양한 장르의 커버곡을 듣는 인기채널을 운영하며 가야금의 대중화와 세계화를 위해 힘쓰고 있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국악인 측에서 직접 제공한 자료 또는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정리한 내용이며, 공개된 정보를 수집, 정리한 것은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2022-06-03
  • 양은별 프로필 - 경기민요
    ☆ 양은별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경기민요 수련과정ㅣ학력 김영임, 유지숙, 강효주 선생 사사국립국악고등학교 졸업한양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졸업 활동 경력 2015년 6.25 참전용사 위문공연 '춤 아리랑' 미국 투어 공연 (국제문화교류재단)2017년 ~ '김영임의 소리 효 콘서트' 전국투어 정식 단원 활동2018년 ~ (사)세계음식문화연구원, (사)한국푸드코디네이터협회 홍보대사2018년 로미나 1집 수록곡 '에헤라디야' 듀엣 참여2021년 KBS 열린음악회 출연(1320회)2021년 KBS 설특집 '조선팝어게인' 출연2023년 김포시 홍보대사 위촉 수상 경력 2013년 4월 전국국악경연대회 대상2014년 제1회 한민족통일경연대회 최우수상2015년 전주대사습놀이 학생전국대회 차상2019년 제35회 동아국악콩쿠르 일반부 민요 및 가야금병창 부문 은상2020년 아리랑 세계화교육 공모 최우수상, 종합대상 2022년 제42회 온나라국악경연대회 민요부문 금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홈페이지ㅣSNS https://www.instagram.com/eunbyul_yang [인스타그램]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WMKogLwavwQ [휘모리잡가 '바위타령'] 기타 2021년 첫번째 앨범 양은별의 경기소리 '시작의 갈피' 발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2022-04-13
  • 이정석 - 거문고연주가
    ☆ 이정석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거문고 연주 수련과정ㅣ학력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사 및 예술전문사 졸업 활동 경력 거문고팩토리 대표밴드 '신노이(SINNOI)' 멤버 수상 경력 2010 제26회 동아국악콩쿠르 거문고부문 일반부 금상 수상 홈페이지ㅣSNS https://www.instagram.com/geomungo30 [이정석 인스타그램] https://ko-kr.facebook.com/GeomungoFactory [거문고팩토리 페이스북]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yIQfrp9KGlI [정인령 · 김선아 작곡 <서나령>] 기타 2006년 결성된 거문고팩토리는 거문고 연주자 3명(유미영・이정석・정인령)과 가야금 연주자 1명(김선아)으로 이루어진 국악 현악기 앙상블그룹으로 국악의 세계화에 힘쓰고 있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2017-05-15
  • 전해옥 - 가야금병창
    ☆ 규란 전해옥 프로필 1981년생 사진 전공ㅣ분야 가야금병창, 전통국악, 퓨전국악 수련과정, 학력 강정숙, 배경자, 하선영 선생 사사 전남대학교 예술대학 국악학과 수석 (3년 조기) 졸업 용인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국악학과 졸업 국가무형문화재 제23호 가야금산조 및 병창 이수자 활동 경력 국립남도국악원 성악부 단원 역임 TJB 생방송투데이 '전해옥의 문화는 아름다워' 진행 역임 현재 사단법인 가야금병창보존회 이사 사단법인 가야금병창보존회 대전지부 대표 사단법인 대한민국전통예술전승원 이사 사단법인 퓨전국악연대 가락타래 동인 국악그룹 '소리디딤' 리더 (전해옥, 최예림) 국악세계화연구소 이사 대전시민대학 및 전주예술고등학교 출강 대전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 홍보대사 https://youtu.be/nJwkCoJVlqc 다문화 청소년대안학교 R-school 홍보대사 경기도 양평군 홍보대사 수상 경력 2001년 전국국악경연대회 가야금병창부문 최우수상 2004년 한국전통음악경연대회 가야금병창부문 최우수상 2005년 전남대학교 예술대학 수석졸업 총장상 2006년 김해전국가야금 경연대회 일반부 최우수상 (문체부장관상)2008년 남원 춘향국악대전 가야금병창 일반부 대상 2010년 전주대사습놀이 가야금병창 차상 2010년 KBS 국악경연대회 가야금병창부문 차상 2014년 제40회 전주대사습놀이 전국대회 가야금병창 장원 2016~2017년 차세대 아티스타 선정 2019년 제29회 김해전국가야금경연대회 대통령상 SNS https://www.instagram.com/jeon_hai_ok [인스타그램]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3wxqI9-m2JE [상주아리랑] https://youtu.be/h79Gux0TzFc [액맥이타령] https://youtu.be/LfniouAG0zg [너영나영] https://youtu.be/uM7krVhQKXU [커피한잔 - 소리디딤]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2016-01-25
  • 김소라 프로필 - 농악, 장구연주가
    ☆ 김소라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농악, 장구, 타악연주가 수련과정ㅣ학력 중앙대학교 국악대학 타악연희과 수석 입학, 수석 조기졸업 중앙대학교 대학원 한국음악과 졸업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7-2호 (호남우도 정읍농악) 이수자 활동 경력 월드뮤직그룹 '듀오벗'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강사역임 연희단 "노리꽃" 대표 현재 Chicago Global Pungmul Institute (GPI) 소속 지도 자문위원 全세계 풍물인들과 함께하는 프로젝트 “얼씨구” 디렉터 여성일본 요코하마 농악단 디렉터 제1회 시카고 전통예술경연대회 심사위원 2015 현승훈&김소라의 월드투어 IN Los Angeles, UC Davis, USA 외 다수 수상 경력 1999년 제1회김제지평선축제 전국농악경연대회 최우수상 2000년 제1회 한국공연예술경연대회 (설장고 개인) 종합대상 2001년 제3회 김제지평선축제 전국농악경연대회 대상 2007년 부평풍물축제 풍물경연대회 창작부문 대상 2010년 안성바우덕이축제 전국풍물경연대회(호남우도정읍농악) 대통령상 2012년 제10회 대한민국 여성전통예술경연대회 (설장고 개인) 대상 홈페이지ㅣSNS ▶http://www.sorakim.org [공식 홈페이지] 동영상 보기 ▶http://youtu.be/4OflqcJ7iys [김소라 장구연주] 기타 10살에 최고의 여성상쇠 유지화에 입문하여 정읍농악을 이수하였다. 장구의 세계화를 위한 콜라보 및 공연을 비롯 세계인과 함께하는 프로젝트등을 진행하고 있으며 국악계에서는 '여자 김덕수'로 불리우고 있다. 타악연주가 현승훈이 남편이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가,나,다
    2015-02-08
  • 고상미 - 경기민요, 정가
    ☆ 고상미 프로필 1969년생 사진 전공ㅣ분야 정가, 경기민요 수련과정ㅣ학력 박노경, 오복녀, 김호성, 이춘희, 김영기, 이금미 선생 사사서울대학교 성악과 졸업중앙대학교 대학원 한국음악과 졸업 (경기민요)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악과 졸업 (정가 전공)국가무형문화재 제57호 경기민요 이수자서울시무형문화재 제47호 경제시조 전수장학생 활동 경력 대교어린이TV합창단 단장 및 지휘자 역임음반 고상미 정가선집 '시작' 발매 (2011년)국립국악원 푸르미르 지도 (2014년~2017년)전주대사습놀이 심사위원 (2017)어린이정가단 '아리' 단장 및 예술감독 수상 경력 제5회, 제6회 '모여라 영재국악들' 정가부문 지도자상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DuJidbFYAJs [정가 고상미 X 앙상블 러브레터 ‘동짓달’] 기타 2007년에 창단된 ‘정가단아리’는 정가(正歌)의 대중화와 세계화를 목표로 활발한 대외 활동을 하고 있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가,나,다
    2013-06-25
  • 김계희 - 피리, 태평소, 생황연주가
    ☆ 김계희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생황연주, 태평소, 피리연주가 수련과정ㅣ학력 단국대학교 국악과 졸업단국대학교 대학원 국악과 졸업 단국대학교 대학원 국악과 박사 수료 국가무형문화재 제 46호 피리정악 및 대취타 이수자 서울시무형문화재 제 44호 삼현육각 전수자 활동 경력 전) 원광대학교 출강 ,계원예술고등학교 강사, 육군군악대 출강 현재 김계희밴드 대표천향국악단 동인한국생황악회 대표우봉가곡악회 악장사) 한국전통가무악연구원 음악감독 수상 경력 대구광역시 제16회 학생 예술경연대회 2위 수상 (1996)대구광역시 제17회 학생 예술경연대회 2위 수상 (1997) 홈페이지ㅣSNS ▶https://blog.naver.com/badasonue [김계희 생황이야기 블로그]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8_jH0r8M0mU [김계희 생황연주 영상모음] 기타 김계희밴드는 국악기 중 유일한 화음악기 생황(笙簧)의 연주로 전통음악에서 새로운 음악세계로 진화할 수 있도록 ‘생황의 재발견’ ‘생황의 대중화-세계화’ 를 위해 생황중심으로 서양악기를 접목시켜 만들어진 밴드이다.1집앨범 “beyond the sky ”, 2집 “봉생지곡”, 3집 “생의노래”를 발매했다.EBS스페이스공감, MBC 우리가락우리마당, KBS국악한마당 등 방송활동을 하고 있으며, 2018 국내유통활성 우수작품으로 선정되었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가,나,다
    2013-05-14
  • 김매자 - 한국무용가
    ☆ 김매자 프로필 (1943년 강원 고성 출생) 사진 전공ㅣ분야 한국무용, 안무가, 대학교수 수련과정ㅣ학력 이화여자대학교 체육학과 석사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 뉴욕대학교 대학원 졸업국가무형문화재 제27호 한영숙류 승무 이수자 활동 경력 창무예술원(창무회) 이사장창무국제예술제 예술감독, 대전시립무용단 예술감독 역임포스트극장 대표, 월간 몸 설립 발행인 역임북경무용대학 “조선무용과” 명예교수제1대 한국무용연구회 이사장1988년 서울올림픽 폐막식(떠나가는 배) 안무2002년 요코하마 월드컵 폐막식 기념 오페라 "춘향" 안무1971~91년 이화여자대학교 무용과 교수 역임2006년 창무회와 프랑스 루베국립안무센터 공동제작으로 김매자, 카롤린 칼송 안무 (한국 프랑스 양국 공연) 수상 경력 2015 제1회 한성준예술상2013 제1회 아름다운 무용인상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8FkS_E-HbF8 [인터뷰 '나만의 춤을 춰']https://youtu.be/90NBlai78J0 [불후의 명곡 - 임태경, 한국무용의 대모 김매자와 특별콜라보 ] 기타 한국 창작무의 대표로 다양한 춤작업을 통해 한국춤의 세계화에 앞장서고 있다.대표작 : ‘침향무’ ‘비단길’ ‘사물’ ‘꽃신’ 등 대표저서 : ‘한국무용사’ ‘세계무용사’ ‘무용인류학’ 등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가,나,다
    2012-11-26
  • 국악인 프로필 사용 (신규등록, 수정신청) 설명입니다.
    안녕하세요. 국악의 대중화와 세계화를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있는 국악포털 아리랑을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국악포털 아리랑에서는 국악에 관심있으신 분들이 많이 궁금해 하시는 국악인의 프로필을 꾸준히 만들고 있으며 전통의 맥을 잇기 위해 애쓰시는 우리의 국악인을 소개해 널리 알리고 있습니다. 본 국악인프로필은 국악인 측에서 직접 제공한 자료 또는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 신규 프로필등록, 삭제, 수정, 첨부할 내용이 있으시면, 국악포털 아리랑의 공식 이메일 arirang@sori.me 로 보내 주시거나 혹은 PC버전 맨 하단에 있는 ▶ 프로필 등록 신청 (모바일에서는 ▶프로필 등록 신청) 을 이용해 주시면 확인 후 즉시 업로드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국악인프로필
    • 기타
    2012-09-01

관련사이트 검색결과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