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국악정보 검색결과
-
-
판소리 보성소리 명창집안, 3대째 전승하다, 정응민의 손자 정회석, 판소리 예능보유자 인정
- 보성소리의 원조 정응민(鄭應珉, 1896~1963) 명창이다. 정응민은 1896년 전라남도 순창에서 태어나 일곱 살에 소리꾼인 큰아버지 정재근을 따라 서울로 올라갔다. 정응민은 어영대장 윤판서의 사랑채에서 기숙하며 당대의 명창 박유전(朴裕全)과 백부 정재근에게서 소리를 배웠다. 박유전과 정재근의 만남은 임오군란(1882)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임오군란이 실패하고 대원군이 청나라로 압송되자, 박유전은 새로 정권을 잡은 민씨 일파에 의해 대원군의 일파로 몰려 남쪽으로 피난가다가 나주 일대에서 소리를 잘한다는 정재근의 집에 머물게 된다. 이때 정재근은 박유전에게서 소리를 배우게 된다. 3~4년후 대원군이 복권되자, 정재근은 조카 정응민을 데리고 한양으로 올라가게 된다. 정응민은 20세까지 서울에 머물면서 순회공연을 다니기도 했다. 한편 박유전은 힌일합방 이후 “나라를 잃어버린 명창가객이 살아서 뭐 하겠느냐”며 고향에 내려갔다. 서울에 있던 정응민은 대스승인 박유전이 전라도 어디에서 한겨울에 굶어 죽었다는 소리를 듣고 서울 생활을 청산하고 전라남도 보성으로 내려간다. 이때 나이가 21세였다. 보성에서 정응민은 제자들을 받아들여 소리를 가르쳤다. 그는 보성에서 현재 가상 왕성하게 전승되는 보성소리를 확립시켰다. 정응민은 한의사 딸 김대임과 혼인해 아들 하나와 딸 다섯을 낳았다. 정응민은 아들 정권진(鄭權鎭m 1927-1986)에게 소리를 가르치지 않았다고 한다. 소리꾼이 대우도 못 받고 판소리가 천대를 받는 세상에 판소리를 자식에게 물려 주고 싶지 않았던 까닭이다. 그는 자식들에게 판소리를 하는 것을 엄격하게 금지 시켰다. 하지만 핏줄은 속이지 못했다. 아들 정권진은 소리에 빠져서 이곳 저곳을 헤메고 다녔고, 그의 재능을 아깝게 여긴 주위 사람들의 권유로 아버지 정응민은 열다섯 아들 정권진에게 비로소 허락한다. 그러나, 정권진은 아버지에게서 소리를 배울 수 없었다. 우여곡절 끝에 정권진은 아버지의 수제자인 박기채에게서 소리를 배우거나 어깨 너머로 배운 아버지의 소리를 배워 혼자 독공을 했다. 그는 훗날 강산제 심청가 판소리 무형 문화재로 지정된다. 정권진은 인간문화재, 중요무형문화재가 되어 활동했다. 정권진은 아들 삼형제를 두었는데, 큰아들 정회천은 전북대 국악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선대가 이루어 놓은 판소리 업적을 학문적으로 정리하고 있다. 정회천은 또 중학시절부터 명고수 김명환으로부터 고법을 배워 현재 무형문화재 59호 전수조교로 등록되어 있으며 명인 함동정월로부터 가야금 산조도 배웠다. 가야금을 전공한 그의 부인 안희정씨(서울대 국악과졸)도 전주도립국악원 교수로 있다. 둘째 아들 정희완(전남대 국악과졸)과 부인 최미애(전남대 무용과졸)는 전남도립국악원에서 대금연주자와 한국무용을 각각 맡고 있다. 막내인 정회석(서울대 국악과졸)은 KBS 국악관현악단 해금주자인 그의 부인 정수년(서울대 국악과졸)등과 함께 모두가 부부 국악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번에 정권진의 막내아들 정회석이 문화재청으로부터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심청가)’ 보유자로 인정받았다. 한편 문화재청은 8세때부터 정권진에게서 심청가, 춘향가를 배운 김영자(金榮子, 69)씨도 ‘판소리(심청가)’ 보유자로 인정했다. 김영자씨는 1987년 판소리(수궁가) 전수교육조교가 되어 전승활동에 힘써왔다. 현재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에는 심청가, 수궁가, 적벽가, 흥보가, 춘향가, 고법 등 6개의 분야가 있는데, 심청가는 2017년 성창순 전 보유자가 작고한 이후 보유자가 없었다. 문화재청은 이번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심청가)’ 보유자 인정은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오랫동안 판소리의 계승에 전념해 온 전승자들의 사기를 진작시키고, 전승 현장에 활력을 불어 넣어줄 것으로 기대했다. ▶ 해당기사 원문보기
-
- 국악정보
- 국악인소식
-
판소리 보성소리 명창집안, 3대째 전승하다, 정응민의 손자 정회석, 판소리 예능보유자 인정
-
-
2019 국악창작곡 개발, 국악방송 ‘21c한국음악프로젝트’ 본선 경연대회 - 8월22일 개최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가 주최하고, 국악방송(사장 송혜진)이 주관하는 ‘2019 국악창작곡 개발-제13회 21c 한국음악프로젝트’ 본선 경연대회가 8월 22일 저녁 7시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개최된다. 신영일 아나운서와 윤태진 아나운서의 사회로 진행되는 이번 본선 경연대회는 5~6월 진행된 1,2차 예선을 거쳐 선정된 총 10개 작품을 만나볼 수 있다. 대회 개최 이래 최연소 참가자인 박고은(만 12세)의 가야금연주와 루프스테이션, 디제잉 등을 접목한 ‘강강말어라’ 2018 대한민국한복모델선발대회 진이자 민요 전공자인 이수완과 틴탑프로듀서 이민수, 들국화 키보디스트 이환 등으로 이루어진 swan의 ‘우리는 별을 먹고 사네’ 등이 창작곡을 선보인다. 전년도 수상에 이어 대상을 향해 재도전하는 신민속악회바디의 ‘불의 계곡’ 전통음악과 재즈의 신명, 즉흥적 자유로움을 단순함 속의 강렬한 에너지로 전달하는 Gukaz project의 ‘평계나리’ 진도씻김굿과 솔베이지의 노래를 모티브로 재탄생한 창단 8년차 그룹 프로젝트 앙상블 련의 ‘심방곡’ 전통음악을 기반으로 현대를 도모하는 ‘본질을 잃지 않은 대중적인 음악’을 지향하는 창작국악단체 우리음악집단 소옥의 ‘달을 몰다’ 등의 무대도 마련된다. 피리가 중심이 되는 음악을 만들고자 11년 동안 함께 악기를 불어온 3인이 모여 창단한 삐리뿌의 ‘신무당 바이브’ 제주지역의 민요 ‘멜 후리는 소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노래 오름의 ‘풍어’ 방아타령을 주제로 EDM 기반의 중독성 있는 루프를 국악의 5음계를 사용하여 다같이 즐길 수 있는 음악으로 재구성한 국쿠스틱의 ‘방아타령’ 정선엮음자진아라리 특유의 재치 있고 리듬감 있는 사설의 특징을 현시대를 반영하여 새롭게 구성한 경로이탈의 ‘팔자아라리’. 관람객들은 각양각색의 특징을 가진 창작곡을 한 자리에서 만날 볼 수 있다. 본선에 참가하는 작품들은 양승환 예술감독을 필두로 하여 김석원(남서울대학교 실용음악학과 총괄교수, KBS 유희열의 스케치북 밴드마스터), 신연아(호원대학교 보컬전임교수, 전 빅마마 리더), 박경소(가야금연주자), 윤서경(아쟁연주자), 이영섭(대금연주자, 바이날로그 대표), 권송희(판소리) 등 여러 장르 음악분야 멘토의 멘토링을 거치며 곡의 완성도를 높였다. 축하공연은 전년도 대상 수상의 영예를 안은 궁예찬의 ‘옹헤야 어쩌라고’와 후속곡 ‘YA HEY YA’를 통해 신명나는 무대를 선보일 것이며, 타니모션, 양방언앙상블 이날치에서 보컬로 활동한 권송희를 중심으로 결성된 권송희판소리LAB의 ‘인당수’, ‘뱃노래’의 무대를 만나볼 수 있다. ▶ 해당기사 더보기
-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
2019 국악창작곡 개발, 국악방송 ‘21c한국음악프로젝트’ 본선 경연대회 - 8월22일 개최
-
-
[방송안내 - 국악팟캐스트 아리랑] 박피디의 스포트라이트 제5화. 대금연주가이며 싱어송라이터 신수용 - (소개곡) 오정해의 나그네, 사랑하는 내아들아 딸들아, 명상곡 새벽 강가에서
- 국악팟캐스트 아리랑에서 부담없이 누구나 들을 수 있는 퓨전국악, 창작국악, 국악콜라보, 국악가요 등을소개하는 고정코너! 박피디의 스포트라이트. 오늘은 대금연주가이며 싱어송라이터 신수용의 작곡집 앨범에 있는 3곡을 소개합니다. 현재 한국국악협회 거창 지부장인 신수용 작곡 앨범 1,2,3 집에 있는 오정해의 나그네, 사랑하는 내아들아 딸들아, 명상곡 새벽 강가에서를 들려 줍니다. ★ 소개곡 1. 나그네 (안도현 시, 신수용 작곡) - 노래 오정해2. 사랑하는 내아들아 딸들아 - 작사 작곡 노래 신수용3. 연주곡 새벽 강가에서 - 신수용 작곡 ▶ 신수용 작곡 퓨전창작국악 방송 들어보기
-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
[방송안내 - 국악팟캐스트 아리랑] 박피디의 스포트라이트 제5화. 대금연주가이며 싱어송라이터 신수용 - (소개곡) 오정해의 나그네, 사랑하는 내아들아 딸들아, 명상곡 새벽 강가에서
-
-
'밀양아리랑'과 '시엘리토 린도'로 하나 된 한국과 멕시코
- 주멕시코한국문화원, 아리랑 뮤직비디오 '시엘리토 린도 코레아노' 공개50초분량 티저 영상 열흘만에 36만 뷰..작년 강진피해 오악사카주서 촬영 한국과 멕시코가 월드컵 축구에 이어 우리 민족의 애환을 노래한 아리랑과 현지 전통 민요의 만남을 통해 다시 하나가 됐다. 주멕시코 한국문화원은 7월 10일(현지시간) 주멕시코 한국대사 관저에서 현지언론, 주멕시코 외교단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멕시코서 활동 중인 피아니스트 신현준 씨가 '밀양아리랑'과 현지 전통 민요 '시엘리토 린도(Cielito Lindo·작은 하늘)'를 재해석해 창작한 '시엘리토 린도 코레아노(Cielito Lindo Coreano)' 뮤직비디오 제작발표회를 열었다. 뮤직비디오에는 신현준 씨와 세계적 리코디언 연주가 오라시오 프랑코, 대금연주자 가민 등 지난 3월 중남미 최초로 멕시코에서 펼쳐진 대규모 아리랑 심포니 공연진이 출연했다. 밀양아리랑과 시엘리토 린도가 우리 전통악기인 생황과 서양 악기인 플루트 등을 통해 합주돼 아리랑의 세계화 가능성을 보여줬다. 멕시코 최고 절경 중 하나로 알려진 이에르베 엘 아구아(Hierve el agua·물이 끓는다)에서 프랑코가 플루트로 밀양아리랑을 연주하는 장면과 3명의 출연자가 마지막 부분에서 시엘리토 린도를 합주할 때 참석자들의 탄성이 터져 나왔으며, 일부 예술인들은 눈시울을 붉히며 영상이 상영된 모니터에서 눈을 떼지 못했다. ▶ 해당기사 더보기
-
- 국악정보
- 아리랑소식
- 아리랑뉴스
-
'밀양아리랑'과 '시엘리토 린도'로 하나 된 한국과 멕시코
-
-
5~12월 매월 둘째 주 화요일 윤회매문화관에서 월드뮤직그룹 루트머지 공연
- ‘윤회매에 스민 우리 음악’ 4~12월 매월 둘째 주 화요일자연의 울림 방식의 전통음악 진수 월드뮤직그룹 ‘루트머지’는 우리 문화유산이 처한 현실과 사회적 무관심 속에서 인정받지 못하는 가치를 재조명하고 일반 대중과 일상생활 속에서 함께하는 문화콘텐츠를 개발해 ‘우리 것, 우리 문화’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사회적 기업이다. 루트머지는 광주문화재단의 2018지역특화문화거점지원 사업에 선정되어 ‘윤회매에 스민 우리음악’으로 3월부터 12월까지 매월 둘째 주 화요일 저녁 7시 30분에 시작된다. 젊은 문화를 선도하는 광주 동구 양림동에 위치한 윤회매문화관에서 우리 음악에 대한 이야기가 있고, 접하기 어려운 양금에서 피리까지 다양한 국악기 연주가 함께 하는 ‘윤회매에 스민 우리음악’ 시즌 1을 통해 우리 전통음악의 향연이 이루어진다. ▶지도보기 특히 장비들을 사용하지 않고 옛날 우리 선조들이 사랑방에서 풍류를 즐겼던 자연의 울림 방식으로 전통음악의 진수를 보여준다. 루트머지 홍윤진 대표는 “대를 거듭하며 유지 전승 발전시킨 전통음악을 계승하고 있는 젊은 국악인들에게 공연의 기회를 제공하고, 젊은이들은 물론 관객층과 소통하며 호흡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4월10일 첫 공연 아쟁연주자 유세윤(국악그룹련대표), 대금연주자 임황철(나주시립국악단단원)의 연주를 시작으로 5월8일은 가야금,양금연주자 김한아(광주시립국악관현악단차석), 해금연주자 김민희(광주시립국악관현악단차석), 6월12일은 해금연주자 문보라(창작국악그룹그루대표), 판소리 서희선(루트머지단원), 7월10일은 가야금연주자 이정숙(광주시립국악관현악단수석), 대금,단소연주자 김형석(광주시립국악관현악단단원), 8월14일은 가야금병창 송은지(정읍시립국악단단원), 판소리 김찬미(정읍시립국악단단원), 9월11일은 가야금연주자 김성이(광주시립국악관현악단단원), 아쟁연주자 진성경(광주시립국악관현악단단원), 10월9일은 거문고연주자 박희현(광주시립국악관현악단단원), 생황연주자 신선민(창자국악그룹그루단원), 11월13일은 피리연주자 오영미(광주시립국악관현악단수석), 가야금병창 박혜선(퓨전앙상블국악보컬)이 연주한다. 윤회매문화관의 고즈넉한 한옥에서 느끼는 전통음악의 멋과 차 한잔의 여유. 정강임작가의 아기자기한 무대설치와 김산옥국악인의 맛깔스런 진행 다음작가의 작품이 함께하는 “윤회매에 스민 우리음악” 은 광주광역시 그리고 광주문화재단의 후원을 받아 진행된다. 문의 062-444-0767
-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
5~12월 매월 둘째 주 화요일 윤회매문화관에서 월드뮤직그룹 루트머지 공연
-
-
‘윤이상 100주년 음악제’에 국악, 사연은 ? (10월 22일 서울 장충동 경동교회 여해문화공간)
- 평화통일 기원 ‘윤이상 탄생 100주년 기념 음악제’에 ‘해금 플러스’가 가세했다. 10월 22일 오후 5시 서울 장충동 경동교회 에서 열리는 음악제에서 ‘비에 젖은 해금’, ‘밀양’, ‘헤이야’를 연주한다. ▶경동교회 지도보기 ‘해금플러스’는 해금 강은일(단국대 국악학과 교수), 콘트라베이스 고검재, 피리 김소엽, 피아노 채지혜로 이뤄졌다. ▶강은일 프로필 이날 무대는 홍종진 이화여대 명예교수(한국음악)의 대금연주 ‘청성자진한잎’으로 출발한다. 이어 ‘포시즌 앙상블’ 박민석(제1바이올린), 권명(제2바이올린), 안상희(비올라), 오주은(첼로), 조아라(피아노)가 ‘고풍의상’ ‘그네’ ‘나그네’ ‘참 아름다워라’를 피아노 5중주로 들려준다. 홍신자(웃는돌스튜디오 대표)의 소리와 권설후(사물놀이 한울임)의 장구는 청중에게 ‘외침’을 전한다. 추모 살풀이춤과 1990년대 평양 범민족통일음악회 현장 등은 영상으로 감상한다. 윤이상의 작품에는 국악의 정서가 깃들어 있다. 음악회를 이끄는 소프라노 윤인숙이 서양음악과 국악을 융합한 레퍼토리를 선보이는 이유다. ▶ 해당기사 더보기
-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
‘윤이상 100주년 음악제’에 국악, 사연은 ? (10월 22일 서울 장충동 경동교회 여해문화공간)
-
-
[KBS 국악한마당 방송안내] 11월5일 (土) 낮 12시10분 (신재희,정예진,정소희,꽃별,문응관 등)
- 이번 주 국악한마당은 단풍처럼 화사한 가야금 연주와열매처럼 옹골찬 노래 소리가 만난 가야금병창 무대 준비했습니다. 가야금병창의 전설적인 예인인 박귀희 명인의 제자 정예진 명인의 무대부터 가야금병창과 25현가야금의 화려한 연주가 더해진 <숙명가야금연주단>의 가야금병창... 그리고 11살 가야금병창 꿈나무 무대까지 이어집니다. 또한 가을에 어울리는 새로 나온 음반 소식과 함께 그 무대 미리 만나볼 수 있는데요.. 5년 만에 6집 음반을 발매한 감성 넘치는 해금연주자 꽃별 씨의 무대와 스승 서용석 명인에 대한 그리움을 담은 대금연주자 정소희 씨의 무대도 만나실 수 있습니다. 국악한마당과 함께 하시면서 포근한 주말 보내시기 바랍니다. ● 민요 <상주모심기소리, 신천안삼거리> 가야금병창/ 신재희 차보영 지유정 민아영 정미호 ● 함현상 편곡 <화초타령> 연주/ 숙명가야금연주단 장구/ 신승태 (가야금병창/ 유성실 박현주 김효정 25현가야금/ 강윤 구미나 홍정현 박수연) ● 함현상 편곡 <방아타령> 연주/ 숙명가야금연주단 장구/ 신승태 (가야금병창/ 유성실 박현주 김효정 25현가야금/ 강윤 구미나 홍정현 박수연) ● 단가 <백구가> 가야금병창/ 정예진 장구/ 정화영 ● 판소리 춘향가 中 <천자뒤풀이> 가야금병창/ 정예진 지유정 ▶ 꿈나무한마당 ● 단가 <호남가> 가야금병창/ 이주현 (초4) 장구/ 이규용 ▶ 새로 나온 음반 ● <서용석류 대금산조 中 중중모리, 자진모리> 대금/ 정소희 장구/ 김인수 ● 조용욱 작곡 <일렁이는 마음> 해금/ 꽃별 피아노/ 이건민 기타/ 유웅렬 양금/ 최휘선 ● 대금독주 <청성자진한잎> 대금/ 문응관
-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
[KBS 국악한마당 방송안내] 11월5일 (土) 낮 12시10분 (신재희,정예진,정소희,꽃별,문응관 등)
-
-
"서울돈화문국악당은 시민극장…부담없이 들르세요" - 김정승 서울돈화문국악당 초대 예술감독
- [인터뷰] 김정승 서울돈화문국악당 초대 예술감독예술극장보다 관객친화극장 지향마이크 없는 원칙…공연장·객석 가까이한식 만난 국악, 버스킹공연 등다채로운 국악콘텐츠 개발 초점"전통·미래 한국음악 만나는 장 되길" 서울 종로구 창덕궁 돈화문로에서 종로3가까지 이어지는 길을 ‘국악로’라고 부른다. 이곳에는 과거 조선성악회와 국악사양성소가 있었고 수많은 국악 명인이 거주했다. 국악을 교습하는 학원은 물론 국악기를 판매하는 상점도 밀집해 있었다. 한때 이 거리는 늘 국악인으로 북적거렸고 국악을 위한 소통의 공간으로 기능했다. 하지만 옛 명성은 어디로 가고 생기를 잃은 채 방치된 지 오래였다. 그러던 ‘국악로’가 최근 다시 살아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서울시가 2014년 남산과 북촌, 돈화문로를 연결하는 국악벨트를 조성해 전통음악의 메카를 복원하려는 계획을 세우면서부터다. 특히 창덕궁과 돈화문로가 만나는 지점에 자리잡은 ‘서울돈화문국악당’의 개관 소식은 국악인은 물론 국악로를 방문하는 시민과 외국인관광객의 흥미를 끌고 있다. 지난 9월 1일 성황리에 개관식을 마치고 본격 운영에 들어간 서울돈화문국악당의 김정승(43) 초대 예술감독을 만났다. 대금연주자이자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교수인 김 예술감독은 국립국악원 정악단에서 16년간 재직하면서도 ‘한국현대음악앙상블’의 창단멤버로 활동을 펼쳐왔다. 김 예술감독은 “전통음악은 물론 현대음악을 두루 경험했다”며 “정악과 정재에 국한하지 않고 이 시대와 소통하는 다채로운 국악을 보여주라고 나를 초대 예술감독으로 쓴 게 아닌가 싶다”고 말하며 웃었다. ▶ 김정승 프로필 해당 기사 더보기 ☞ http://goo.gl/pG8YOg ▲ 김정승 서울돈화문국악당 초대 예술감독은 “음악에 얽힌 뒷얘기나 역사를 들려주면 지루하게만 여기던 국악도 재밌게 다가선다”며 “퍼포먼스나 타장르와의 결합을 통해 우리음악이 동시대 관객과 가깝게 만날 수 있는 방법을 적극적으로 찾아볼 예정”이라고 말했다.
-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
"서울돈화문국악당은 시민극장…부담없이 들르세요" - 김정승 서울돈화문국악당 초대 예술감독
-
-
"'국악의 맛'살린다"…'국악벨트' 거점 '서울돈화문국악당'에 거는 기대 - 초대 예술감독 김정승 교수
- 초대 예술감독 김정승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교수 "'창덕궁 옆' 강점살려 다양한 콘텐츠 준비할 것" 서울 남산과 국악로(창덕궁~종로3가), 북촌을 잇는 '국악벨트'의 거점 서울돈화문국악당이 마침내 베일을 벗는다. 공사 마무리단계에 돌입한 돈화문국악당은 다음 달 시범공연, 6~7월 사전공연을 통해 채비를 마친 뒤 9월 본격 개관한다. 돈화문국악당은 국립국악원, 남산국악당에 이어 서울에 3번째로 생기는 국악 공연장이다. 이름은 창덕궁의 정문인 '돈화문'의 이름을 땄다. 돈화문국악당을 3년 동안 위탁, 관리하는 세종문화회관은 최근 김정승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교수(42)를 국악당 예술감독으로 임명했다. 2007년 남산국악당 개관 당시에는 별도의 예술감독이 없었다. 국악당 무대를 채울 콘텐츠를 제대로 채워나가겠다는 목표가 읽힌다. ▶ 김정승 프로필 대금연주자인 김 감독은 국립국악원 정악단에 16년간 재직하면서도 '한국현대음악앙상블'의 창단 멤버로 전통악기를 이용한 현대음악적 연주기법들을 고안해내는 등 전통과 현대음악을 아우르는 활동을 펼쳐왔다. 해당 기사 더보기 ☞ http://me2.do/xTR09N8o ▲ 서울돈화문국악당 초대 예술감독으로 선임된 김정승 한예종 교수는 "작지만 힘있는 공연장을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
"'국악의 맛'살린다"…'국악벨트' 거점 '서울돈화문국악당'에 거는 기대 - 초대 예술감독 김정승 교수
-
-
대금연주가 이주항, 11월 27일 국악 입문 지도서 '국악은 젊다' 발간
- ▶ 이주항 프로필 조선 최초의 여류 소리꾼이 탄생하기까지 동리 신재효와 진채선의 스토리를 담은 국악소재의 영화 '도리화가'로 국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국악을 바라보는 대중의 시선 또한 변해가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국악에 관심 있는 국악 초보자를 위한 입문서가 등장해 눈길을 끈다.국악인 이주항이 11월 27일 국악에 입문하려는 초보자들을 위해 도서 ‘국악은 젋다’를 출간한다. ‘국악은 젊다’는 저자인 국악인 이주항이 본인의 수많은 공연과 강의 경험뿐만 아니라 초보자들의 실제 경험을 밑바탕에 두고, 그들이 정말 필요로 하는 국악의 핵심만을 간결하게 담아냈다.책의 I부는 저자 자신의 실제 경험을 밑바탕으로 국악 초보자라면 누구나 공감할 수 입문 과정의 에피소드로 독자의 눈길을 끈다. 또한 연주자답게 악기의 구매와 관리와 같은 실질적 팁을 공개하며 입문자들의 가려운 곳을 긁어준다. 단순히 국악에 대한 설명을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독자의 눈높이와 실제 생활 속에서 국악이 작용하는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렇게 ‘국악은 젊다’는 국악을 향한 우리의 자신감을 높여주며, 국악의 이론과 실제를 여러 에피소드 속에서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도록 도와준다. 해당 기사 더보기 ☞ http://me2.do/5voXbfNy
-
- 국악정보
- 국악인소식
-
대금연주가 이주항, 11월 27일 국악 입문 지도서 '국악은 젊다' 발간
공연소식 검색결과
-
-
9월 25일 국립부산국악원 화요공감무대, 박환영 대금 연주회
- 국립부산국악원(원장 박영도)은 오는 2012년 9월 25(화) 오후 7시 30분, 소극장(예지당)에서 예인과 함께하는 우리문화 제103회 화요공감무대 “박환영 대금연주회”를 개최한다.박환영은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제례악 및 중요무형문화재 제45호 대금산조, 중요무형문화재 제72호 진도씻김굿 이수자로써 제3회 전국국악경연대회 기악부 1등, 제3회 동아국악콩쿨 대상 등 화려한 수상 이력을 가지고 있다. 현재 부산대학교 예술대학 한국음악학과 교수로 재직 중인 그는 국립국악원 정악연주단원과 서울시국악관현악단 수석, 경기도립국악단 관악악장을 역임하였다. 관련정보 더보기 --> http://bseconomy.com/atc/view.asp?P_Index=8481
-
- 공연소식
- 부산,경남
-
9월 25일 국립부산국악원 화요공감무대, 박환영 대금 연주회
-
-
최고명인, 5월~12월까지 노원문화예술회관에서 '춘하추동' 명품 국악공연 펼쳐
- 명인들의 혼을 담은 원형 그대로의 공연을 듣고 보다보면 속안에서 뭔가 말할 수 없는 느낌이 솟구쳐 오른다. 한과 신명을 담은 전통예술의 깊은 숨결과 아름다운 울림~고귀한 전통과 맥을 지키고 이어온 소리와 춤사위를 고스란히 느낄 수 있는 소박한 아름다움이 깃든 명품 무대, 가까운 노원문화예술회관에서 만나보자. 노원구(구청장 김성환)는 국악 최고 명인들이 춘하추동(春夏秋冬) 테마로 4회에 걸쳐 ‘최고명인 춘하추동’ 명품 국악시리즈 공연을 펼친다. 구는 이런 공연을 마련하게 된데는 주민들에게 우리 전통예술이 현대인의 감성과 충분히 소통할 수 있다는 것을 알리고 그 예술적 가치와 정서적 감흥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5월 17일(春)에는 대금연주의 일인자 죽향 이생강 명인이 단소산조, 대금산조, 태평소시나위 등 뛰어난 연주기량으로 다양한 전통음악을 들려준다. 8월17일(夏)에는 명창 김영임씨가 경기민요, 서울 굿 등 시름도 한도 잊을 수 있는 구수한 소리 가락을 들려준다. 10월19일(秋)에는 명무 임이조, 진유림, 이정희 3인방이 나서 한량무 살풀이 도살풀이 승무 입춤 등 자연스런 어깨춤과 맛깔스런 발디딤, 표정이 어우러진 공연을 보여준다. 올 한해 마지막달 12월7일(冬)에는 적벽가 등 판소리의 명창 김일구씨가 아쟁산조, 가야금 산조, 판소리 등 우리 민족의 깊은 내면의 혼을 담은 소리를 들려준다. --> 아시아경제 박종일 기자 해당기사 원문 보기
-
- 공연소식
- 서울
-
최고명인, 5월~12월까지 노원문화예술회관에서 '춘하추동' 명품 국악공연 펼쳐
-
-
국립국악원, ‘창작국악축제- 거장,그들이 꿈꾼 한국음악’ 선보여
- --> 공연정보 자세히 보기 국립국악원(원장 이동복, www.gugak.go.kr)은 오는 4월19(목), 20(금) 19시30분에 ‘창작국악축제-거장, 그들이 꿈꾼 한국음악’을 서울 서초동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선보인다. 이번 공연은 이미 작고한 창작국악작곡 1세대인 이성천(1936~2003/보관문화훈장 수상, KBS국악대상 작곡상 수상, 세종문화상 수상), 이상규(1944~2010/대한민국 작곡상 대통령상 수상, KBS국악대상 수상), 백대웅(1943~2011/대한민국작곡상 대상, KBS국악대상 작곡상 수상)의 작품을 중심으로 펼쳐진다. 1960년대부터 시작된 국악작곡의 발전에 가장 큰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는 3인의 작품을 재조명함으로써 창작국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300여곡의 국악작품을 작곡하였으며, 특히 21현금을 고안해 다현(多絃) 가야금의 시대를 연 이성천은 국립국악원장, 서울대학교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자연을 노래하는 아름다운 작품을 많이 남겼고, 청렴하고 자연을 사랑하여 고죽지절(孤竹之節)의 선비작곡가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음악의 바다라는 뜻을 지닌 강해(腔海)라는 호를 얻은 이상규는 수많은 국악관현악곡을 포함해 400여곡의 국악곡을 작곡했고, 대금연주, 지휘 등 국악계 전반에 걸쳐 활발한 활동을 했다. 서양식 오선보를 국악에 본격적으로 활용한 백대웅은 가야금의 음역별 특성에 맞춰 편곡한 파헬벨의 ‘캐논’으로 영화와 광고 등 다양한 예술 장르에서 사랑받으며 한국음악과 서양음악의 경계를 허물었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해당기사 더 보기
-
- 공연소식
- 서울
-
국립국악원, ‘창작국악축제- 거장,그들이 꿈꾼 한국음악’ 선보여
-
-
청주시립국악단원, 여성국악팀 '희아나지' 결성, 2월28일 첫 콘서트
- "국악세계화 도전할 것"... 청주시립국악단 김명희, 이윤아, 방혜나씨와 작곡가 송안지씨가 여성국악팀 '희아나지'를 결성해 폭넓고 다양한 장르의 음악세계로 국악의 세계화에 도전한다.팀명 '희아나지(姬我娜志)'는 대금연주자 김명희(姬), 피리연주자 이윤아(我), 해금연주자 방혜나(娜), 작곡가 송안지(志)의 이름 끝 자를 모아 만든 것으로 '아름다운 여성들이 뜻을 모아 나아간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이들은 올해로 창단 22주년이 된 여성국악실내악단 '다스름'의 멤버로 만나, 지난 4년 동안 호흡을 맞추며 음악적 교감을 나눠왔다.--> 충북일보 해당기사 더 자세히 보기
-
- 공연소식
- 대전,충청
-
청주시립국악단원, 여성국악팀 '희아나지' 결성, 2월28일 첫 콘서트
국악동영상 검색결과
-
-
[창작국악 동영상] 대금연주 '편지' (작곡 안태상) - 대금연주가 서정미
- ▶ 서정미 프로필 서로 간의 소통이 단절된 삭막한 현대사회. 사랑하는 이가 보낸 편지에 담겨있는 순수한 가치와 정겨운 정서를 대금과 기타의 깊은 음색으로 표현한 창작국악곡입니다.
-
- 국악동영상
- 신국악
- 창작국악
-
[창작국악 동영상] 대금연주 '편지' (작곡 안태상) - 대금연주가 서정미
-
-
[국악동영상] 경기민요 연곡 '긴아리랑.노랫가락.태평가.방아타령' - 대금연주 '원완철' (장구 김태영)
- 경기민요의 대표적인 민요들을 연곡 형식의 대금독주로 구성한 곡이다. 대금 특유의 기교와 청아한 소리를 통해 색다른 민요의 멋을 느낄 수 있다. ▶ 원완철 프로필
-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기악
-
[국악동영상] 경기민요 연곡 '긴아리랑.노랫가락.태평가.방아타령' - 대금연주 '원완철' (장구 김태영)
-
-
[국악동영상] 대금연주 '백다솜' - 보이지 않는 (Invisible)
- ▶ 백다솜 프로필 서울돈화문국악당에서 라이브로 펼쳐진 ‘보이지 않는’ 은 현대적이고 실험적인 음악의 창작자이자 연주자인 백다솜의 대금과 정주의 매력을 물씬 느낄 수 있다. 정주는 국악기 중 타악기로 진도씻김굿 등 남도지방 무악에서 쓰이는 금속타악기다. 여음이 길고 맑고 높은 소리가 나며, 근래에 와서는 창작 작품에 자주 활용되고 있다.
-
- 국악동영상
- 신국악
- 창작국악
-
[국악동영상] 대금연주 '백다솜' - 보이지 않는 (Invisible)
-
-
[대금연주 동영상] 서용석류 대금산조 - 정소희
- 서용석류 대금산조 中 중모리~자진모리 (대금 정소희, 장구 김인수) ▶ 정소희 프로필 여러 악기에 능했던 故 서용석명인의 음악적 특징을 엿볼 수 있는 산조로 제자 정소희가 스승을 기리는 애틋한 마음을 담아 연주합니다.
-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산조
-
[대금연주 동영상] 서용석류 대금산조 - 정소희
-
-
[국악과 대중음악의 컬래버레이션] 조관우×오경수 - '님은 먼곳에'
- 국내 최고 드러머(김선중)와 대금연주가(오경수)의 연주에, 최고의 음색장인(조관우)의 가창이 더해진 무대로 큰 인기를 끌었다. 조관우 사촌동생 ▶ 오경수 프로필
-
- 국악동영상
- 신국악
- 국악(풍)가요
-
[국악과 대중음악의 컬래버레이션] 조관우×오경수 - '님은 먼곳에'
-
-
[대금연주] 영화 서편제 OST '천년학' - 대금이누나
- 대금 연주곡 천년학 (千年鶴) - 1993년 영화 '서편제' OST로, 싱어송라이터 김수철 작곡이다. ▶ 김지현 (대금이누나) 프로필
-
- 국악동영상
- 신국악
- 창작국악
-
[대금연주] 영화 서편제 OST '천년학' - 대금이누나
-
-
한충은, 이영섭 대금연주 - 달빛의 섬 ‘진도아리랑’
- 진도아리랑과 노르웨이 민요를 접목시켜 편곡한 곡으로 콘서트 오늘에서 한충은과 이영섭이 함께 연주한다. ▶ 한충은 프로필 ▶ 이영섭 프로필 대금: 한충은, 이영섭 / 기타1: 한현창 / 기타2: 김정환 / 타악: 조재범, 윤서경 / 신디사이저/ 양승환
-
- 국악동영상
- 신국악
- 퓨전(크로스오버)
-
한충은, 이영섭 대금연주 - 달빛의 섬 ‘진도아리랑’
-
-
상령산 - 대금 김상준, 거문고 고보석 (김상준의 대금연주회 '화이부동')
- 고즈넉한 긴호흡의 '평조 다스름'으로 시작된 이번 무대의 첫 곡은 '상령산'이다. 거문고와 함께하는 평조회상으로 대금 연주자 김상준은 마치 '취태령지곡'의 상령산을 연주하듯 멋스럽게 풀어서 연주하는 ‘풀가락’으로 휘몰아 칠 것이다. 어느 정도 경지에 올라야 비로소 해탈의 자유를 표현 할 수 있듯이, 김상준은 오늘 원가락을 넘나들며 풀어서 연주한다는 ‘해탄’ 가락을 선보인다. ▶ 김상준 프로필 ▶ 고보석 프로필 ○ 주최 및 촬영/국립국악원 [National Gugak Center]
-
- 국악동영상
- 정악
- 궁정악.풍류
-
상령산 - 대금 김상준, 거문고 고보석 (김상준의 대금연주회 '화이부동')
-
-
두 대의 대금과 가야금을 위한 린 - 대금 , 가야금 곽재영
- 김대성 작곡 대금연주자 부부 이결, 이나래
-
- 국악동영상
- 신국악
- 기타
-
두 대의 대금과 가야금을 위한 린 - 대금 , 가야금 곽재영
국악인프로필 검색결과
-
-
김성현 프로필 - 대금연주가
- ☆ 김성현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대금 연주 수련과정ㅣ학력 국립국악중학교 및 국립국악고등학교 졸업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예술사 졸업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예술전문사 졸업국가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제례악 전수자 활동 경력 현재 국립국악원 정악단 단원 수상 경력 2012 제32회 온나라국악경연대회 대금부문 금상2017 제27회 KBS국악대경연 전체 대상 홈페이지ㅣSNS https://www.gugak.go.kr [국립국악원 홈페이지]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_gykYk8_1VY [대금독주 '상령산풀이']https://youtu.be/VAqGR4IQEKE [국악찬양 - 김성현(대금), 김성훈(피리)] 기타 국립국악원 정악단 피리 단원인 김성훈의 동생이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국악인 측에서 직접 제공한 자료 또는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정리한 내용이며, 공개된 정보를 수집, 정리한 것은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가,나,다
-
김성현 프로필 - 대금연주가
-
-
김철진 프로필 - 대금연주가
- ☆ 김철진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대금 연주 수련과정ㅣ학력 전통예술고등학교 졸업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예술사 졸업 및 예술전문사 수료 활동 경력 현재 국립국악원 정악단 대금 정단원2013년 한국예술종합학교 대금앙상블 ‘취’ 제1회 정기연주회2013년 한국예술종합학교 한-중 교류연주회2013년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박물관! 춤추고 노래하다’2014년 한국예술종합학교 대금앙상블 ‘취’ 제2회 정기연주회2015년 한국예술종합학교 대금앙상블 ‘취’ 제3회 정기연주회2016년 국립국악원 금요공감 ‘봉덕이 찾기’2016년 음악극 ‘인선왕후’ 수상 경력 2015 제35회 온나라국악경연대회 대금부문 금상2015 제31회 동아국악콩쿠르 일반부 대금부문 금상 홈페이지ㅣSNS https://ko-kr.facebook.com/empalll [페이스북]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ym0I28w2ISM [대금합주곡 ‘대풍류’ - 김면수,김철진,심성욱(대금), 김태현(소금)]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국악인 측에서 직접 제공한 자료 또는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정리한 내용이며, 공개된 정보를 수집, 정리한 것은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가,나,다
-
김철진 프로필 - 대금연주가
-
-
강병하 프로필 - 대금연주가
- ☆ 강병하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대금연주, 타악연주, 태평소연주가 수련과정ㅣ학력 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 졸업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사 졸업 활동 경력 수상 경력 2017 제33회 동아국악콩쿠르 일반부 대금부문 금상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pDtzhwHePsE [이생강류 대금산조]https://youtu.be/b4QsJ8UuZx8 [태평소 시나위] 기타 강원도무형문화재 제18호 원주매지농악 강성태 명예보유자의 손자이자 강영구 보유자의 아들이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국악인 측에서 직접 제공한 자료 또는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정리한 내용이며, 공개된 정보를 수집, 정리한 것은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가,나,다
-
강병하 프로필 - 대금연주가
-
-
박수현 프로필 - 대금연주가
- ☆ 박수현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대금 연주 수련과정ㅣ학력 국립국악중학교 및 국립국악고등학교 졸업이화여자대학교 한국음악과 졸업 활동 경력 서울시청소년국악단 수료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청춘 청어람 협연대전연정국악원 젊은국악 협연 2020 박수현의 서용석류 대금산조 싱글앨범 발매 수상 경력 2017 제33회 동아국악콩쿠르 일반부 은상 2019 국악대학전 산조부문 전문가평가상2020 제14회 21c한국음악프로젝트 은상 (온새미로)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zv91_esSQIA [산조대학전 - 서용석류 대금산조 (고수 오예빈)]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국악인 측에서 직접 제공한 자료 또는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정리한 내용이며, 공개된 정보를 수집, 정리한 것은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라,마,바
-
박수현 프로필 - 대금연주가
-
-
조웅희 프로필 - 대금연주가
- ☆ 조웅희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대금연주 수련과정ㅣ학력 수원대학교 국악학과 졸업서울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악학과 석사국가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제례악 전수자 활동 경력 제36회 한국정악원 신인연주회 독주 (국립국악원예악당)서울시 2019 거리공연단 아티스트 활동서울 용산구 공연이 있는 거리 아티스트 활동2022서울국악축제 '지신의 길을 펼치다' 사업 참여현) 성동문화재단 청년예술인 대금연주자 수상 경력 제21회 서울전통공연예술경연대회 서울특별시장상 종합대상제49회 춘향국악대전 우수상제1회 진도가무악대전 최우수상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기타 조웅희는 우리나라 전통음악은 물론 다양한 음악의 전통을 올곧게 발전시키고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는 대금연주자이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국악인 측에서 직접 제공한 자료 또는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정리한 내용이며, 공개된 정보를 수집, 정리한 것은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
조웅희 프로필 - 대금연주가
-
-
박병재 프로필 - 대금연주가
- ☆ 박병재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대금연주 수련과정ㅣ학력 서울대학교 국악과 졸업 활동 경력 프로젝트 '마당' 대표한국문화예술위원회 AYAF 차세대 예술인력퓨전국악그룹 '리딩톤' 동인 수상 경력 제12회 명창박록주전국국악대전 학생부 종합대상제28회 동아국악콩쿠르 학생부 대금부문 금상제16회 부평전국국악경연대회 명인부 기악부문 금상제4회 영암김창조전국국악대전 일반부 관악부문 최우수상제37회 온나라국악경연대회 대금부문 금상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kW-a6qo_zzI [육자배기,흥타령,시나위 (이혜리,윤서경,임도경,박병재,이승훈)]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국악인 측에서 직접 제공한 자료 또는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정리한 내용이며, 공개된 정보를 수집, 정리한 것은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라,마,바
-
박병재 프로필 - 대금연주가
-
-
채광자 프로필 - 대금연주가
- ☆ 채광자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대금연주 수련과정ㅣ학력 조창훈, 서용석 선생 사사전남대 국악과 졸업 조선대 대학원 교육학 박사 활동 경력 현재 광주시립국악관현악단 단원대금연주단 여울림 대표 수상 경력 2022 제40회 전국국악대제전 종합대상 (대통령상)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4HvR2JAm_Yw [대금독주회 '회상']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국악인 측에서 직접 제공한 자료 또는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정리한 내용이며, 공개된 정보를 수집, 정리한 것은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
채광자 프로필 - 대금연주가
-
-
임정현 프로필 - 대금연주가
- ☆ 임정현 프로필 (충남 천안 출생) 사진 전공ㅣ분야 대금연주 수련과정ㅣ학력 배병민, 변제남, 안성우, 이공호, 이생강 선생 사사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 졸업용인대학교 국악과 졸업한양대학교 대학원 국악과 석사졸업한양대학교 대학원 국악과 박사 과정 재학국가무형문화재 제45호 대금산조 전수자국가무형문화재 제1호 종묘제례악 전수자 활동 경력 천안국악협회 동인2021년 제1회 임정현 대금독주회 ‘정심’ (정효아트센터 음악당) 수상 경력 제9회 담양전국국악대전 일반부 종합대상 장관상제4회 곡성전국종합예술대전 명인부 우수상제35회 전남전국국악경연대회 명인부 우수상제8회 전국국악경연대회 명인부 최우수상 홈페이지ㅣSNS https://instagram.com/kkanye1 [인스타그램]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V1uhKid58M4 [서용석류 대금산조]https://bit.ly/3MEUmAp [대금 임정현 유튜브채널]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국악인 측에서 직접 제공한 자료 또는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정리한 내용이며, 공개된 정보를 수집, 정리한 것은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
임정현 프로필 - 대금연주가
-
-
하동민 프로필 - 대금연주가
- ☆ 하동민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대금연주 수련과정ㅣ학력 서울국악예술고등학교 졸업중앙대학교 국악대학 한국음악학사 졸업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음악학석사 졸업국가무형문화재 제45호 대금산조 이수자 활동 경력 국립 정동극장 예술인턴 역임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 강사 역임중앙대금앙상블 대표 역임현재 중앙국악관현악단 상임단원월드뮤직밴드 도시 대표제12회 21C한국음악프로젝트 금상 수상곡 '매풍' 작곡 및 실연. 앨범 발매아리랑 창작곡 공모 <아리랑x?> 최우수상 수상곡 '달그림자' 작사, 작곡 및 실연. 앨범 발매'L.G.F.F.' 작곡 및 앨범 발매'요운' 작곡 및 앨범 발매풍류대장 episode3. '다이너소어' 편곡 및 앨범 발매풍류대장 episode8. '화' 편곡 및 앨범 발매 수상 경력 제18회 전국학생국악경연대회 관악부분 최우수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제9회 영광법성포단오제 전국국악경연대회 일반부 기악부분 장원 (국립국악원장상)제17회 전국예술대회 전체대상 (국회의장상)제12회 21C한국음악프로젝트 금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주최 아리랑 창작곡 공모 <아리랑x?> 최우수상문화가 있는 날, 청춘마이크 강원권 최우수 아티스트 선정 홈페이지ㅣSNS http://www.instagram.com/dm_hahaha [인스타그램]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_cKey0NXaCE [월드뮤직밴드 도시 편집영상]https://www.youtube.com/user/koreanfig [하동민 유튜브채널] 기타 하동민은 오늘을 노래하는 대금연주가이다. 대금을 비단 전통악기가 아닌 오늘의 여러분을 위로할 수 있는 현재의 악기로써 연주하고 있으며 연기와 노래, 무용 등 타 장르를 접목한 종합 예술적 시도와 기획, 작곡, 극작을 병행하고 있다. 최연소로 국가무형문화재 제45호 대금산조 이수자격을 취득하였으며 현재 월드뮤직밴드도시의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국악인 측에서 직접 제공한 자료 또는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정리한 내용이며, 공개된 정보를 수집, 정리한 것은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카,타,파,하
-
하동민 프로필 - 대금연주가
-
-
정동민 - 대금연주가
- ☆ 정동민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대금연주 수련과정ㅣ학력 국립국악고등학교 졸업한양대학교 및 동대학원 졸업 활동 경력 Sonoma state University ‘Koren traditional music concert’ 초청공연세종국악관현악단 ‘2020 신춘음악회’ 협연 2022 창단 30년 세종국악관현악단 '새로운 기획공연 8樂八락' 협연 수상 경력 제16회 전국승달국악대제전 관악 최우수상제27회 동아국악콩쿠르 대금부문 은상제49회 대한민국 춘향국악대제전 종합대상 (국무총리상)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jRORRbfbQQ4 [대금협주곡 '비류' - 대금 정동민, 지휘 박상우, 작곡 황호준]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국악인 측에서 직접 제공한 자료 또는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정리한 내용이며, 공개된 정보를 수집, 정리한 것은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
정동민 - 대금연주가
관련사이트 검색결과
-
-
최성남의 대금세계
- 대금연주가 최성남, 대금교본, 대금고르기, 대금 동영상보기 등 http://www.daegum.pe.kr
-
- 관련사이트
- 국악인(팀)
-
최성남의 대금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