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동영상Home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실시간
실시간 민속악(종합.무용)
-
-
동래한량무 - 부산시 무형문화재 제14호
- 2016년 제18회 김순애 우리춤 정기공연 "춤과 함께가는 인연" 무수 :김갑룡 김동오 문용민 박소산 정재성 김이대악사 : 전진삼(쇠) 김덕상(호적) 공정희(장구) 김예신(북) 장경화(징)촬영 : 채우 권동수 ▣ 동래한량무는 양반들이 일상생활 속에서의 멋과 여유로움을 즐기며 추었던 춤으로서 춤의 형태는 동래덧배기춤이 그 바탕이 된다. 특히 온천을 중심으로 다양한 놀이문화가 발달했던 동래 지방에서 행해진 춤과 노래는 일반 서민의 대중적 수준을 넘어 예술적 차원에 까지 도달한 부산지역 대표적인 민속춤 중의 하나이다.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한국무용.전통/창작
-
동래한량무 - 부산시 무형문화재 제14호
-
-
동래입춤 - 故 문장원
- 故 문장원 명인은 마당에서 추는 국가무형문화재 제18호 '동래야류' 인간문화재일 뿐 아니라 기방에서 추는 즉흥춤의 달인으로도 유명했으며 "마지막 동래 한량'으로 불렸던 부산 춤의 역사였다 ⊙ 동래입춤은 ‘허튼춤’으로도 불리는데, 술자리에서 흥이 나면 누구나 자연스레 어깨를 들썩들썩, 두 팔을 나비처럼 펄럭펄럭, 두 발을 높이 들어 흥과 멋이 듬뿍 묻어나게 추던 춤이다.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한국무용.전통/창작
-
동래입춤 - 故 문장원
-
-
경기굿 -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 경기지역의 성주굿 음악을 재국성한 무대로, ‘당악’과 ‘대취타’를 시작으로 신을 청하기 위해 부르는 무가 ‘청배’, ‘가래조’ 그리고 재복과 집안은 평안을 기원하는 ‘대감거리’를 서울, 경기음악 특유의 경쾌하고 섬세한 가락으로 표현한다.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굿.무악.종교
-
경기굿 -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
-
남사당놀이 中 살판 - 남사당놀이보존회
- 국가무형문화재 제3호 ▶ 남사당놀이보존회 홈페이지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놀이.종합
-
남사당놀이 中 살판 - 남사당놀이보존회
-
-
1350년 만에 부활한 신라고취대
- 신라고취대는 신라시대에 타악기와 관악기로 구성하여 국가 길흉사, 사신 영접 등 의식 행사, 왕이나 귀족 행렬, 전투때 군사들의 사기를 높이고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했던 악대로 1350년 만에 부활하여 2016년 2월 경주에서 출범식을 했다.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놀이.종합
-
1350년 만에 부활한 신라고취대
-
-
국립부산국악원 2017 새해맞이 굿시리즈 '동해안별신굿'
- 국가무형문화재 제 82-1 호 동해안별신굿동해안별신굿은 동해안의 어촌 마을에서 마을의 수호신을 모시고 마을의 평화와 안녕, 풍요와 다산, 배를 타는 선원들의 안전을 빌기 위해 무당들을 청해다가 벌이는 대규모 굿이다. 풍어제, 풍어굿, 골매기당제라고도 하는 동해안 별신굿은 1년 또는 2~3년마다 열린다. 굿은 집안 대대로 굿을 해 온 세습무당이 하며, 부정굿·골맥이청좌굿·당맞이굿·화해굿·각댁성주굿·천왕굿·심청굿·손님굿·황제굿·부인곤반굿·용왕굿·꽃노래굿·대거리굿 등의 순서로 진행된다. 굿을 하는 시기는 마을마다 다르나 대체로 3∼5월, 9∼10월 사이에 주로 거행되며 굿청의 장식이 화려한데 비해 무당들이 입는 의상은 비교적 소박하다. 동해안별신굿은 굿에서 추는 춤이 다양하고 익살스런 대화와 몸짓 등 오락성이 강하다. ▶ 자료 출처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굿.무악.종교
-
국립부산국악원 2017 새해맞이 굿시리즈 '동해안별신굿'
-
-
울산학춤 - 김성수 (백성스님) ★ 울산학춤보존회 명예회장
- 울산학춤보존회 다음카페 ▶ 울산학춤보존회 다음카페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한국무용.전통/창작
-
울산학춤 - 김성수 (백성스님) ★ 울산학춤보존회 명예회장
-
-
검무 - 김근희 외 6인
- 김근희, 강연진, 임영랑, 전영선, 박은진, 강미선, 김가온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한국무용.전통/창작
-
검무 - 김근희 외 6인
-
-
북한무용 '쟁강춤' - 라온 최신아 예술단
- 최신아예술단 홈페이지 ▶ https://cusina.modoo.at 북한의 대표적인 춤인 쟁강춤은 팔에 쟁강쟁강 소리 나는 쇠팔찌를 끼고 추는 민속 무용이다.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한국무용.전통/창작
-
북한무용 '쟁강춤' - 라온 최신아 예술단
-
-
승무 - 오은희
- ▶오은희 프로필 아쟁/김영길, 피리/황광엽·장수호, 해금/김선구, 대금/김충환, 장고/조용복, 징/이재하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한국무용.전통/창작
-
승무 - 오은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