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국악정보 검색결과
-
-
박시양 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고법’ 보유자 - "판소리 고법 부흥·제자양성에 최선 다할 것"
- “여기까지 온 과정이 정말 힘들었는데, 참 덤덤합니다. 문화재가 개인의 명예를 위한 일이 아닌 만큼, 앞으로 판소리 고법의 부흥과 제자 양성을 위해 온 힘을 다할 생각입니다.” 8월 23일 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 고법 보유자로 최종 인정된 박시양씨는 이처럼 소감을 밝혔다. ▶ 박시양 프로필 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는 적벽가·춘향가·흥보가·심청가·수궁가와 고법(鼓法)으로 나눠 보유자를 인정한다. 판소리 고법은 판소리가 정착한 조선 중기 이후에 생겨난 것으로 판소리에 맞춰 고수(북 치는 사람)가 북으로 장단을 쳐 반주하는 것을 말한다. 이로써 판소리 고법 보유자는 정철호·김청만씨를 포함해 3명으로 늘었다. 1980년 동아리 활동으로 국악을 처음 접한 그는, 반주를 권유받으면서 고법에 입문했다. 이후 본격적으로 고법을 배운 것은 전남도립국악단에 입단, 1989년 김성래 전 보유자(1929~2008)를 만나면서부터다. 2001년에는 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고법)’ 전승교육사로 인정돼 고법 전승에 힘써 왔다. 20대 청년시절에 북채를 쥐고, 문화재라는 최고 영예에 오르기까지 40여년이 흘렀다. ▶ 해당기사 더보기
-
- 국악정보
- 국악인소식
-
박시양 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고법’ 보유자 - "판소리 고법 부흥·제자양성에 최선 다할 것"
-
-
[祝] '제41회 전국고수대회’ 대명고수부 대상(대통령상)에 고정훈씨 “판소리 고법 더 매진”
- ‘제41회 전국고수대회’ 대명고수부 대상(대통령상)에 고정훈(40·서울)씨가 선정됐다. ▶ 고정훈 프로필 전주시와 한국국악협회 전라북도지회가 주최하는 제41회 전국고수대회는 7월 24일(예선)과 25일(본선) 양일간 전주 한국전통문화전당에서 열렸다. 올해 대회는 대명고수부 16명, 명고부 14명, 일반부 32명, 신인청년부 10명, 신인장년부 13명, 노인부 10명, 고등부 15명 등 110명이 참가해 기량을 겨뤘다. 수상자는 ▲대명고수부 대상(대통령상) 고정훈, 최우수상 백현호, 우수상 임용남, 장려상 이충인 ▲명고부 대상(국무총리상) 박추우, 최우수상 김정기, 우수상 도경한. 장려상 김한샘 ▲일반부 대상(문화체육관광부상) 정동렬, 최우수상 김광윤, 우수상 이겨레, 장려상 전정현 ▲신인청년부 대상 김민주, 최우수상 박주석, 우수상 소준한, 장려상 이소망 ▲신인장년부 대상 이인숙, 최우수상 김영숙, 우수상 양승한, 장려상 정희경 ▲노인부 대상 이지연, 최우수상 배광수, 우수상 임근택, 장려상 주명삼 ▲고등부 대상 최진욱, 최우수상 서하늘, 우수상 배현영, 장려상 장수영 등이다.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고법 예능보유자 김청만 심사위원장은 “북가락의 화려함보다는 소리의 이면에 집중해야 한다”며 “이틀 동안 고생 많았고, 앞으로 판소리 공부에 더욱 매진해주길 바란다”는 말로 심사평을 가름했다. 대명고수부 대상(대통령상)을 수상한 고정훈씨는 25일 “꿈만 같은 일이 벌어졌다”면서 “이번 수상을 계기로 판소리 고법을 더 깊이 있게 학습하고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소감을 밝혔다. ▶ 해당기사 더보기
-
- 국악정보
- 국악인소식
-
[祝] '제41회 전국고수대회’ 대명고수부 대상(대통령상)에 고정훈씨 “판소리 고법 더 매진”
-
-
"경기민요에 빠졌어요" - 멕시코 소리꾼 '난시 카스트로'
- 김태림 앵커> 한류를 사랑하는 외국인들이 참 많은데요. 한국 사람도 어렵다고 느끼는 한국 민요에 빠진 멕시코 여성이 있습니다. 한국으로 유학을 와서 경기 민요를 전공으로 배우고 있는 멕시코 유학생 '난시'를 멜라니 다문화 국민기자가 만나봤습니다. 멜라니 국민기자> 한 소절 한 소절 경기민요 가락이 마음을 울립니다. 장단에 맞춰 민요를 부르는 여성은 멕시코에서 온 유학생 난시 카스트로입니다. 인터뷰> 난시 카스트로 /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4학년 "한국음악은 이렇게 국악, 전통음악은 진짜 한국의 문화, 사회, 역사가 다 담기는 음악이라고 생각해요. 그래서 너무 멋있다고 생각해요." 10년 전 아리랑 처음 듣는 순간에 받은 감동이 그의 진로를 바꿔놓았습니다. 2014년 멕시코에서 한국 전통 음악을 익히기 시작한 난시는 가족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4년 전 한국에 유학을 와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경기민요를 전공으로 배우고 있습니다. 인터뷰> 난시 카스트로 /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4학년 "너무 반대하셨기 때문에 제가 엄마 몰래 오게 됐어요. 한국음악은 배우기가 너무 어려워요. 하지만 할 수 있다 (생각하며) 어려워도 오래 걸려도 포기하지 않고 계속 노력해야 해요." 경기 민요에 대한 난시의 열정은 남다릅니다. 어렵게 한국 민요의 길을 택한 난시는 경기민요 보유자의 가르침을 받으며 소리꾼으로 길을 열어가고 있습니다. ▶ '난시 카스트로' 인스타그램 인터뷰> 이춘희 / 국가무형문화재 제57호 경기민요 보유자 "첫 수업에 얼굴을 보자마자 저를 안다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어떻게 알아?' 그랬더니 몇 년 전에 멕시코로 제가 공연을 갔었어요. 같이 사진을 찍은 게 있다고 사진을 보여주는 거예요. 경기민요를 사랑하는 마음이 한국에 있는 경기민요 전공자 만큼이나 열정이 있어요." ▶ 해당기사 더보기
-
- 국악정보
- 국악인소식
-
"경기민요에 빠졌어요" - 멕시코 소리꾼 '난시 카스트로'
-
-
젊은 국악인의 최고 등용문! '제31회 KBS국악대경연' (접수 7월 20일~8월 10일)
-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국악세계화연구소에서 운영하는 글로벌 K컬처 플랫폼 '리틀코리아' ▶ http://koreanculture.kr 1. 대회명 : 제31회 KBS국악대경연2. 장소 : 서울 KBS신관 아트홀 3. 일시 : 예선 2021년 8월 23일 ~ 27일, 본선 9월 6일 ~ 10일, 대상선정 연주회 11월 11일 4. 주최 : KBS5. 접수기간 : 2021년 7월 20일 ~ 8월 10일6. 대회정보 더보기 ▶ https://bit.ly/36kSSqC (신청하기) 7. 참가자격 : ㅇ 만 19세 이상 만 35세 이하 (주민등록상 1986.1.1 이후 2002.12.31.이전 출생자) ※ 단체 부문의 경우 전 참가자 (작곡·작사자 포함) 해당됨 ㅇ 1인 1부문에 한함 ㅇ 무형문화재 예능 보유자 및 보유자 후보, 전수 교육 조교 제외 ※ 대상선정 연주회시 반주자는 중요 및 시·도 지정 무형문화재 제외 ㅇ 본 대회 장원(금상) 이상 수상자 제외
-
- 국악정보
- 경연대회,공모
- 서울
-
젊은 국악인의 최고 등용문! '제31회 KBS국악대경연' (접수 7월 20일~8월 10일)
-
-
동두천시 이석기 씨,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54호 송서·율창 보유자 인정
- 동두천시는 지난 6월 24일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54호 송서·율창 보유자로 인정된 이석기 씨에게 무형문화재 보유자 인정서를 전달했다. 이석기 보유자는 故한병옥 보유자(2019년 작고)의 뒤를 이어 송서·율창의 명맥을 잇고, 후학을 양성하며, 송서·율창의 보급과 저변 확대를 위해 전승활동에 매진하고 있다. 송서율창은 2011년 경기도무형문화재 제54호로 지정됐으며, 송서는 산문으로 된 한문을 노래조로 읊는 것을 말하고, 율창은 오언율시(五言律詩)나 칠언율시(七言律時)와 같은 한시(漢詩)를 노래조로 읊는 것을 가리키는데, 시창(詩唱)이라고도 한다. 송서와 율창은 문자에 가락을 실어 글귀를 쉽게 익히려는 선조들의 지혜를 엿볼 수 있다. ▶ 해당기사 더보기
-
- 국악정보
- 국악인소식
-
동두천시 이석기 씨,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54호 송서·율창 보유자 인정
-
-
2021 제29회 '임방울국악제' 전국대회 (접수 9월 1일~9월 30일)
-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국악세계화연구소에서 운영하는 글로벌 K컬처 플랫폼 '리틀코리아' ▶ http://koreanculture.kr 1. 대회명 : 제29회 '임방울국악제' 전국대회2. 장소 : 학생 예.본선 - 광주 빛고을시민문화관, 5ㆍ18기념문화센터, 광주문화예술회관 / 명창부 일반부 본선 - 광주 빛고을시민문화관3. 일시 : 2021년 10월 1일~4일4. 주최 / 주관 : 광주광역시 / (사)임방울국악진흥회5. 접수기간 : 2021년 9월 1일~9월 30일6. 문의전화 : 062-521-0731~2, 673-0732, 670-79897. 대회정보 더보기 ▶ http://goo.gl/uimqAA (신청서 다운로드) 8. 참가자격 :가. 대한민국 국민(재외 동포)로서 19세 이상의 남녀 및 학생(초ㆍ중ㆍ고등학생) ※ 단 판소리 명창부는 만 30세 이상나. 국가 또는 시도지정 무형문화재 예능보유자 또는 다른 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한 자는 제외함 ※ 일반부 : 타 대회에서 차 상위 상을 수상한 자 또는 동격인상을 수상한자는 참여 할 수 없음. ※ 학생부 : 타 대회에서 차 상위상을 수상한자는 참여 할 수 없음.
-
- 국악정보
- 경연대회,공모
- 광주,전라
-
2021 제29회 '임방울국악제' 전국대회 (접수 9월 1일~9월 30일)
-
-
동초제 잇는 송재영·장문희 명창, 전라북도무형문화재 판소리 심청가 보유자로 동시에 인정
- 동초제 계보를 잇는 송재영(61) 명창과 장문희(45) 명창이 전라북도무형문화재 제2호 판소리 심청가 보유자로 동시에 인정을 받았다. 5월 7일 전북도는 한 달여 전 전라북도무형문화재 보유자 인정사항을 예고하고 무형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확정된 사항을 도보에 고시했다. 한날한시에 무형문화재로 인정 받게된 송재영 보유자와 장문희 보유자는 바디가 같다. 바디는 판소리 명창이 스승에게 전수받아 다듬은 판소리 한바탕 전부를 의미한다. 이 두 보유자의 스승은 동초제 다섯 바탕을 온전히 계승한 오정숙 명창을 사사하며 동초제 소리를 받은 이일주 전북무형문화재 명예보유자다. 동초제는 국립창극단 초대 단장을 지낸 동초 김연수(1907~1974) 선생의 호를 따서 만든 판소리 유파다. 고흥 출신인 동초는 판소리 사설과 장단표기 재정립 등에도 힘써 동리 신재효 선생 이후 근대 판소리 역사에 큰 발자취를 남긴 인물로 평가된다. 그 동초의 소릿제는 오정숙과 이일주로 이어지며 많은 후학들을 양성해 전북 전주에서 꽃을 피웠다. 문화예술계 일각에서는 동초제 심청가를 잇는 명창 중에서 두 명이 동시에 문화재로 지정되는 일이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지만, 두 사람은 전승능력과 환경, 기여도, 기량과 역량, 기반 등의 모든 면에서 우열을 가릴 수 없는 우수한 평가 결과를 받았다. 송재영 보유자는 심청가 전수조교로, 장문희 보유자는 심청가 이수자로 활동했다. ▶ 해당기사 더보기
-
- 국악정보
- 국악인소식
-
동초제 잇는 송재영·장문희 명창, 전라북도무형문화재 판소리 심청가 보유자로 동시에 인정
-
-
[謹弔] 국가무형문화재 '승무' 이애주 보유자 별세
- 국가무형문화재 ‘승무’ 이애주 보유자가 병환으로 어제(월) 오후 향년 74세로 별세했습니다. 초등학교 2학년 때 김보남 선생에게 입문해 본격적으로 승무를 배우기 시작한 고(故) 이애주 보유자는 서울대학교 재학 시절 대한민국 문화공보부 주최 제7회 신인예술제에서 대상을 받는 등 일찌감치 타고난 재능과 예술성을 인정받았습니다. 1970년부터는 고(故) 한영숙 전 보유자에게 승무를 전수받아 1976년 승무 이수자가 됐으며, 1992년 전수교육조교(현 전승교육사)를 거쳐 1996년에 초대 보유자였던 고(故) 한영숙 전 보유자를 이어 승무 보유자로 인정됐습니다. 고(故) 이애주 보유자는 1982년부터 모교인 서울대학교에서 후진 양성에 힘을 쏟아왔으며, 한영숙춤보존회 이사장, 경기아트센터 이사장을 역임하는 등 한평생 승무를 비롯한 우리나라 전통무용의 전승과 발전에 헌신했습니다. ▶ 해당기사 더보기
-
- 국악정보
- 국악인소식
-
[謹弔] 국가무형문화재 '승무' 이애주 보유자 별세
-
-
김선이씨, 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 남도판소리 보유자 신규 인정
- 판소리 동초제 흥보가 바디 보유자발성처리 등 뛰어나 보전·전승 기여 김선이 씨가 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 남도판소리(동초제 흥보가) 보유자로 신규 인정됐다. 광주시는 앞서 지난해 10~11월 관계학자·전문가 조사와 무형문화재 보유자 인정예고를 했으며, 광주시 무형문화재위원회에서는 조사 및 지정예고 등의 결과를 검토해 김선이 씨를 광주시 무형문화재 남도판소리 보유자로 인정하기로 결정했다. 판소리 동초제는 김연수(1907~1974)에 의해 완성된 판소리 유파로 1964년 중요무형문화재 보유자로 인정받았다. 동초제는 김연수가 직접 부른 판소리 다섯 바탕과 창본이 모두 전해져 판소리 연구에 도움이 되고 있다. 동초제 흥보가로 광주시 무형문화재 보유자로 인정된 김선이 씨는 염금향, 조통달, 오정숙, 김수연 씨 등으로부터 우리지역 판소리 전반의 바디(판소리 한바탕 전체)를 이었으며, 발성처리 및 소리운용의 공력이 뛰어나 남도소리 보전과 전승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판소리 교과서’라는 찬사를 받고 있는 그는 1998년 대통령상을 수상한 이후 사단법인 백제남도소리고법진흥회를 설립해 동편제·서편제·동초제 등 판소리를 널리 보급하는 데 힘써오고 있다. 그는 동편제 수궁가 완창발표회 5회, 서편제 심청가 완창발표회 5회, 동초제 흥보가 완창발표회 6회 등 끊임없는 노력과 도전을 이어가고 있으며, 또한 수 백여회의 봉사 공연에 참여하고 있다. ▶ 해당기사 더보기
-
- 국악정보
- 국악인소식
-
김선이씨, 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 남도판소리 보유자 신규 인정
-
-
[謹弔] 국가무형문화재 ‘강릉농악’ 최동규 명예보유자 별세
- 국가무형문화재 ‘강릉농악’ 최동규(1942년생) 명예보유자가 4월 16일(금) 오전에 별세하였다. □ 생년월일: 1942. 4. 16. □ 빈 소: 강릉 동인병원 장례식장 1호실(☎033-650-6165) □ 발 인: 2021. 4. 18.(일), 오전 8시 □ 유 족: 상주 최종빈(아들), 최종태(아들), 최미옥(딸), 최미영(딸) (2남 2녀) □ 주요경력 - 1983. 강릉단오제 농악대회 최우수상 - 1985. 강릉단오제 농악대회 최우수상 - 1986. ‘강릉농악’ 이수자 인정 - 1986. 강원도 민속예술경연대회 농악부문 우수상 - 1986. 강릉단오제 농악대회 최우수상 - 1996. ‘강릉농악’ 전수보조자 인정 - 2020. ‘강릉농악’ 명예보유자 인정 ※ 국가무형문화재 강릉농악(1985. 12. 1. 지정) 강릉농악은 대표적인 영동농악의 하나로 농경생활을 흉내 내어 재현하는 농사풀이가 있어 농사풀이농악이라고도 한다. 강릉농악은 타 지역에 없는 달맞이굿(달을 보고 소원을 비는 것), 횃불놀이, 놋다리밟기(젊은 여자들이 1명을 뽑아 자신들의 허리 위로 걸어가게 하는 놀이)가 있고, 두레농악이라 할 수 있는 김매기농악과 질먹기, 길놀이농악이 있는 것이 특색이다. 9세의 어린나이에 농악에 입문하여 무동, 법고 등의 전수를 받기 시작한 고(故) 최동규 명예보유자는 그 기량을 일찍이 인정받아 1980년부터 농악대의 지휘자격인 상쇠로 활동해왔다. 1983년부터 강릉단오제 농악대회 등 각종 대회에서 수상하는 등 탁월한 기량을 바탕으로 강릉농악을 전승해오던 고(故) 최동규 명예보유자는 1996년 전수보조자로 인정되면서 강릉농악 전승의 중심에 서서 한평생을 강릉농악의 보전과 전승활동에 헌신해왔다. 고(故) 최동규 명예보유자는 강릉농악 종목에 대한 전수교육과 전승활동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20년에 명예보유자로 인정되었다. ▶ 해당기사 원문보기
-
- 국악정보
- 국악인소식
-
[謹弔] 국가무형문화재 ‘강릉농악’ 최동규 명예보유자 별세
공연소식 검색결과
-
-
[무료초대] 8월 11일 민속극장 풍류 - 사공의 젓대소리 파도가 잠들다 (대금산조 이생강 보유자)
- 1. 공연명 : 사공의 젓대소리 파도가 잠들다2. 장소 : 국가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 민속극장 풍류 ▶ 지도보기3. 날짜 : 2023년 8월 11일 (금요일)4. 시간 : 오후 7시 5. 티켓료 : 전석 무료초대6. 문의 : 010-2732-8100◆ 출연진 : 이생강, 이광훈, 조계동, 최명호, 전기도, 문철오, 천희영, 류강민, 이종환, 김기성, 신지후, 임정현, 최윤혜, 한창희, 변상엽, 강성부, 윤진우, 강병하, 장재혁, 이범영, 김보민, 정명자, 홍순이, 오만종 죽향 이생강 명인은 평생 대중과 함께 걸어오면서 대중에게 감동을 선사하기를 소망하였습니다. 만가지 파란을 잠재우는 만파식적 및 맛있고 멋있는 민속춤을 준비하였으니 오래된 나무 그늘 속에서 한시름 잊고 쉬어가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유튜브 이생강 이광훈 국악TV에서도 즐기실 수 있습니다.
-
- 공연소식
- 서울
-
[무료초대] 8월 11일 민속극장 풍류 - 사공의 젓대소리 파도가 잠들다 (대금산조 이생강 보유자)
-
-
[경기민요 공연] 3월 11일 서울 국립극장 해오름 - 설립자(設立者)들 그리고 이춘희
- 주최 이춘희 주관 이춘희. (사)한국전통민요협회 후원 서울특별시 서울문화재단 국악방송예술감독 이춘희 연출 이희문 유현진 기획 김주현 진행 채수현 최수안무대감독 김상엽 무대디자인 이지형 음향디자인 장태순 조명디자인 신동선 영상디자인 오재우 포스터디자인 위원더그룹티켓 국립극장 티켓 R석 5만원 S석 3만원 설립자(設立者)는 기관이나 조직체 따위를 새로 만들어 세운 사람을 말한다. 이번 공연은 조선 초 후기와 일제강점기, 해방 이후 근·현대를 거쳐 오늘날 경기소리의 맥이 이어질 수 있게 한 경기소리의 장본인들 조선 제26대 왕 고종 시절 가무별감 박춘재, 중요무형문화재 제19호 경기 선소리 산타령 이창배, 중요무형문화재 제57호 경기민요 안비취 이 세분의 <설립자‘들’>을 기리고 전승의 기반을 다지는 한편, 현재 가장 활발히 활동하는 57호 경기소리 예능보유자 단성 이춘희 명창 외 김혜란, 이호연, 김영임 명창 그리고 경기소리의 미래를 이어갈 차세대 소리꾼들이 함께 하면서 미래 경기소리의 향방을 짚어보는 데 큰 개요가 있다. 1) 출연진- 국가무형문화재 제57호 경기민요 예능보유자 이춘희- 서울시무형문화재 제44호 삼현육각 예능보유자 최경만- 국가무형문화재 제57호 전승교육사 김영임, 이호연 - 국가무형문화재 제57호 이수자 서정화, 강효주, 권정희, 이희문, 전영랑, 최정아, 안재현, 채수현, 이덕용, 이은혜, 이미리, 최주연. 성슬기, 정유나, 이소연, 김미수, 김소희(A), 장하리, 김민정, 최수안, 천혜인, 김소희(B), 정유정, 연은지- 국가무형문화재 제57호 전수자 조원석, 이채현, 남경우, 양진수. 조영림, 이능경, 문도희, 최윤희, 왕희림, 김은희, 김도은, 김민지, 김보미, 김사랑, 김연서, 김연진, 김원주, 김주연, 김지민. 김혜진, 김효슬, 김희서, 엄지, 윤세연, 이예진, 이우승, 이지은, 이채은, 제현정, 최예림, 홍재민, 홍주현-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부수석 거문고연주자 및 작곡가 이재하 - 전통음악집단 샛 (대표 및 장단:이민형, 대금:변상엽, 피리:이찬우, 해금:김승태, 가야금 추현탁)
-
- 공연소식
- 서울
-
[경기민요 공연] 3월 11일 서울 국립극장 해오름 - 설립자(設立者)들 그리고 이춘희
-
-
12월 21일~23일 민속극장 풍류 - The story 인간문화재 '신영희'
- 1. 공연명 : 「The story 인간문화재 신영희」2. 일시 : 2022. 12. 21.(수)~23.(금)3. 시간 : 19:304. 장소 : 서울 민속극장풍류 ▶ 지도보기5. 가격 : 전석 10,000원6. 신청 : 네이버 예약(검색 : The story 인간문화재 신영희)https://booking.naver.com/booking/12/bizes/598814/items/47622567. 주최 : 한국문화재재단8. 예약문의 : 02-3011-17289. 공연소개○ 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 보유자 신영희의 소리 인생 이야기를 스토리가 있는 드라마 내용으로 구성한 공연○ 소리꾼으로 살아온 70년 세월의 고된 여정과 삶을 봄․여름․가을․겨울 사계절에 이미지화하여 표현 <프로그램>○ 봄(어린 신영희) : 어린 신영희에 대한 아버지의 사랑 이야기- 판소리 곡 : 흥보가- 출연 : 변서영, 신영희○ 여름(젊은 신영희) :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의 집안의 가장 역할과 결혼 후 남편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변하지 않는 판소리에 대한 열정 이야기- 판소리 곡 : 심청가- 출연 : 신시온, 신영희○ 가을(중년 신영희) : 성공한 후 아버지에 대한 그리움- 판소리 곡 : 심청가- 출연 : 김백송, 변서영○ 겨울 그리고봄(현재 신영희) : 세월이 무상하지만 변하지 않는 판소리에 대한 열정- 판소리 곡 : 흥타령, 춘향가- 출연 : 변서영, 신시온, 김백송, 신영희<출연진>○ 신영희(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 보유자)○ 김백송(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 이수자)○ 김장호(전 국립극단 단원, 연극 이층의 비밀)○ 신시온(뮤지컬 넌센스, 로미오와 줄리엣, 연극 보잉보잉)○ 변서영(제18회 사천 수궁가 전국 판소리 고법 경연대회 초등부 대상)
-
- 공연소식
- 서울
-
12월 21일~23일 민속극장 풍류 - The story 인간문화재 '신영희'
-
-
[무료초대] 8월 13일 민속극장 풍류 - 경기민요 예능보유자 이춘희 일가(一家) 이음(邐音)
- 1. 공연명 : 경기민요 예능보유자 이춘희 일가(一家) 이음(邐音)2. 장소 : 서울 민속극장풍류 ▶ 지도보기3. 날짜 : 2022년 8월 13일 (토요일)4. 시간 : 오후 3시 5. 티켓료 : 전석 무료초대6. 문의 : 02-529-15507. 공연정보 더보기 ▶ 한국문화재재단◆ 출연진 : 국가무형문화재 경기민요 보유자 이춘희와 제자들 <프로그램>○ 소춘향가 - 이춘희 (장단 윤재영)○ 제비가 - 박현남, 최재미, 김민정, 최수안, 천혜인, 연은지, 김소희, 정유정 (장단 윤재영)○ 유산가 - 강효주, 채수현 (장단 윤재영)○ 바위타령 - 강효주, 채수현, 이미리, 양슬기 (장단 윤재영)○ 형장가 - 이춘희, 권정희, 최성진 (장단 윤재영)○ 적벽가 - 이희문, 안재현, 조원석, 김주현, 양진수○ 금강산타령, 노랫가락, 청춘가 - 최정아, 전영랑, 이은혜 (장단 이민형)○ 선유가 - 이춘희 (장단 이민형)○ 평양가 - 이춘희, 이소연, 김미수, 김소희, 장하리 (장단 이민형)○ 달거리 - 백은희, 김미림, 최주연, 정유나, 이덕용 (장단 이민형)○ 출인가 - 이춘희 외 출연자 전원 (장단 이민형)
-
- 공연소식
- 서울
-
[무료초대] 8월 13일 민속극장 풍류 - 경기민요 예능보유자 이춘희 일가(一家) 이음(邐音)
-
-
7월 12일~8월 13일 국립부산국악원 - 2022 영남춤축제 '춤, 보고싶다'
- 춤의 물결로 세대와 장르를 아우르는 지역 대표 춤축제!7월 12일(화) 특별강연 / 13일(수) 개막공연 / 16일(토) 학술대회 / 23일(토) 청靑,뿌리춤전 / 28일, 8월 4일(목) 전통vs창작 □ 국립부산국악원(원장 이정엽)은 7월 12일(화)부터 8월 13일(토)까지 한달간, 무더위의 정점에서 세대와 장르를 아우르는 춤꾼들의 열린 무대, 2022 영남춤축제 <춤, 보고싶다>를 개최한다. □ 2022 영남춤축제 <춤, 보고싶다>는 ‘춤은 경상도’라는 예술적 자존감을 고양시키는 지역 대표 춤축제로서 교류와 화합을 통해 위로와 희망의 메시지를 관객들에게 선사하고자 풍성한 공연과 함께 강연, 학술대회, 워크숍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관객들을 맞이할 예정이다. 맛깔나는 영남춤축제, 제대로 맛볼 수 있는 시간! □ 2022 영남춤축제의 전야제로 진옥섭(전 한국문화재재단 이사장, 『노름마치』 저자) 명사의 특별강연 <영남춤, 올리고 싶다>가 12일(수) 오후 7시30분 예지당에서 진행된다. 이번 강연에서는 “내 춤판의 반이 영남춤”이라는 진옥섭의 입김 서린 육성으로 듣는 영남지역 명무(名舞)들의 옛 이야기가 펼쳐질 예정이며, 축제에 앞서 관객들과 직접 소통하는 시간을 통해 축제의 재미를 더한다. 영남춤의 명맥을 잇는 ‘이음’무대 <영남춤, 사계(四季)> / 7월 13일(수) 오후 7시30분 □ 이번 축제의 개막공연은 영남지역 명무들의 멋과 예술혼을 후학들과 나누는 무대이다. 원로예술인 석봉스님(국가무형문화재 아랫녘수륙재 보존회장/법고춤), 김진홍(부산광역시무형문화재 제14호 동래한량춤 보유자/동래한량춤), 김온경(부산광역시무형문화재 제10호 동래고무 보유자/산조춤), 이윤석(국가무형문화재 고성오광대 보유자/고성허튼춤) 등과 국립부산국악원 국악연주단이 함께 무대에 올라 진정한 영남춤의 흥과 신명을 선보인다. 영남지역 대학 무용과 젊은 예술인들의 꿈과 희망의 무대 <청靑, 뿌리춤전> / 7월 23일(토) 오후 5시 □ 23일(토) 연악당에서 펼쳐지는 ‘청靑, 뿌리춤전’은 지역 대학 무용학과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젊은 춤꾼들에게 용기와 희망의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무대이다. 올해 영남춤축제 5주년을 맞이하여 영남지역의 경상국립대학교(태평무), 계명대학교(천개의 바람), 국립창원대학교(우리 춤의 원류(源流)_두물머리(兩水里)), 부산대학교(진도북놀이), 부산여자대학교(鶴-놀음)가 참여한다. 전통과 창작의 동시대적 소통을 염원하는 무대 <전통vs창작> / 7월 28일(목), 8월 4일(목) 오후 7시 30분 □ 한편, ‘전통vs창작’은 전통춤의 원형과 이를 소재로 재해석된 창작춤이 한 무대에서 펼쳐질 예정이다. 28일(목)은 ‘정재’를 주제로 전통춤 ‘박접무’, ‘포구락’과 창작춤 ‘날개, 짓다 나비, 짓다(안무: 김성수)’, ‘問門:문을 묻다(안무: 손효진)’를 선보이며, 8월 4일(목)은 ‘영남춤’을 주제로 전통춤 ‘진주교방굿거리춤’, ‘통영검무’와 창작춤 ‘물밑소리(안무:최현지)’, ‘그리고, 홀(안무:이도영)’ 이 공연된다. 특히, 창작춤 무대는 국립부산국악원 무용단원들이 안무를 맡아 정재와 영남 춤 레퍼토리 확장에 앞장서고자 한다. □ 이 밖에도 16일(토) 연악당에서는 국립부산국악원과 영남춤학회가 공동 주관하는 학술대회 ‘2022 영남춤의 맥을 찾아서’가 진행된다. ‘영남지역 무속 연희의 예술적 동시대성’을 대주제로 삼아 펼쳐지는 이번 학술대회는 우리 문화의 원류이자 근간이 되는 무속을 다각적인 관점에서 논의하는 장을 마련하여 한국 춤문화의 창조적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온 몸이 들썩들썩! 영남춤축제, 옴팡지게 즐기는 방법! □ 공연 관람은 취학아동 이상으로 연악당 공연은 S석 2만원, A석 1만원, 예지당 공연은 전석 1만원이다. 시간은 평일 오후 7시 30분, 주말 오후 5시에 시작하며, 예매는 국립부산국악원 누리집(http://busan.gugak.go.kr) 온라인예매 및 전화예약이 가능하다. 특히, 한달간 펼쳐지는 영남춤축제에서는 ‘춤사랑 묶음티켓’을 판매한다. 구매자에게는 기존 관람료 대비 60% 할인을 적용하며 ‘행열도 미니 잔세트(5회권)’ 또는 ‘나전칠기수첩(3회권)’을 선물한다. 문의) 051-811-0114.
-
- 공연소식
- 부산,경남
-
7월 12일~8월 13일 국립부산국악원 - 2022 영남춤축제 '춤, 보고싶다'
-
-
6월 19일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 선영숙 가야금 독주회 '동현동행'
- 1. 공연명 : 동현동행 '선영숙' 가야금독주회2. 장소 : 서울 서초동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 지도보기3. 날짜 : 2022년 6월 19일 (일)4. 시간 : 오후 4시 5. 티켓료 : 전석 20,000원6. 문의 : 010-2220-96627. 공연정보 더보기 ▶ 인터넷 예매하기◆ 출연진 : ▶ 선영숙 프로필
-
- 공연소식
- 서울
-
6월 19일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 선영숙 가야금 독주회 '동현동행'
-
-
대금명인 이생강·이광훈 父子 4월22일, 24일 연이어 발표회 개최
- 최고의 대금 연주자로 인정받는 부자가 잇따라 대금 연주회를 마련해 눈길을 끌고 있다. 국가무형문화재 제45호 대금산조 예능보유자 이생강 명인이 4월 22일 저녁 7시 서울 강남구 민속극장 풍류에서 대금 발표회 ‘죽향’을 여는 데 이어 그의 아들 이광훈(국가무형문화재 제45호 대금산조 전승교육사) 명인도 4월 24일 오후 5시 서울 종로구 창덕궁 소극장에서 대금발표회를 갖는다. ▶ 이생강 프로필 ▶ 이광훈 프로필 먼저, 국가무형문화재 보전과 진흥을 위해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 한국문화재재단이 후원하는 2022년 국가무형문화재 공개 행사 일환으로 열리는 공연 ‘죽향’에서 이생강 명인은 전통에 뿌리를 둔 대금산조의 정수를 선사한다. 대금산조는 우리 국악 중 기악 독주 음악의 하나로 고대로부터 전해 내려온 남도소리의 시나위와 판소리의 방대한 가락을 장단에 실어 자유롭게 변화를 주어 연주하는 곡이다. 특히 이생강류 대금산조는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엇모리, 동살푸리, 휘모리의 장단 변화로 구성된 국악의 백미라 할 수 있다. 이생강 선생은 이번 공연에 대해 “삶 속에서 민속악을 향유하고 계승·발전해온 선조들의 뜻과 지혜를 보듬어 현재를 살아가는 후손에게 국악 속에 담긴 민족혼을 일깨워주고 싶다”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공연에는 이생강 명인을 중심으로 소고춤, 아쟁산조, 승무 등 명인 명무들이 무대에 선다. 또 이광훈, 이관웅, 이성준, 최명호, 홍석영, 이재영 등 후학들이 반주자로 나선다. 공연은 지역별 아리랑의 특징과 멋을 이생강 명인이 청아한 대금 소리로 표현한 ‘팔도강산 아리랑’으로 막을 연다. 이어 이광훈 외 이수자 및 전수자 19명이 ‘이생강류 대금산조 합주’를 선사한다. 이와 함께 한국 무용가 홍순이가 ‘권명화류 소고춤’으로 무대를 더욱 화려하게 수놓으며, 이관웅이 ‘김일구류 아쟁산조’를 선보인다. 특히 이생강 명인이 대금산조를 독주하는데 본연의 힘차고 빠르면서도 맑은 음색을 들려준다. 관객들로서는 무대 가까이에서 ‘이생강류 대금산조’의 참 멋을 느낄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 무대는 한국무용가 박경랑의 ‘승무‘로 꾸며진다. 한편 이생강 명인의 아들이자 이생강류 대금산조 전승 후계자 이광훈(국가무형문화재 제45호 대금산조 전승 교육사)은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 한국문화재재단이 후원하는 2022년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자 주관 기획 행사 일환으로 그만의 다섯 번째 대금 연주회를 연다. 국악 명가의 자손이 시대를 뛰어넘어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타고난 재능을 어떻게 펼쳐 보이는지 확인해볼 수 있는 이번 공연은 이광훈을 중심으로 이생강류 대금산조, 아쟁산조, 피리산조 등을 중심으로 펼쳐진다. 이광훈 명인과 그의 아들 이범영의 민요 연곡을 시작으로, 김일구류 아쟁산조(이관웅), 이광훈 명인의 이생강류 대금산조, 박범훈류 피리산조(이재영), 이광훈 명인의 대금 연주 ‘동살푸리 장단의 흥겨운 우리 가락’으로 이어진다. 대금의 소리, 곧 산조의 원형을 올곧게 보존하려는 두 부자가 마련한 두 연주회는 웅장하고 청아한 대나무의 음률 속에 깃들어 있는 자연의 숨소리를 감상할 수 있는 흔치 않은 무대가 될 것이다. 관람은 무료이며 공연 영상은 추후 유튜브를 통해 공개된다. 공연 관련 자세한 내용은 죽향 대금산조 원형보존회(02-762-5244)로 문의하면 된다.
-
- 공연소식
- 서울
-
대금명인 이생강·이광훈 父子 4월22일, 24일 연이어 발표회 개최
-
-
소양강 휘감던 ‘춘천소리’ 깨운다 - 춘천시립국악단 3월 27일 창단공연
- 춘천 소양강을 따라 흘러왔던 우리의 소리, ‘춘천별곡’이 흐른다. 강원도 최초의 시립국악단인 춘천시립국악단(예술감독 이유라)의 창단공연이 3월 27일 오후 5시 춘천문화예술회관에서 열린다. 류지선, 최은영, 이현진, 정유정, 박희린 씨등 여성 민요단원 5명으로 구성된 시립국악단의 이번 연주회의 주제는 ‘시작(See:作)-작품을 보다, 시작을 보다’이다. 가(歌), 무(舞), 악(樂)을 모두 활용해 전통 예술의 흥과 멋을 선보이며 시립국악단의 힘찬 출발을 알릴 예정이다. ▶ 춘천시립국악단 홈페이지 창단 공연이기에 협연자와 객원 참여자들의 면면도 화려하다. 한국전통민요협회 이사장이자 경기민요 예능보유자인 이춘희 명창을 비롯해 세종채향순무용단, 춘천농악단연합회(뒤뚜르농악보존회, 사암리농악보존회, 우두농악보존회)가 참여한다. 타악팀 IN풍류, 노관우 밴드의 연주도 함께하며 지향희, 홍승희 소리꾼도 객원으로 참여한다. 공연 곡은 춘천 처녀장사 타령, 소양강 뗏목 아리랑, 강원도 장타령, 춘천 목화따는 소리, 베틀가 등으로 구성했다. 첫 공연인 만큼 모두 춘천 소리를 기반으로 마당놀이가 진행된다. 일반 시민과 관객들도 국악의 흥을 쉽게 접할 수 있는 곡으로 준비됐다. 이공우 작사, 노관우 작곡의 창작곡 ‘춘천별곡’은 오프닝과 피날레 곡으로 초연돼 관심을 모은다. ▶ 해당기사 더보기
-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
소양강 휘감던 ‘춘천소리’ 깨운다 - 춘천시립국악단 3월 27일 창단공연
-
-
11월 20일, 국립극장 완창판소리 공연 '김소영의 수궁가'
- 1. 공연명 : 완창판소리 '김소영의 수궁가'2. 장소 : 서울 장충동 국립극장 하늘극장 ▶ 지도보기3. 날짜 : 2021년 11월 20일 (토요일)4. 시간 : 오후 3시5. 티켓료 : 전석 20,000원6. 문의 : 02-2280-41147. 공연정보 더보기 ▶https://han.gl/I6ifg◆ 출연진 : 김소영, 김형태, 조용안 (해설·사회: 배연형)김소영 명창이 선보이는 동초제는 동초(東超) 김연수 명창이 정정렬 바디를 기반으로 여러 바디의 장점을 모아 새롭게 정립한 소릿제다. 가사와 문학성을 중시하기 때문에 사설과 발음이 정확하고 너름새(동작)가 정교하며 부침새(장단) 또한 다양한 것이 특징으로 꼽힌다. 동초제 소리 중에서도 이번에 부를 ‘수궁가’는 김 명창이 처음 완창한 소리이자, 무형문화재 지정을 받은 작품으로 그 의미가 남다르다.
-
- 공연소식
- 서울
-
11월 20일, 국립극장 완창판소리 공연 '김소영의 수궁가'
-
-
‘2021 대한민국 무형문화재대전’ 전주 국립무형유산원서 10월 8일~10일 열려
- 문화재 보유자 등 작품 95종 180점 전시 … 작업 과정 합동 시연도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들의 작품을 보고 인류무형유산 공연도 즐기는 다섯 번째 큰 잔치가 10월 8∼10일 전북 전주에 있는 국립무형유산원에서 열린다. ▶ 국립무형유산원 홈페이지 국립무형유산원은 2021 대한민국 무형문화재대전이 이 기간 ‘오리지널 케이컬쳐 이야기 OK, 무형유산’을 주제로 유산원 일대에서 펼쳐진다고 밝혔다. 이 축제는 공연과 전시, 시연, 체험 등을 통해 전통문화 활성화와 무형문화의 가치 확산하기 위한 대표 무형문화재 축제다. 올해 축제는 한국문화의 원형을 우리 민족의 흥과 정신, 예술혼이 담긴 무형문화유산으로 정의하고 진행한다. 첫날 개막식에서는 개막 공연 ‘名作(명품), 탄생의 과정을 마주하다’를 감상할 수 있다. ‘오늘의 무형유산, 내일의 K-Culture(케이컬쳐)’를 주제로 다양한 축하 공연을 선보인다.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와 전승교육사 작품 95종 180점을 볼 수 있는 전시도 열린다. 1973년 시작된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 작품전’에서는 전승 공예품의 아름다움과 민족의 예술혼을 엿볼 수 있다. 전시는 가치가 빚어내는 기량의 온기, 소리를 품은 전통의 온기, 전통을 잇고 세상을 품은 조형의 온기 등 세 개의 주제로 구성됐다. 판소리와 농악 등 전통문화를 즐길 수 있는 기획공연도 다양하다. 판소리와 남사당놀이, 줄타기, 농악의 합동공연인 ‘수직상체일기’가 앞장선다. 또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상생 판굿 ‘무형유산 굿으로 통(通)하다’와 판소리 다섯마당 ‘오,케이 판소리’, 농악과 팔도민요 등 전통연희를 현장 상황에 맞게 구성한 ‘춤추는 바람꽃’ 등도 이어진다. 더불어 인간문화재와 제자들의 무대를 비롯 전통을 현대예술로 이어가는 젊은 예술인들의 공연 ‘굿GOOD보러가자’ 등 색다른 공연이 펼쳐진다. ▶ 해당기사 더보기
-
- 공연소식
- 광주,전라
-
‘2021 대한민국 무형문화재대전’ 전주 국립무형유산원서 10월 8일~10일 열려
국악동영상 검색결과
-
-
[안성남사당풍물놀이 동영상] 안성 웃다리 채상 설장구 - 하현조
- ▶ 하현조 프로필 경기도무형문화재 제21호 안성 남사당풍물놀이 보유자였던 故 김기복 명인 (1929년~2015년) 을 거쳐 하현조를 통해 세상에 나온 안성 웃다리 설장구는 다채롭고 빠른 장단을 중심으로 남성적인 힘찬 움직임 속에 여성적인 아름다움과 능청거림이 돋보인다. 다양한 장단 속 여유와 부드러움이 담긴 춤사위와 채상 상모를 돌리는 모습은 마치 나비가 춤을 추는듯한 자태를 선보인다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놀이.종합
-
[안성남사당풍물놀이 동영상] 안성 웃다리 채상 설장구 - 하현조
-
-
국가무형문화재 제97호 살풀이춤 - 보유자 정명숙
- ▶ 정명숙 프로필 살풀이춤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그해의 나쁜 운을 풀기 위해 벌였던 굿판에서 무당이 나뿐 기운을 풀기 위해 추는 즉흥적인 춤을 말하며, ‘도살풀이춤’ 또는 ‘허튼춤’이라고도 한다. 원래는 수건춤, 산조춤, 즉흥춤 이라는 이름의 수건춤이었으나 춤꾼 한성준이 1903년에 극장공연에서 살풀이란 말을 쓴 데서부터 살풀이라는 이름이 비롯되었다.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한국무용.전통/창작
-
국가무형문화재 제97호 살풀이춤 - 보유자 정명숙
-
-
평남무형문화재 제1호 평양검무 - 보유자 임영순
- 평양검무 1대 보유자 故이봉애 선생이 평양에서 14세 때 김학선이란 권번 예기한테 배운 춤으로 지금은 평양에서는 사라진 유일무이한 소중하고 원형이 잘 보존된 문화재 춤이다. 활달하고 동적이며 땅을 콕콕 찍는 춤사위와 발디딤에 뒷디딤을 많이 쓰는 것도 특징 중의 하나이다. ▶ 임영순 프로필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한국무용.전통/창작
-
평남무형문화재 제1호 평양검무 - 보유자 임영순
-
-
가야금병창 '춘향가 中 쑥대머리' - 강정열 예능보유자 (반주 최우칠)
- ▶ 강정열 프로필 판소리 춘향가(春香歌) 중 춘향이 옥중에서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고 임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하는 대목이다.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성악)
- 판소리.병창.창극
-
가야금병창 '춘향가 中 쑥대머리' - 강정열 예능보유자 (반주 최우칠)
-
-
평남무형문화재 제4호 평남수건춤 - 보유자 한순서
- 남도시나위를 주로 사용하는 남한지역 살풀이춤과 달리 서도소리를 반주음악으로 사용하며 들발 등 북한지역의 춤사위가 구현된 수건춤이다. ▶ 한순서 프로필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한국무용.전통/창작
-
평남무형문화재 제4호 평남수건춤 - 보유자 한순서
-
-
인천무형문화재 제5호 - 주대소리
- 굵은 줄을 꼬는 작업 때에 불리는 인천지역의 일노래.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5호. 1992년 5월에 지정되었다. 주대란 닻줄과 같은 굵은 줄을 꼴 때에 쓰이는 도구이다. 주대소리는 ① 나무타령·② 자우소리·③ 줄놓는소리(줄꼬기)·④ 꼼새소리(줄손 돌리기)·⑤ 술레소리(합사시킴)·⑥ 여사소리·⑦ 채짓는소리(채짓기)·⑧ 사리소리(줄을 사림)로 엮어진다. 주대소리는 1989년도 전국 민속경연대회에 참가하여 문화부장관상을 획득하였다. 지정당시 소인식(1911년생)은 채짓는소리와 여사소리의 보유자로, 박선구(1920년생)는 술레소리와 줄놓는소리의 보유자로 인정받았다. ▶ 자료 더보기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놀이.종합
-
인천무형문화재 제5호 - 주대소리
-
-
진도북춤 - 염현주
- 진도북춤은 진도씻김굿 예능보유자 故박병천 선생에 의해 구성된 춤으로 농악 중 북놀이에서 파생된 춤이다. 화려한 북장단과 춤사위를 기본으로 두 손에 북채를 들고, 자유자재로 구사하는 즉흥성과 신명을 바탕으로 추는 춤이다. ▶염현주 프로필 유진주, 안상화, 임지연, 권민경, 김미경, 오미인, 김현우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한국무용.전통/창작
-
진도북춤 - 염현주
-
-
전남무형문화재 제18호 '양태옥류 진도북놀이'
- 진도북의 특징은 허리에 북을 고정시키고 북채를 양손에 쥔다는것에 있다. 두 손으로 치기 때문에 가락이 다양하고 다듬이 가락이 발달했으며, 북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춤사위를 다양하게 구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장단마다 리듬이 있으며 가락이 무척 다양하다 ▶ 양태옥류 진도북놀이보존회 (보유자 박강열)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놀이.종합
-
전남무형문화재 제18호 '양태옥류 진도북놀이'
-
-
단가 '인생백년' - 소리 & 판소리 '심청가 초입~ 상여나가는대목' - 소리
- 단가 인생백년 소리 정순임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34호 판소리 흥보가 보유자) 고수 송강수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심청가 초입~ 상여나가는대목소리 조아라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34호 판소리 흥보가 이수자, 제39회동래전국전통경연대회 일반부 대상 국회의장상)고수 박재현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 ▶정순임 프로필 ▶ 조아라 프로필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성악)
- 판소리.병창.창극
-
단가 '인생백년' - 소리 & 판소리 '심청가 초입~ 상여나가는대목' - 소리
-
-
웃다리농악 - 대전시무형문화재 제1호
- ▶ 대전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호 대전웃다리농악보존회 (회장 송덕수 예능보유자)
-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농악.사물놀이
-
웃다리농악 - 대전시무형문화재 제1호
국악인프로필 검색결과
-
-
강병하 프로필 - 대금연주가
- ☆ 강병하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대금연주, 타악연주, 태평소연주가 수련과정ㅣ학력 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 졸업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사 졸업 활동 경력 수상 경력 2017 제33회 동아국악콩쿠르 일반부 대금부문 금상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pDtzhwHePsE [이생강류 대금산조]https://youtu.be/b4QsJ8UuZx8 [태평소 시나위] 기타 강원도무형문화재 제18호 원주매지농악 강성태 명예보유자의 손자이자 강영구 보유자의 아들이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국악인 측에서 직접 제공한 자료 또는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정리한 내용이며, 공개된 정보를 수집, 정리한 것은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가,나,다
-
강병하 프로필 - 대금연주가
-
-
조현일 프로필 - 가야금병창
- ☆ 조현일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가야금병창 수련과정ㅣ학력 강정열, 박애숙 선생 사사중앙대학교 국악대학 졸업국가무형문화재 제23호 가야금산조 및 병창 이수자 활동 경력 경기재인청보존회 회원 오산국악협회 성악분과 이사 수상 경력 2020 제2회 익산삼기농요전국국악경연대회 가야금병창 일반부 대상2022 제30회 임방울국악제 전국대회 가야금병창 최우수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zfbtbXRAQ8s [젊어청춘, 팔도유람가] 기타 전북무형문화재 제49호 가야금병창 박애숙 보유자가 이모이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국악인 측에서 직접 제공한 자료 또는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정리한 내용이며, 공개된 정보를 수집, 정리한 것은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
조현일 프로필 - 가야금병창
-
-
조용주 프로필 - 판소리
- ☆ 조용주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판소리 수련과정ㅣ학력 고모 조소녀 선생에게 심청가, 춘향가 사사 활동 경력 들꽃소리원 원장 수상 경력 2012 제15회 남도민요전국경창대회 명창부 국무총리상2013 제16회 남도민요전국경창대회 명창부 대상 (대통령상)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Lonp46CCmzQ [국악가요 - 님 찾아 아리랑] https://youtu.be/2FL7ASI5itw [인연] 기타 전북무형문화재 제2호 판소리 춘향가 예능보유자인 조소녀 명창과 조영자 명창이 친고모며, 국립창극단 기악부 악장인 조용수 고수가 친오빠이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국악인 측에서 직접 제공한 자료 또는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정리한 내용이며, 공개된 정보를 수집, 정리한 것은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
조용주 프로필 - 판소리
-
-
최지원 프로필 - 한국무용가
- ☆ 최지원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한국무용, 호남살풀이춤 (동초수건춤) 수련과정ㅣ학력 경희대 무용과 및 동 대학원 졸업경희대 무용학 박사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15호 호남살풀이춤 전수교육조교 활동 경력 신전통연구회 새결 대표 수상 경력 제25회 전주대사습놀이 전국대회 무용부문 차하제1회 전국 전통무용경연대회 은상 홈페이지ㅣSNS https://bit.ly/3pIdOlb [전북무형문화재 제15호 호남살풀이춤 자세히 보기]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jC8hLKK3e1M [최지원 - 동초수건춤] 기타 전통예술뿐만 아니라 신무용, 창작무용까지 활발히 활동하는 차세대 예술가로전북무형문화재 제15호 호남살풀이춤 예능보유자 ▶ 최선 명무의 딸이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국악인 측에서 직접 제공한 자료 또는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정리한 내용이며, 공개된 정보를 수집, 정리한 것은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
최지원 프로필 - 한국무용가
-
-
이문주 프로필 - 민요, 서도소리 (황해도무형문화재 보유자)
- ☆ 이문주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민요, 서도소리 수련과정ㅣ학력 故 김정연 선생 사사황해도 무형문화재 제3호 서도산타령 예능보유자 (2009년 지정) 활동 경력 이문주국악찬양선교예술단 창단사단법인 남포월드협의회 예술본부장2020년 국악찬양악보집 출간성산효대학원대학교 예술융합학과 석박사학위과정 겸임교수 수상 경력 KBS전국국악경연대회 장원제11회 서울전통예술경연대회 민요 명창부 종합최우수상 (문화관광부장관상)제13회 경기국악제 전국국악대회 민요 명창부 금상제14회 전국민요경창대회 명창부 경서도입창부문 최우수상 (문화관광부장관상)제21회 한국기독교문화대상 (국악부문)제15회 경기국악제 전국국악대회 민요 명창부 대상 홈페이지ㅣSNS https://cafe.daum.net/seudo [이문주 국악찬양 선교예술단 다음카페]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nD-YVh-1zIM [이문주 서도뒷산타령]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국악인 측에서 직접 제공한 자료 또는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정리한 내용이며, 공개된 정보를 수집, 정리한 것은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
이문주 프로필 - 민요, 서도소리 (황해도무형문화재 보유자)
-
-
박정진 - 아쟁연주가
- ☆ 박정진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아쟁연주 수련과정ㅣ학력 전남대학교 예술대학 국악학과 졸업 및 동 대학원 수료 활동 경력 광양시립국악단 단원 역임현재 한국국악연구소 소장 (사)아시아문화예술협회 상임이사 수상 경력 제5회 추담 전국국악경연대회 일반부 최우수상신라문화재 전국 국악대제전 종합 최우수상임방울국악제 기악 일반부 준우수상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기타 전남무형문화재 제18호 진도북놀이 보유자였던 북춤 명인 故 박관용 선생의 손자이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국악인 측에서 직접 제공한 자료 또는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정리한 내용이며, 공개된 정보를 수집, 정리한 것은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라,마,바
-
박정진 - 아쟁연주가
-
-
김병곤 - 장구, 타악연주가
- ☆ 김병곤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장구, 고수, 타악연주 수련과정ㅣ학력 단국대학교 국악과 졸업목원대학교 음악대학원 석사원광대학교 국악학 박사국가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제례악 이수자대전시무형문화재 제1호 웃다리농악 준보유자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고법 이수자 활동 경력 현재 대전시립연정국악원 민속악 지도위원(사)일통고법보존회 대전지회장목원대학교, 원광대학교 출강 수상 경력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6Pgsbff9NXM [인터뷰 - 대전시립연정국악원 지도위원 김병곤]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김병곤 - 장구, 타악연주가
-
-
임영순 - 한국무용가 (평남무형문화재 보유자)
- ☆ 임영순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한국무용, 평양검무 수련과정ㅣ학력 평양검무 1대 예능보유자 故이봉애 (1923~2019) 선생 사사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한국무용학 박사평안남도 무형문화재 제1호 평양검무 예능보유자 (2016년 인정) 활동 경력 한세대학교 평생교육원 한국무용학과 교수도연 임영순무용단 예술감독사) 우리춤협회 이사사) 한국전통춤연합회 이사장 평양검무 평양검무 1대 보유자 故이봉애 선생이 평양에서 14세 때 김학선이란 권번 예기한테 배운 춤으로지금은 평양에서는 사라진 유일무이한 소중하고 원형이 잘 보존된 문화재 춤이다.활달하고 동적이며 땅을 콕콕 찍는 춤사위와 발디딤에 뒷디딤을 많이 쓰는 것도 특징 중의 하나이다.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kq5MWg76q68 [임영순의 춤 - 평양살풀이, 평양검무, 평양남무] 기타 배우 이인혜 씨의 어머니이다. ▶ 관련기사 보기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
임영순 - 한국무용가 (평남무형문화재 보유자)
-
-
김일환 - 한국무용가
- ☆ 김일환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한국무용 수련과정ㅣ학력 신관철 (전북무형문화재 제59호 수건춤 기능보유자) 선생 사사 활동 경력 현재 정읍사국악원 무용반 교수 수상 경력 제1회 광주국악경연대회 대상 (국무총리상)제6회 경기국악제 전국경연대회 전통무용부문 대상 (문화체육부장관상)제17회 전국국악대전 문화체육부 장관상 2019 제27회 전국전통공연예술경연대회 대통령상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가,나,다
-
김일환 - 한국무용가
-
-
한순서 - 한국무용가 (평남무형문화재 보유자)
- ☆ 한순서 프로필 (1941년 평양 신리 출생) 사진 전공ㅣ분야 한국무용 수련과정ㅣ학력 김동민, 강태홍, 이매방 선생 사사평안남도 무형문화재 제4호 평남수건춤 보유자 (2018년 인정) 활동 경력 강태홍춤보존회 고문, 세계예술교류협회 회장 역임한순서춤연구소 대표 수상 경력 평양수건춤 남도시나위를 주로 사용하는 남한지역 살풀이춤과 달리 서도소리를 반주음악으로 사용하며 들발 등 북한지역의 춤사위가 구현된 수건춤이다.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lD55egXdukA [평남무형문화재 제4호 평남수건춤 - 한순서]https://youtu.be/2V3Z39wqQrY [살풀이춤]http://youtu.be/rqc9eaEYSLs [모녀 무용가 이야기 - 명무 한순서와 이주희] 기타 현재 장녀 ▶ 이주희 중앙대학교 무용학과 교수가 어머니의 뒤를 잇고 있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카,타,파,하
-
한순서 - 한국무용가 (평남무형문화재 보유자)
관련사이트 검색결과
-
-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17호 우도농악 보존회 - 전경환, 김오채 (예능보유자)
- 전라도 서남 해안 지역인 영무장농악의 전통을 잇는 신청농악에 뿌리를 둔 걸궁굿 ▶ http://www.woodogood.com
-
- 관련사이트
- 단체/기관
-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17호 우도농악 보존회 - 전경환, 김오채 (예능보유자)
-
-
인천무형문화재 제12호 강화용두레질소리 보존회 (예능보유자 황길범)
- 강화도열두가락 연구회, 인천 강화군 지역을 중심으로 전승되는 농업노동요 http://yongdure.kr
-
- 관련사이트
- 단체/기관
-
인천무형문화재 제12호 강화용두레질소리 보존회 (예능보유자 황길범)
-
-
국가무형문화재 제19호 선소리산타령
- 선소리산타령보존회 소개, 예능보유자 황용주 http://sunsori.co.kr
-
- 관련사이트
- 단체/기관
-
국가무형문화재 제19호 선소리산타령
-
-
(사) 청강 정철호전통예술진흥회 페이스북
-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고법 예능보유자, 최고의 명고(名鼓) 정철호 명인 https://ko-kr.facebook.com/art.gosoo
-
- 관련사이트
- 기타
-
(사) 청강 정철호전통예술진흥회 페이스북
-
-
황해도서도소리 - 박일흥 (국가무형문화재 제61호 은율탈춤 예능보유자)
- 은율탈춤, 서도소리, 배뱅이굿 등 황해도 전통문화를 계승하는 단체
-
- 관련사이트
- 단체/기관
-
황해도서도소리 - 박일흥 (국가무형문화재 제61호 은율탈춤 예능보유자)
-
-
(사) 죽파류가야금산조보존회 (예능보유자 문재숙)
- 사단법인 죽파류가야금산조보존회 법인 현황 https://han.gl/UpJMc
-
- 관련사이트
- 단체/기관
-
(사) 죽파류가야금산조보존회 (예능보유자 문재숙)
-
-
광명농악보존회
-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20호 '광명농악' (보유자 임웅수) 보존회 공식 홈페이지 http://www.농악보존회.kr
-
- 관련사이트
- 단체/기관
-
광명농악보존회
-
-
웃다리평택농악 홈페이지
- 중요무형문화재 제11-2호 평택농악보존회 (보유자 김용래) 소개, 공연소식 등 http://www.ptnongak.or.kr
-
- 관련사이트
- 단체/기관
-
웃다리평택농악 홈페이지
-
-
경기명창 '유창' 홈페이지
- 유창 - 서울시무형문화재 41호 송서·율창 예능보유자 http://www.uchang.org
-
- 관련사이트
- 국악인(팀)
-
경기명창 '유창' 홈페이지
-
-
최윤희 도살풀이춤
- 대전시 무형문화재 "입춤"예능보유자 [최윤희도살풀이] 다음카페 http://cafe.daum.net/do-sal-pool-ee
-
- 관련사이트
- 국악인(팀)
-
최윤희 도살풀이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