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3-29(금)

국악정보
Home >  국악정보  >  자료실

실시간

실시간 자료실

  • [PDF] 음악학에서의 판소리 연구현황과 과제 - 김혜정
    ▲ 다운로드 받으세요. Ⅰ. 서론 Ⅱ. 판소리 채보와 악보기보의 문제 Ⅲ. 음악학에서의 판소리 연구현황과 논쟁들(1) 음악 양식의 논의(2) 명창론과 유파의 논의(3) 역사적 관점의 논의(4) 단가 및 주변 장르의 논의(5) 기타 Ⅳ. 결론: 판소리 연구의 전망과 과제 김혜정 (국립민속국악원 학예연구사)
    • 국악정보
    • 자료실
    2014-02-13
  • [PDF] 국악용어 표준안 - 국립국악원
    ↑ 다운로드 받으세요. 이 책은 국악원논문집 제18집(국립국악원, 2008) 자료로 수록된 ‘2008 교육용 국악용어 표준안’을 수정․보완하여 제작한 별쇄본입니다. ◆ 표준용어 선정 기준 분류/장르를 통틀어 일관성 있게 용어를 채택한다.초․중등학교 교육에 적합한 쉽고 흥미로운 용어를 위주로 선정하되 용어의 범위는 국악을 별도로 학습하지 않은 일반인이 이해할 수 있는 수준, 이론적 깊이는 대학 국악과 1학년 실기 전공자가 이해할 수 있는 수준에 맞춘다. 아래 기준을 차례로 만족하는 용어를 표준용어로 선정한다. ① 실제성 : 국악인이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용어② 타당성 : 국악 표준용어로서 합당한 근거가 있는 용어③ 한글 맞춤법 통일안 : 국립국어원에서 제시한 우리말 맞춤법 통일안에 부합하는 용어④ 기타- 악곡명의 경우 고유어로 보고 띄어쓰기를 하지 않는다.- 장단용어는 연철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용어 선정기준에 비추었을 때 병용이 가능한 용어는〔 〕로 병기한다.
    • 국악정보
    • 자료실
    2014-02-09
  • 전통 국악의 원형 보존을 위한 퓨전 국악의 장르화 방안 (정중헌)
    ↑ 다운로드 받으세요~ 21세기 초반의 한국 전통음악(국악)은 원형성 유지에 위기를 맞고 있다. 신라 시대에 발아해 삼국 통일과 고려시대, 조선왕조로 이어진 한국의 전통음악은 왕조의 몰락과 일제의 암흑기를 거쳐 광복 한국에서 가까스로 명맥을 잇기는 했지만 80년대 중반부터 태동하기 시작한 국악과 타 장르간의 뒤섞임(퓨전화)으로 한국 고유의 전통성을 계승할 수 있느냐는 우려의 소리가 나오고 있다. 모든 문화예술은 시대의 변화와 더불어 이념이나 형태가 바뀌어 왔지만 전통음악이란 원형질 그 자체가 손상되어서는 그 고유의 특성을 상실하고 이상한 형태로 변질될 수도 있다. 더욱이 한 나라의 전통음악이 시대의 유행인 포퓰리즘과 영합하면 전통음악 본래의 가치가 손상될 수도 있다.
    • 국악정보
    • 자료실
    2014-01-21
  • [PDF] 기악 명인들과의 만남과 조사 사업 - 구술 '이보형'
    ↑ 다운로드 받으세요 기악 명인들과의 만남과 조사 사업 2010년 5월 20일 목요일 오후 2시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1동 **** 이보형 선생님 자택 구술 이보형 (이) ┃ 채록연구 김영운 (김) ┃ 채록문 작성 강재욱 ┃ 촬영 김기준 지금 그때 활동하던 분이 이제 가장 기악 쪽에서 활동 많이 하신 분이 지영희 선생님이거든요. {네.} 그러고 이제 에… 산조 쪽은 이제 신쾌동 선생님, 그 다음에 이제 신쾌동 선생님이 가신 다음에는 인제 한갑득 선생님이 주로 일을 하셨고 김윤덕 선생님, 에… 성금연 선생님이 이렇게 ’60년대에는, ’70년대는 지영희 저 주로 그 성금연 선생하고 김윤덕 선생님 산조가 주로 가야금산조가 연주되었잖아요. {네. 네.} 근데 인제 ’70년대 중반부터 이제 김죽파 선생님하고 그 함동정월 선생님이 인제 두각을 나타를 냈고 그랬습니다. ............................................................................................................................................ 제16회 방일영 국악상 수상자인 국악 연구가 이보형(李輔亨) 선생이 2012년 6월, 민속음악 연구에 매진한 석학들에게 수여하는 일본 고이즈미 후미오 음악상을 수상했다 a.pop_btn_mov { width:90px; height:90px; display:block; position:absolute; top:50%; left:50%; margin-top:-45px; margin-left:-45px; background: url(http://image.chosun.com/cs/article/2012/type_mov_onoff.png) no-repeat 0px 0px; } a.pop_btn_mov:hover { background-position: 0px -98px;} a.pop_btn_mov img {display:none;}
    • 국악정보
    • 자료실
    2014-01-19
  • [PDF} 국악 성과지표 분석연구 - 한국문화관광원
    ↑ 다운로드 받으세요. ◆ 국악 성과지표 분석연구 - 국악교육 현황 및 성과를 중심으로 일반국악교육 및 국악전문교육이 현재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미흡한 부분은 무엇인지, 향후 국악전문인력이 효과적으로 관련 분야로 유입되게 하기위해 필요한 점은 무엇인지 등을 파악하고 향후 국악교육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함.
    • 국악정보
    • 자료실
    2014-01-17
  • [PDF] 정선아리랑 전수교육 연구 - 유대균 (劉大均)
    ↑ 다운로드 받으세요~ 본 연구는 강원도 무형문화재 1호인 정선아리랑을 계승 발전시키고 전수하기 위하여 정선아리랑을 전수하기위한 기초연구로 문자자료, 사진자료, 음악자료와 동영상자료를 활용한 멀티미디어자료로 개발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본 자료는 정선아리랑을 교육하기 위한 배움자료와 지도자료로써의 활용가치를 가지고 있다.
    • 국악정보
    • 자료실
    2014-01-15
  • [PDF] 심청가 전승계보
    ↑ 다운로드 받으세요 심청가(沈淸歌)는 다른 열두마당 판소리의 경우와 같이 조선왕조(朝鮮王朝) 중기(中期)에 이미 경기(京畿), 충청(忠淸), 전라도(全羅道)에서 각각(各各) 다른 특색(特色)을갖는 바디로 발전(發展)하고 있었다. 경기도(京畿道), 충청도(忠淸道) 심청가(沈淸歌)는 이미 전승(傳承)이 끊어졌고, 김창룡(金昌龍) 방응모(方應模) 등(等) 충청도(忠淸道) 출신(出身) 명창(名唱)의 음반(音盤)이 남아 있을 뿐이다. 경기도(京畿道)의 전승계보(傳承系譜)는 현재 확실히 알 수 없으나 충청도(忠淸道)와 전라도(全羅道)의 전승계보(傳承系譜)는 다음과 같다.
    • 국악정보
    • 자료실
    2014-01-14
  • [PDF] 국립국악원 국악연주단 성과평가 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국악정보
    • 자료실
    2014-01-14
  • [PDF] 판소리 - 정병헌 숙명여대 정병헌교수 외
    ↑ 다운로드 받으세요. 글 목차 1. 신재효의 삶과 판소리 - 정병헌 2. 전기팔명창, 후기팔명창, 근세오명창 - 최동현 3. 진채선 - 최혜진 4. 명창 임방울 - 천이두 5. 김연수와 동초제 판소리의 계승자들 6. 김소희와 그의 제자들 - 정병헌 7. 박록주와 그의 제자들 - 김석배 8. 박초월과 그의 제자들 - 최동현 9. 정정열 판소리의 계승자들 - 최동현 10. 보성소리의 판소리사적 의의와 계승자들 - 유영대 11. 김정문과 강도근 - 김기형 신재효는 본관이 평산(平山)이요 자는 백원(百源)이며 호가 동리(桐里)로, 순조 11년(1812) 11월 6일 전북 고창에서 관약방을 하던 신광흡의 1남 3녀 가운데 외아들로 태어났다. 그리고 73세(1884, 고종21년)를 일기로 태어난 집에서 태어난 날짜와 똑같은 날 다시 이 세상을 떠났다. 중인 출신인 아버지 신광흡은 경기도 고양에서 살다가 서울에서 직장(直長)을 지냈는데, 고창현의 경주인 노릇을 하였다. 경주인은 서울에 머물면서 자신이 담당한 지역의 연락 사무를 대행하는 사람을 일컫는다. 신광흡은 경주인의 자리에 있으면서 재산을 모았는데, 이 재산은 그의 아들 신재효가 고창에서 향리로 활동하는 데 든든한 기반이 되었다. 뒤에 신광흡은 고창에 이주하여 관약방을 하기도 하였다. 신재효의 어머니는 나이 40이 넘도록 아들을 얻지 못하다가 정읍에 있는 월조봉에 치성을 드려 신재효를 얻었다고 한다. 신재효는 회갑이 되던 해(1872)에 내장산 영은사의 법당을 중수하였을 때 그 법당의 상량문을 써준 것으로 보아 이 절이 그의 탄생을 빌었던 곳으로 여겨진다. 영은사는 한국전쟁 때 불에 타 없어졌고 이 터에 새로이 내장사가 세워졌다.
    • 국악정보
    • 자료실
    2013-03-12
  • [PDF] '아리랑' 형성과정에 대한 음악적 연구 - 김영운
    ↑ 다운 받으세요~ 이 논문은 현재 전승되고 있는 아리랑계통 악곡 중 중요한 악곡을 중심으로 몇가지 문제점을 살펴본 글이다. 먼저 다양한 제목으로 전승되는 180여곡의 아리랑계통 악곡 중 제목만으로는 어떤 곡인지 알기 어려운 곡을 대상으로 모곡(母曲)별로 유형을 나누어 보았다. 그 결과 다양한 이름으로 전승되는 아리랑계 악곡의 모곡은 ,, , 등으로 정리될 수 있으며, 악곡명에 혼동의 여지가 없는 , , 등이 아리랑계통 악곡의 중요한 곡목들로 파악되었다
    • 국악정보
    • 자료실
    2013-02-23
비밀번호 :