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동영상Home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실시간
실시간 민속악(기악)
-
-
[국악동영상] 김일구류 아쟁산조 - 성한여름
- 김일구류 아쟁산조는 소리적 요소가 강하고 가장 예술적이며 남성적 매력이 넘치는 선법과 표현력을 고루 갖춘 곡으로 변화무쌍한 음색의 조화와 고도의 기교를 필요로 하는 선율로 짜여있는 곡이다. 이번 연주는 2018년 4월 3일 한국문화의집 코우스에서 주최한 율객 프로그램으로 성한여름이 연주한다. ▶ 성한여름 프로필
-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산조
-
[국악동영상] 김일구류 아쟁산조 - 성한여름
-
-
웃다리농악 - 대전시무형문화재 제1호
- ▶ 대전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호 대전웃다리농악보존회 (회장 송덕수 예능보유자)
-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농악.사물놀이
-
웃다리농악 - 대전시무형문화재 제1호
-
-
대금산조 '죽향' - 김경애
- 김경애 (예울국악단 대표) 국가무형문화재 제45호 대금산조 이수자 1983년 전주대사습놀이 장원 1988년 전국국악대제전 특장부 장원 (대통령상) 2015년 제16회 경북예술상 대상 수상
-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산조
-
대금산조 '죽향' - 김경애
-
-
기악합주 '신뱃노래' - 전남도립국악단
- 남도의 대표 민요 중 하나인 ‘신뱃노래’를 기악합주로 풀어낸 작품이다. 신명을 더하는 삼현육각 합주가 돋보이는 곡이며, 민요로 부르는 신뱃노래와는 또 다른 매력을 느낄 수 있다. 기악 정선옥・이영아・정윤해(가야금) 김주란・문미라(거문고) 조자영・이상동・윤정아(피리) 김대성・윤암현・강원집(대금) 김혜숙・강아라・김지향(해금) 한명화・신정민(아쟁) 공병진・박상준(타악)
-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기악
-
기악합주 '신뱃노래' - 전남도립국악단
-
-
국립국악원 목요풍류 - '젊은산조2' Full 영상
- 01. 김병호류 가야금 산조 (5:04) ○ 가야금/공유림, 고수/고정훈 02. 지영희류 해금 산조 (22:56) ○ 해금/이강산, 고수/이민형 03. 서용석류 대금 산조 (44:00) ○ 대금/양수연, 고수/전인근 04. 박범훈류 피리 산조 (1:00:00) ○ 피리/최광일, 고수/고정훈 ○ 주최 및 촬영/국립국악원 [National Gugak Center]
-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산조
-
국립국악원 목요풍류 - '젊은산조2' Full 영상
-
-
앉은반 설장구 - 하영란
- 하영란 - 안성시립 남사당바우덕이풍물단 상임단원
-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타악
-
앉은반 설장구 - 하영란
-
-
갑비고차농악 - 인천무형문화재 제19호
- 전통사회에서 농악은 크게 세 가지 존재방식을 갖는다. 첫째, 대보름 무렵에 하는 당산굿이나 마당 밟기와 같은 의식과 관련된 농악, 둘째, 두레꾼과 함께 김매기 등에서 치던 두레굿과 같이 노동과 관련된 농악, 셋째 판굿과 같이 놀이와 관련된 농악이 그것이다. 현재 전승되는 “갑비고차농악 (甲比古次農樂)” 은 이 중 놀이와 관련된 판굿 형태의 농악이며, 이 안에서 농사일을 놀이로 재현하는 농사굿 놀이가 주 내용을 이룬다. 이런 농사굿은 경상북도와 강원도 일부 지역에서 보이는데 지역적으로 먼 강화에서 비슷한 내용의 농악이 보존되고 있다는 점이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다. ▶ 자료 더보기
-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농악.사물놀이
-
갑비고차농악 - 인천무형문화재 제19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