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동영상Home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실시간
실시간 민속악(기악)
-
-
더블편성 아리랑 복합시나위
- 구성 연출 박재천 판소리 방수미+장문희, 거문고 허익수+이정석, 대금 원완철+이창선, 피리 이성헌+박치완, 아쟁 신현식+신재현, 장구&징 유인상+정준호
-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시나위
-
더블편성 아리랑 복합시나위
-
-
대금산조 - 대금 원완철, 장구 정준호
- ▶ 원완철 프로필 ▶ 정준호 프로필
-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산조
-
대금산조 - 대금 원완철, 장구 정준호
-
-
원장현류 대금산조 - 대금 원장현, 장구 정화영
- ▶원장현 프로필 ▶정화영 프로필
-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산조
-
원장현류 대금산조 - 대금 원장현, 장구 정화영
-
-
시나위를 바탕으로 한 즉흥연주 - 4인놀이
- 4인놀이 - 해금 신현석, 거문고 이재하, 아쟁 윤서경, 대금 이영섭
-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시나위
-
시나위를 바탕으로 한 즉흥연주 - 4인놀이
-
-
국립국악원 금요공감 : 김정림의 해금 공연 Full영상
- ▶ 김정림 프로필 01. 노을○ 작곡/김대성, 해금/김정림, 가야금/곽은지 02. 적념○ 작곡/김영재, 해금/김정림, 피아노/엄기환 03. 고양이의 춤○ 편곡/엄기환, 해금/김정림, 가야금/곽은지, 피아노/엄기환 04. 피노각시○ 편곡/엄기환, 해금/김정림, 가야금/곽은지, 피아노/엄기환, 퍼커션/최바울 05. 가을민들레○ 작곡/최지혜, 해금/김정림, 피아노/엄기환, 첼로/신아연 06. 피아노 독주곡 ○ 피아노/엄기환 07. 비누방울○ 편곡/최지혜, 해금/김정림, 피아노/엄기환, 첼로/신아연, 퍼커션/최바울 08. 이별○ 작곡·해금/김정림, 피아노/엄기환, 퍼커션/최바울 09. 그리움에 서다○ 작곡/조승현, 해금/김정림, 피아노/엄기환, 퍼커션/최바울 10. 두줄의 시계○ 편곡/이진구, 해금/김정림, 피아노/엄기환, 퍼커션/최바울 11. 고독○ 작곡/조승연, 해금/김정림, 편곡·피아노/엄기환, 첼로/신아연, 퍼커션/최바울 12. 오블라디 오블라다○ 해금/김정림, 편곡·피아노/엄기환, 첼로/신아연, 퍼커션/최바울 13. 아리랑스윙○ 구성·해금/김정림, 피아노/엄기환, 첼로/신아연, 퍼커션/최바울
-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기악
-
국립국악원 금요공감 : 김정림의 해금 공연 Full영상
-
-
박종선류 아쟁산조 - 산조대축제
- 크라운해태제과가 주최하는 '허니데이 사랑 한마당' 공연 '박종선류 아쟁산조'는 다른 산조에 비해 애잔하면서 힘이 있고 농도 짙은 애절한 감정이 표현되는 곡으로 나무활대와 유미활대로 연주하며 강렬하고 굵은 농현이 특징입니다.
-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산조
-
박종선류 아쟁산조 - 산조대축제
-
-
판굿 - The 광대
- 크라운해태제과가 주최하는 '허니데이 사랑 한마당' 공연 The 광대의 '판굿'은 장구, 북, 꽹과리, 징, 태평소 등 사물악기를 광대들이 서서 연주하며 멋진 대열을 만들어 보이는 공연입니다. 특히 공연 중간 부포놀이, 설장구, 소고놀이 등 연주자들의 멋진 솔로 퍼포먼스가 펼쳐지는데 이는 광대들의 기량을 확인할 수 있는 이 공연의 하이라이트입니다.
-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농악.사물놀이
-
판굿 - The 광대
-
-
한갑득류 거문고산조 - 산조대축제
- 크라운해태제과가 주최하는 ‘허니데이 사랑 한마당’ 공연은 둘이 하나 되는 날이라는 뜻인 매월 ‘21일’사랑을 주제로 공연 관람과 함께 불우 이웃도 돕는 따뜻한 공연입니다. '한갑득류' 거문고산조'는 절묘한 조 변화와 생동감 넘치는 성음, 자유로운 감성이 두드러지는 산조로 알려져 있습니다.
-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산조
-
한갑득류 거문고산조 - 산조대축제
-
-
서공철류 가야금산조 - 이여진 (장구 강형수)
- ▶이여진 프로필 산조는 기악독주곡 형식을 갖춘 음악으로 장구나 북 등 장단반주와 함께 연주된다. 산조 연주는 짧게는 10여분에서 길게는 한 시간 가량으로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산조는 초기에 즉흥성을 띤 가락들로 연주되기 시작하였으나 느린데서 빠른데로 옮겨가는 ‘장단 틀’의 형성과 더불어 다양한 조(調)를 갖추어 정형화되면서 산조명인의 음악성이 극대화된다. 가야금산조가 먼저 발달했으며, 대금산조, 거문고산조가 20세기 전반기에 이미 형성되었고, 이후 해금산조, 피리산조, 아쟁산조 등이 잇달아 만들어졌다. 각 악기별 산조에는 다시 각 명인별로 전승된 여러 유파가 존재하며, 20세기 중후반이 산조의 실질적인 전성기에 해당한다. ‘말 없는 판소리가 곧 산조’라고 이를만큼 산조가 성장, 발전하는데 판소리의 음악적 영향은 매우 크다.
-
- 국악동영상
- 민속악(기악)
- 산조
-
서공철류 가야금산조 - 이여진 (장구 강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