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동영상Home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실시간
실시간 민속악(종합.무용)
-
-
부정거리 - 강영임 (2017 서울새남굿 제22회 정기발표회)
- 강영임 - 국가무형문화재 제104호 서울새남굿 이수자, 한양굿예술연구보존회 이사장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굿.무악.종교
-
부정거리 - 강영임 (2017 서울새남굿 제22회 정기발표회)
-
-
호남검무 - 정해림, 이윤혜, 이민아, 김주연
- 우봉 이매방 선생의 검무는 조부인 이대조류를 잇고 있는 호남검무이다. 광주 호남권을 중심으로 전승되어 왔으며 한말부터는 이 지역 명무로 이름난 이대조, 박영구, 이창조 등에게 전승되었다. 특히 호남 검무는 섬세한 기예와 날렵한 춤사위가 돋보이는 춤이다.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한국무용.전통/창작
-
호남검무 - 정해림, 이윤혜, 이민아, 김주연
-
-
국립부산국악원 2017 새해맞이 굿시리즈 '제주칠머리당 영등굿'
- ‘제주 칠머리당 영등굿’은 바다의 평온과 풍작 및 풍어를 기원하기 위해 음력 2월에 제주에서 시행하는 세시풍속이다. 제주시 건입동(健入洞)의 칠머리당에서 열리는 제주 칠머리당 영등굿은 제주도 전역에서 이루어지는 유사한 굿 가운데 대표적인 의식이다. 제주의 마을 무당들은 바람의 여신(영등 할망), 용왕, 산신 등에게 제사를 지낸다. 영등환영제에는 신령을 부르는 의례, 풍어에 대한 기원, 조상신을 즐겁게 하기 위한 3개의 연희 등이 포함되어 있다. 영등환영제가 시작된 지 2주 뒤에 열리는 영등송별제에는 굿에 쓸 술과 떡을 사당으로 가져오고, 용왕을 맞아들이는 의례인 요왕맞이를 하며, 수수의 씨를 가지고 점(點)을 치는 씨점을 치고, 마을 노인들이 짚으로 만든 배를 바다로 내보내는 행사 배방선(送神) 등을 치른다. ▶ 2009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록 (국가무형문화재 제71호 제주칠머리당영등굿 예능보유자 김윤수 심방)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굿.무악.종교
-
국립부산국악원 2017 새해맞이 굿시리즈 '제주칠머리당 영등굿'
-
-
범패와 작법무 (인천무형문화재 제10호) - 능화스님
- 능화스님 -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0호 범패(梵唄)와 작법무(作法舞) 보유자 (2002년 지정) ☆ 인천지역의 범패와 작법무는 해안지역의 영향을 받아 춤사위의 곡선이 굵고 역동적이다. 능화스님은 유려한 춤사위로 다른 지역과 구분되는 인천의 지역적 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다.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굿.무악.종교
-
범패와 작법무 (인천무형문화재 제10호) - 능화스님
-
-
승무 - 대전무형문화재 제15호 예능보유자 '송재섭'
- 송재섭 (법우스님) - 우리문화예술원 원장, 조계종 현불사 주지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한국무용.전통/창작
-
승무 - 대전무형문화재 제15호 예능보유자 '송재섭'
-
-
발탈 - 국가무형문화재 제79호
- 발탈은 발에다 탈을 걸고 앉아 재담꾼과 함께 연행하는 것으로 그 시원은 확실히 알 수 없으나 이미 한말 때부터 있었던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발탈은 사람이 직접 출연하는 탈춤과 인형이 보여주는 재담꾼들의 무대 공연물의 하나로 전통예능의 가치를 인정받아 1983년에 국가무형문화재 제79호로 지정되었다.이 영상물에는 발탈의 역사적 유래, 발탈제작과정, 발탈연행 전과정, 전승현황 등 발탈에 관한 내용을 상세히 수록하고 있다. : 국립문화재연구소 1983년 이동안 선생이 초대 발탈 예능보유자로 인정됐고, 이어 제자였던 박해일 (2007년 작고), 조영숙, 박정임 선생이 보유자로 인정됐다.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놀이.종합
-
발탈 - 국가무형문화재 제79호
-
-
진도씻김굿 中 제석굿 - 최잔디
- 2017년 11월15일 최잔디 예술전문사 졸업연주회 ▶ 최잔디 프로필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굿.무악.종교
-
진도씻김굿 中 제석굿 - 최잔디
-
-
동해안굿한마당 - 이경희, 정종근
- 무녀 이경희, 장구 정종근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굿.무악.종교
-
동해안굿한마당 - 이경희, 정종근
-
-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 국가무형문화재 제50호 영산재 범패 - 영산재보존회
- 2016년 7월 30일 서울 서대문구 봉원사 '제14회 서울연꽃문화축제' ▶영산재보존회 홈페이지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굿.무악.종교
-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 국가무형문화재 제50호 영산재 범패 - 영산재보존회
-
-
허튼춤 - 故 한진옥
- 전남 옥과 출신이며 1991년 태어나 9세에 무용계에 입문하여 당시 명무로 이름을 떨치던 신갑도, 이장선, 이대조 스승들에게 사사를 받았으며 오랜 지도자 생활을 하다 1991년 작고하였다. ◈ 허튼춤은 흥과 멋이 춤의 주체이며, 분위기에 따라 흥과 멋을 조율하면서 출 수 있는 즉흥성을 발휘한다. 특별한 춤옷이나 소도구가 필요치 않으며 장소에 따라 또는 분위기에 따라 얼마든지 춤의 전후순서를 바꾸어 출 수 있는 점이 이 춤의 장점이다.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한국무용.전통/창작
-
허튼춤 - 故 한진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